kgma2024 ×
검색결과6건
자동차

"가성비 통했다"…토레스 EVX 1분기 전기차 판매 '톱4'

KG모빌리티(이하 KGM)의 첫 전기차 토레스 EVX가 보조금 삭감에도 불구하고 올해 1분기 국내 전기차 판매 4위에 올랐다. 소비자 부담을 줄이기 위해 가격을 인하한 것이 주효했다는 평가다.3일 완성차 5사의 판매실적을 종합한 결과, 올해 1∼3월 국내에서 모두 1만5065대의 전기차가 팔린 것으로 나타났다.이중 토레스 EVX는 1870대가 판매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달에는 전달(400대) 대비 2.6배 증가한 1443대가 팔렸다.전기차 차종별 판매순위에서도 토레스 EVX는 현대차 포터(3041대), 기아 레이EV(2442대), 현대차 아이오닉5(2120대)에 이어 4위에 올랐다.기아의 첫 전용 전기차 EV6(1459대), 현대차의 전기 세단 아이오닉6(1038대)도 앞지른 것으로, 현대차·기아가 주도하는 국내 전기차 시장에서 중견 3사(한국GM, KGM, 르노코리아)의 전기차가 톱5 안에 포함된 것은 토레스 EVX가 처음이다.KGM은 토레스 EVX의 선전에 힘입어 국내 전기차 판매 점유율이 12.4%까지 뛰어올랐다.토레스 EVX의 인기 비결로는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가 꼽힌다. 중국산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넣은 토레스 EVX의 올해 전기차 보조금은 전년 대비 30% 넘게 줄었다. 이에 KGM은 토레스 EVX의 보조금 감소분을 보완하기 위해 차량 가격을 200만원 내렸다.토레스 EVX 가격 인하는 올해가 처음은 아니다. 지난해 9월 출시 당시 사전계약 가격(4950만 원, E5모델, 세제혜택 후)보다 무려 200만 원을 낮춘 4750만원의 가격을 책정한 바 있다. 당시 보조금을 받으면 3000만원대로 구매 가능해 가성비가 부각됐다.올해 200만원 추가 가격 인하로 토레스 EVX 판매 가격은 사전계약 당시 보다 무려 400만원 인하됐으며, 세제 혜택 후 E5 4550만원, E7 4760만원으로 국내 전기차 중 가장 합리적이고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제품 구입 접근성이 용이해졌다.뿐만 아니라 토레스 EVX에 탑재된 LFP 배터리는 밀도가 낮아 주행거리가 짧다는 막연한 편견을 벗고 1회 충전 433km의 주행거리를 달성했다. 이에 더해 LFP 배터리는 외부 충격에 강하고 화재 위험성이 낮아 내구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졌다.토레스 EVX의 화재 안전성을 검증이라도 하듯 지난해 12월 부산의 한 도로를 달리던 토레스 EVX에 불이 옮겨 붙는 화재사고가 발생했으나 LFP 블레이드 배터리 상태는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으로 조사 결과가 나왔다.업계 관계자는 "올해 전기차 보조금 혜택 축소로 고전이 예상됐지만 KGM은 가격 인하를 통해 대응에 나섰다"며 "토레스 EVX의 가장 큰 강점인 가성비에 안전성까지 더하며 인기를 얻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4.04.04 07:00
자동차

남아 도는 전기차 보조금 왜?

올해 전기차 보조금이 남아도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전기차 판매 성장 속도가 느려진 데다, 보조금 지급 기준이 낮아졌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온다.6일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 따르면 이날 기준 서울시의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받고 출고한 차량은 3800여 대로 올해 지원하기로 한 7800대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다른 지자체도 마찬가지다. 대구의 경우 올해 전기차 구매 보조금 물량 5859대 가운데 절반 이상인 3900여 대가 아직 소진되지 않고 있다.강원도 역시 지난달 기준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받은 물량은 1162대로 공고대수(3681대)의 31.6%에 불과했다.이유는 복합적이다. 일단 전기차 판매 실적이 저조하다.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현대차 아이오닉5는 올해 상반기 9534대가 팔렸다. 전년 동기 대비 32.8% 감소한 수치다. 같은 기간 기아 EV6도 1만653대 팔려 11.3% 줄었다.현대차그룹만의 문제는 아니다. 수입차를 포함한 국내 전기차 판매량은 지난해에는 전년 대비 63.8% 증가했는데, 올 상반기엔 13.7% 늘어나는데 그쳤다.업계에서는 제조사가 주행거리가 늘어난 연식 변경 모델을 내놓으면서 가격을 올렸기 때문으로 본다.실제 현대차는 제네시스 순수 전기차 GV60의 연식 변경 모델을 출시하면서 시작 가격을 503만원 인상했다.신차인 기아 EV9의 경우 레벨3 자율주행 기능 등 신기술이 들어가 옵션을 전부 선택하면 1억원이 넘는다. 전기차가 비싼 이유는 배터리 때문인데, 동급 내연기관차 대비 30~40% 더 비싸다. 전기차를 구매할 돈으로 내연기관차에선 차급을 더 올려서 구매할 수 있기 때문에 '대중화'가 늦어지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여기에 보조금 지급 기준도 낮아지고 있다. 실제 2018년 대당 최대 1200만원을 지급했지만 올해는 680만원으로 반 토막 났다. 업계 관계자는 "보조금이 해마다 감소해서 전기차 구입에 대한 메리트가 약화됐다"며 "또 아직은 전기차를 살 돈으로 1~2단계 상위 레벨의 내연기관차를 살 수 있다. 배터리 가격이 떨어지기 전까지 전기차 대중화는 기대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아울러 충전 스트레스, 충전 비용 상승도 악재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국내 전기차 충전소는 전국에 2만641대에 달한다. 국토교통부도 지난해 전기차 충전소 417개를 보급하는 등 전기차 보급에 힘쓰고 있다. 하지만 전기차 이용자들의 체감률은 여전히 낮은 상태다.최근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전기차 화재사고 역시 구매심리 위축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기존 내연기관차와 전기차 모두 사고가 발생할 수 있지만 전기차 문제가 보다 더 이슈가 되고 있다"면서 "사고가 날 수 있다는 우려가 구매 심리에 큰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3.08.07 07:00
자동차

급성장 전기차…결함도 덩달아 '폭증'

전기자동차 보급이 확대되면서 전기차를 대상으로 한 리콜(자발적 시정조치) 건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도 전기차 증가와 맞물려 리콜과 정비, 수리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지만, 서비스센터나 정비 인력이 턱없이 부족해 관련 인프라 확충이 시급한 상황이다. 상반기 리콜 10만7494대…작년치 이미 넘어 지난달 31일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전기차 안전결함 관련 리콜 현황'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전기차 관련 리콜 대수는 10만7494대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9만9008대) 리콜 대수를 이미 뛰어넘은 수치다. 2017년 불과 3456건에 불과했던 전기차 리콜은 2018년 1만2264대로 증가하기 시작해 2019년 1만3024대, 2020년 8만604대로 수직 상승하고 있다. 전기차 판매량이 증가하면서 리콜도 급증한 것으로 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국내 전기차 판매량은 2017년 2만5108대에서 2019년 8만9918대로 급증했다. 지난해에는 23만1443대를 기록, 20만대를 돌파했다. 올해는 상반기에만 29만8633대가 팔렸다. 업계는 올해 전기차 누적 등록 대수가 45만대 전후 수준까지 늘어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앞서 정부는 친환경 정책의 하나로 2022년까지 45만대의 전기차(누적 등록 기준)를 보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문제는 올해는 단순한 부품 고장만 발생한 것이 아니라 고전압 배터리 충격 완화 패드, 제어장치의 소프트웨어 설계 오류 등 전기차에서만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대거 포함됐다는 점이다. 업계 관계자는 "판매되는 차량이 늘어나면 리콜도 덩달아 증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라면서도 "올해는 단순 부품이 아닌 전기차 전용 부품에서 문제가 많이 발생해 우려를 키우고 있다"고 말했다. 리콜왕은 테슬라 올해 리콜 건수가 많이 늘어난 데는 미국 전기차 브랜드 테슬라 영향이 컸다. 올 상반기 테슬라 리콜 규모는 4만1498대로 가장 많은 전기차를 리콜했다. 전년 동기 대비 3000% 이상 늘어난 수치다. 모델3(2만7622대), 모델Y(1만1030대), 모델S(3850대), 모델X(6대) 등이 CPU 열성능 개선 문제, 후방카메라, 안전벨트 등 관련 문제로 리콜됐다. 이어 현대차·기아가 전자식변속제어장치(SCU) 문제로 5만8000여 대를 리콜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현대차는 아이오닉5 등 4개 차종에서 전자식변속제어장치 오류로 경사로 주차 시 차량이 미끄러질 가능성을 확인해 리콜 조치했다. 기아도 EV6에서 같은 문제를 발견해 1만8593대를 리콜했고, 카니발 등 5개 차종은 에어백 경고등 결함 문제로 3447대 리콜했다. 올 하반기에도 전기차 관련 리콜은 끊이질 않고 있다. BMW코리아는 최근 국내 전기차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출시한 i4, iX 등 신규 전기차 2종에서 화재 가능성이 발견돼 리콜을 시행 중이다. 리콜 대상 차량에는 배터리셀 생산 공정에서 손상된 음극판 조각이 배터리셀 내부에 유입돼 고전압 배터리에 단락(쇼트)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 경우 셀 모듈이 방전되고 화재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푸조도 최근 e-208, e-2008 등 전기차 2종에 대한 리콜을 개시했다. 각 차량의 에어컨 공기 압축기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전동 모터의 구리선 피복 처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경우가 확인됐다. 해당 장치를 장착한 차량에서 구리선이 에어컨 냉매나 수분에 노출될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부식돼 저항이 증가한다. 차량 진단 소프트웨어가 이를 감지하고 메인 배터리의 릴레이를 차단해 파워트레인 작동을 멈추면 시동이 꺼질 수 있다. 리콜 대상 차량은 일정 기간 생산된 1446대다. 제재 강화해 안전성 높여야 최근 전기차 결함이 늘어나는 것과 관련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제재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기차 보급이 늘면서 급발진이나 화재사고 결함 가능성이 커지고 있으며, 자율주행 기능의 경우 바로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이에 국회에서는 보완 법안 발의가 잇따르고 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민홍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달 26일 전기차의 제작사 결함 시정 조치로 차량 성능 저하가 발생했거나 전기차 주행가능거리 과다 표시 등으로 소비자 피해가 발생한 경우 제작사가 차량 소유자에게 경제적 보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자동차관리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민홍철 의원은 "최근 전기차 등 친환경 자동차 보급이 점차 퍼지고 있는 상황에서 현행 법령이 피해자들을 포용하지 못하는 사례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는 만큼, 법령개정을 통해 소비자에 대한 제작사의 보호책임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법안 발의 배경을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전기차 리콜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전용 서비스센터나 정비 인력도 확충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내 시장 점유율이 높은 현대차만 봐도 전국 1300여 개 정비소 중 371곳 만이 전기차 전담 센터를 운영 중이다. 르노코리아의 경우 410곳으로 가장 많긴 하나 상당수가 블루레벨(전기차에서 고전압과 무관한 일반 정비)이다. 한국GM도 413곳 중 99곳 만이 수리가 가능하다. 수입차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메르세데스 벤츠는 전국에 57개의 서비스센터가 있지만, 이 중 36곳이 수도권에 몰려 있다. 아우디는 전기차 수리가 가능한 서비스센터가 9곳이며 5곳이 수도권에 위치한다. 지난해 국내에서 1만7828대를 판매한 테슬라의 경우 전국에 서비스 센터가 단 8곳뿐이다. 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2.09.01 07:00
경제

미국서 배터리 전쟁 이긴 LG…한국선 잇단 화재 사고로 골머리

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에서 벌어진 SK이노베이션과의 '배터리 소송전'에서 완승하고도 맘 편히 웃지 못하고 있다. 국내에서 LG 배터리를 단 차량의 화재 사고가 속출하고 있어서다. 승용차에서만 화재가 발생하다 최근에는 버스에도 불이 났다. 정부가 조사에 나선 가운데 차량 화재 원인이 배터리에 있는 것으로 밝혀질 경우 LG는 향후 수주에 어려움은 겪는 것은 물론이고 당장 1조원대의 처리 비용을 내놓아야 할 처지다. 주행 중 불 난 전기버스…이번에도 LG 배터리 17일 현대차 등에 따르면 지난 15일 경남 창원에서 현대차가 만든 전기 시내버스가 주행 중 불이 났다. 해당 버스는 2019년 현대차에서 제조한 일렉시티였다. 버스는 차고지로 이동하던 중 배터리가 있는 지붕 쪽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차량은 전소했지만 당시 승객이 없어 확인된 인명 피해는 없다. 버스는 불이 나기 전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PRA)라는 배터리 관련 부품 수리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화재는 전기차 주행 중 발생한 첫 화재다. 버스에는 LG 배터리가 탑재됐다. 자동차안전연구원과 소방서는 정비내용과 배터리 결함 여부 등 정확한 화재 원인 조사에 나섰다. 현대차도 "화재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조사가 진행 중이다"고 말했다. 문제는 LG 배터리를 장착한 차량의 화재 사고가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는 데 있다. LG 배터리를 탑재한 현대차의 코나 전기차(EV)에서는 지난해부터 총 15차례 화재 사고가 발생했다. 코나 EV는 현대차가 2018년 출시한 전기차다. 올해 1월까지 국내 11건, 해외 4건 등의 화재 사고가 났다. 이에 지난해 10월 현대차는 2017년 9월∼2020년 3월에 생산해 전 세계에 판매한 7만7000여 대의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을 업데이트했다. 이 BMS를 통해 배터리에 이상 징후가 발견되면 배터리를 바꾸는 리콜을 했지만, 이후에도 화재는 계속됐다. 화재 원인을 조사한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은 배터리 문제를 비롯한 다양한 가능성을 놓고 조사를 벌여 대략적인 결론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전기버스에서도 화재가 발생하자, 연관성 여부를 살펴보고 있다. LG 결함일 경우 막대한 손해 불가피 계속되는 배터리 화재사고는 LG에너지솔루션에게 그 무엇보다 중요한 사안이다. 차량 화재 원인이 배터리에 있다면 향후 배터리 수주에 악영향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또 코나 EV만을 따졌을 경우, 1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는 당장의 처리 비용도 문제다. 업계는 조심스럽게 화재 원인을 LG 배터리 결함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국토부는 지난해 10월 코나 EV에서 잇달아 화재가 발생하자,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과 함께 화재 원인에 대한 합동 조사에 착수한 바 있다. 당시 국토부는 차량 충전 완료 후 코나 전기차에서 고전압 배터리의 셀 제조 불량으로 인한 합선으로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확인됐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LG는 곧바로 국토부의 ‘배터리 셀 제조 불량’ 발표를 정면으로 반박했다. LG는 "국토부가 정확한 원인이 규명되지 않은 상태에서 발표했다"며 발표 일체를 부정했다. 하지만 당시 발표는 지난 2018년부터 코나 EV에 화재사고가 계속 발생하면서 국교부 산하기관인 자동차안전연구원이 1년 넘게 조사를 해온 상황이었다. 따라서 곧 있을 국토부 공식 발표도 배터리 문제라고 판명 날 가능성이 높게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LG 관계자는 "아직 화재 원인이 안 밝혀진 상황인 만큼 조심스러운 입장"이라며 "국토부 조사 결과에 따라 적절한 조처를 할 방침이다"고 말했다. 연이은 화재사고 등 '안정성 논란'이 불거지자 일부에서는 현대차가 자체 개발한 전기차 플랫폼 E-GMP 공급사 선정에 LG에너지솔루션을 택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현대차는 이달 내로 E-GMP 3차 공급사 발표를 앞둔 상태이다. 1차 수주는 SK이노베이션에게, 2차는 LG에너지솔루션, 중국 CATL을 선택한 바 있다. 3차 배터리 물량은 약 20조원으로, 역대 E-GMP 배터리 발주 중 최대 규모이다. 국내 배터리 3사인 SK이노베이션,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와 중국CATL이 최종 후보에 올랐다. 업계 관계자는 “사고 원인을 규명해봐야 알겠지만, 안정성으로 계속 논란이 되는 것은 확실히 LG에게 마이너스 요인"이라며 ""안정성 논란을 해결하지 못한다면 LG는 3차 공급은 물론 4차에도 배제될 가능성 높다"고 말했다. 앞서 현대차는 2014년 제네시스DH에 장착된 한국타이어 제품의 소음 논란으로 4만3000대가 리콜되는 사태가 발생하자, 타이어 공급사를 한국타이어에서 콘티넨탈·미쉐린·금호·넥센 등으로 다각화한 바 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1.02.18 07:00
경제

잇따른 코나 전기차 화재 사고…현대차, 사과 문자 보내

현대자동차가 전기차 코나 일렉트릭(EV) 소비자에게 안내 문자를 발송해 잇단 화재사고에 대해 사과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최근 연쇄 화재로 논란 중인 코나EV 차량에 대해 '10월 중 조치 내용을 전하겠다'는 취지의 사과 문자를 보냈다. 문자 내용은 "현대차 고객님께 알려드립니다"는 제목의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로 지난 5일 발송됐다. 현대차는 "최근 코나 일렉트릭 모델 일부 차량에서 화재가 발생해 고객님께 심려를 끼쳐드려 깊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이어 "현대차는 금번 화재 관련 조치방안에 대해 최종 유효성 검증 후 10월 중 고객 안내문을 통해 자세한 조치 내용을 알려드리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전 사고까지 현대차 측은 정확한 원인을 조사 중이라는 설명과 함께 별다른 입장을 내지 않았으나 최근 연달아 코나 화재 사고가 발생하자 이 같은 조처를 한 것으로 보인다. 코나EV에서는 올해 들어서만 총 다섯 차례 화재사고가 발생했다. 지난 4일 대구 달성군과 지난달 26일 제주시에서 잇따라 화재가 발생했으며 2018년 출시된 이후 국내외서 총 12건의 화재가 보고됐다. 코나EV는 현대차의 전기차 중 대표적인 모델이다. 출시 이후 올해 상반기까지 내수 2만8919대, 해외 7만7748대 등 총 10만6667대가 팔렸다. 올해(1∼9월)에만 국내에서 7061대가 팔렸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7월 강릉, 8월 부천‧세종 등 여름철 짧은 기간 3건이 연달아 발생하자 조사에 나섰으나, 1년이 지난 지금도 별다른 결론을 내지 못한 채 조사를 진행 중이다. 원인 진단이 되지 않는 상황이 지속하다 보니 소비자의 불만은 전기차에 대한 우려로 이어지고 있다. 소비자들은 배터리 내구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코나EV와 관련한 청와대 국민청원도 제기한 상태다. 업계 관계자는 "전기차 보급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발생한 일이다 보니 코나 운전자를 비롯한 전기차 소유자들의 불안감이 적지 않다"며 "이번 화재사고가 자칫 3년 전 469만대의 리콜을 불러온 '제2의 세타엔진' 사태 재연으로 이어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마저 나온다"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0.10.06 15:03
연예

[2019 서울모터쇼] 피터 노타 BMW그룹 보드멤버 "한국과 사업 협력 강화할 것"

BMW그룹이 28일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19 서울모터쇼'에서 지난해 차량 화재 사태에 사과하고 한국기업과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이날 행사에 참석한 피터 노타 BMW그룹 보드멤버는 "작년 이슈(화재사고)들로 인해 우려와 불편을 초래한 것에 대해 진심으로 송구하며, 한국 고객들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그는 이어 "BMW는 오픈 5년 만에 약 80만명이 방문한 BMW 드라이빙센터, 2011년 설립이래 약 300억원을 조성한 BMW 코리아 미래재단 등 한국에서 현재를 넘어 미래 세대들을 위한 다양한 사업들을 펼치고 있다”며 “한국에 대한 BMW의 확고한 의지는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아울러 "미래이동성에 있어서도 한국은 가장 혁신적인 국가로, 최근 5G 기술 개발 관련해 2개의 한국 기업과 글로벌 계약을 맺었다"며 “BMW 전기차의 핵심 부품인 배터리는 이미 삼성 SDI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고 밝혔다.마지막으로 “"오는 2020년말까지 규모를 2018년보다 55% 가량 확대하는 등 한국 기업들과의 협력을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tbc.co.kr 2019.03.28 11:26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