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5건
금융·보험·재테크

'증시 불황'인데…케이뱅크 IPO 속도 내는 이유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가 증시 불황 속에서도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 절차에 돌입한다. 예정된 수순을 밟으면 올해 안에 상장이 가능해진다. 3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케이뱅크는 상장 예비심사를 신청하고 기업공개(IPO) 일정을 시작했다. 케이뱅크의 상장 대표 주관사는 NH투자증권과 JP모건, 씨티 증권이며, 공동 주관사는 삼성증권이다. 상장심사는 통상 2개월 정도가 소요된다. 심사 지연 사유가 발생하지 않으면 9월쯤 상장 예비심사가 가능할 전망이다. 이후 증권신고서 제출을 거치고 공모 청약에 돌입하게 되면 늦어도 11월까지 상장을 완료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까지만 해도 금융권에서는 케이뱅크가 지난 1월 내놓은 계획대로 IPO 절차를 밟을지 반신반의하는 분위기였다. 전 세계 금융 시장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상반기만 해도 'IPO 대어'로 꼽히던 기업들이 잇달아 계획을 미루거나 중단했기 때문이다. 올해 들어 코스피 상장 절차를 중단한 곳은 현대엔지니어링, SK쉴더스, 원스토어, 태림페이퍼 등이 있다. 해당 기업들은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로 투자수요를 예상만큼 끌어오지 못하면서 IPO 진행을 멈췄다. 금융권 관계자는 "IPO는 투자자금 확보를 위한 건데, 증시가 부진한 상황에서 공모가가 높게 형성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비상장주식 거래소인 서울거래비상장에 따르면 케이뱅크 주식은 현재 주당 1만53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케이뱅크가 IPO 계획을 맨 처음 밝혔던 1월 7일 당시에는 2만700원에서 25% 이상 하락한 가격이다.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 불안정한 시장 환경 속에서도 케이뱅크가 IPO를 추진하는 것은 '업비트 후광 효과'로 늘려 온 고객과 수신 규모가 빠지기 전 일정을 서둘러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지난 3월 말 기준 케이뱅크의 전체 예수금은 11조54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업비트에 예치된 금액은 5조5617억원으로 절반에 달한다. 이에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4월 케이뱅크의 뱅크런(예금 대량 인출) 가능성 점검에도 나선 바 있다. 업비트 고객들이 케이뱅크에서 예금을 대거 뺄 경우 뱅크런 위험의 우려가 불거졌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최근 금리 상승기를 맞아 은행 업종은 호조를 맞았다는 것도 상장을 서두르는 이유로 꼽힌다. 케이뱅크는 지난해 흑자전환에 성공한 이후 수익성이 꾸준히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케이뱅크는 지난해 당기순이익 225억원을 기록하며 이자 부문과 비이자(수수료) 부문에서 모두 흑자로 돌아섰다. 올해 1분기에는 지난해 연간 이익 규모를 넘어서는 245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냈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IPO 일정에 관해서는 확인해줄 수 없다"고 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edaily.co.kr 2022.07.01 07:00
경제

장외 시장서 '대박' 야놀자, 상장도 대박 준비?

올해 기업공개(IPO) 시장에서 주목받는 기업으로 꼽히는 여가 플랫폼 기업 야놀자가 비상장주식 시장에서 수익률 톱 1위에 오르면서 유가증권시장에서도 분위기를 이어갈지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야놀자는 지난해에 이어 상장에 대한 준비를 진행 중이다. 목표 상장일 등 자세한 일정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 야놀자가 임직원의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을 행사하도록 하면서 상장에 대한 관심이 쏠렸다. 업계에서는 임직원 스톡옵션 행사가 IPO를 위한 수순으로 해석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예탁결제원 등에 따르면 야놀자는 지난 1월 약 41만 주의 신주를 발행했다. 이번 신주 발행은 1주당 발행가가 2750~5000원 수준이다. 주요 비상장 주식 거래 플랫폼에 따르면 야놀자의 장외 주가는 8만원 선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 10만원을 넘기도 했지만 일부 조정받았다. 이날 서울거래 비상장 기준 야놀자의 장외 주가는 8만8000원이다. 현재 장외가를 기준으로 단순하게 계산하면, 스톡옵션으로 많게는 30배까지 이익을 볼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미 서울거래 비상장에 따르면 야놀자는 지난해 등록된 비상장 기업 중 가장 높은 주가 상승률(243.74%)을 기록하면서 큰 기대를 받고 있다. 야놀자는 지난해 소프트뱅크 비전펀드로부터 투자금 17억 달러(2조274억원)를 유치하며 관심이 증폭됐다. 당시 증권업계에서는 야놀자가 앞서 상장한 쿠팡을 따라 미국 나스닥에 상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IPO 추진 모멘텀을 얻었다고 평가했다. 야놀자는 이를 위해 미래에셋증권과 삼성증권을 상장주관사와 공동주관사에 선정하고, 별도 제안요청서를 발송하지는 않았지만 나스닥 상장 주관사로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를 내정해 IPO 검토를 진행 중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야놀자 관계자는 "IPO 준비 중인 것은 맞지만, 나스닥이나 올해 상장 같은 구체적인 계획은 나온 것이 없다"고 말했다. 야놀자는 상장을 위해 몸집을 불리는 듯,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기업들을 인수하며 외형을 키워나가고 있다. 숙박뿐만 아니라 항공, 레저, 티켓, 맛집 등 여행에 필요한 다양한 카테고리를 아우르는 '글로벌 슈퍼앱'을 완성하기 위해서다. 특히 지난해 말 인수한 인터파크 여행·공연 사업부문의 지분 70% 인수는 업계 내 빅이슈였다. 인터파크를 2940억원에 사들이며, 항공 예약 서비스 중개까지 수익원을 넓히게 됐다. 코로나19 악재가 끊이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도 야놀자는 올해 포인트 적립 서비스 '도도 포인트'도 인수했다. 투자은행(IB)업계는 인수 금액을 160억원대로 추정하고 있다. 기업 간 거래(B2B) 사업인 호텔 운영 시스템 사업도 확장하고 있다. 자회사 야놀자클라우드는 지난해 글로벌 호텔 솔루션 고객사가 전년보다 60% 늘었다고 했다. 특히 호텔 자산관리시스템(PMS) 분야서는 오라클에 이어 글로벌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야놀자는 PMS 분야 1위를 위해 야놀자클라우드를 통해 동남아시아, 인도에서 잘 알려진 이지테크노시스와 젠룸스 등을 인수하기도 했다. 야놀자 관계자는 "2019년에 이지테크노시스를 인수하면서 글로벌 사업이 본격화됐다"며 "비대면이 활성화되면서 사업이 더욱 커졌다"고 설명했다. 야놀자가 IPO를 앞둔 만큼 조만간 또 한 번의 M&A가 있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아직 소프트뱅크 비전펀드로부터 받은 2조원 가운데 인터파크 인수와 IPO 비용을 제외하더라도 1조원이 넘는 투자 여력이 남아있을 것으로 보인다. 업계는 야놀자가 이르면 연내 상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동현 리서치알음 수석연구원은 "야놀자의 글로벌 사업은 국내 사업보다 상대적으로 빈약해 나스닥 상장 시도에 있어 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하지만 꾸준한 기업 인수를 통해 종합 여행사로 성장할 발판을 마련한 점 등 긍정적인 요인이 많아 고성장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oongang.co.kr 2022.02.24 07:00
경제

IPO 수순 밟는 케이뱅크…흥행 여부는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의 기업공개(IPO)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출범 이후 첫 연간 흑자 달성 직후 상장 주관사를 선정하면서 케이뱅크 IPO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탄탄한 상품력과 가상화폐 시장의 활황 회복 등이면 흥행에 무리가 없을 것으로 전망되지만, 앞서 상장한 카카오뱅크의 반 토막 난 주가가 발목을 잡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지난 4일 IPO 대표 주관사로 NH투자증권과 씨티증권, JP모건을 선정했다. 또 삼성증권은 공동 주관사로 이름을 올렸다. 업계는 상장 예비 심사부터 수요예측 등 IPO 전반을 도울 파트너를 찾게 되면서 케이뱅크가 연내 상장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내다본다. 하지만 아직 케이뱅크는 내년까지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시기적으로 올해 안으로 IPO가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서두르지 않는 선에서 최상의 몸값을 받을 시기를 보겠다는 의도로 파악된다. 현재 케이뱅크의 IPO에 대한 기대감은 한껏 높아져 있는 상황이다. 특히 최근 출범 이후 첫 연간 흑자 달성을 발표하면서 불씨가 지펴졌다. 케이뱅크는 지난해 잠정으로 224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냈다. 어려운 시기 속에서도 작년이 흑자전환의 원년이 된 것이다. 2020년 1054억원의 손실을 냈던 점을 고려하면 극적인 실적 반등이다. 지난해 3배 이상의 가파른 고객 증가에 따른 외형 성장이 흑자전환의 핵심 요소로 작용했다. 케이뱅크 고객 수는 1년 새 219만명에서 717만명으로 약 500만명 늘었다. 이에 따라 수신 잔액은 2020년 말 3조7500억원에서 2021년 말 11조3200억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여기에는 가상자산(가상화폐) 거래소 '업비트'와의 제휴가 큰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가상화폐 시장 호황으로 업비트를 이용하기 위해 케이뱅크의 고객이 된 투자자들이 많았다는 얘기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가상화폐 시장이 현재는 주춤하고 있고 당분간 코인 시장이 활황을 보이기 힘들 것이라고 하지만, 반등을 시작하고 회복하면 다시 투자자들이 실명계좌 은행으로 유입될 가능성은 늘 열려있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단순히 고객 수만 늘어난 것도 아니다. 여신 역시 2조9900억원에서 7조900억원으로 껑충 뛰었다. 특히 '100% 비대면 아파트담보대출' 등 상품이 여신을 견인했다. 이 비대면 아파트담보대출은 출시 1년여 만에 누적 취급액 1조원을 돌파하면서 업계의 주목을 받은 상품이다. 이 밖에도 지난해 9월 출시한 전세 및 청년 전세 대출은 4개월 만에 2000억원을 넘어섰고 연간 중저신용자 고객 신용대출 공급액 규모는 2020년의 약 2.3배로 급증하면서 케이뱅크의 상품력을 입증했다. 이를 바탕으로 케이뱅크는 현재 장외 시장에서 약 8조원에 달하는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서울거래 비상장에 따르면 이날 기준 케이뱅크의 기업가치는 7조8895억원, 주가는 21000원이다. 더불어 일부에서는 상장 몸값이 10조원을 쉽게 넘어설 것이란 전망도 내놓고 있다. 앞서 카카오뱅크가 IPO 당시 기업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적용한 주가순자산비율(PBR) 등을 따져 케이뱅크에 계산했을 때 예상되는 기업가치가 12조원 이상이라는 얘기다. 하지만 최근 카카오뱅크의 주가는 고점 대비 반 토막이 난 점은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경쟁 인터넷은행으로서 카카오뱅크의 주가는 케이뱅크의 IPO 흥행 여부에 기준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8월 공모가 3만9000원으로 코스피에 안착했고, 주가가 한때 9만4400원까지 치솟았다. 하지만 지난 4일 종가 기준 4만2100원까지 떨어졌다. 투자업계 관계자는 "카카오뱅크의 기업가치가 낮아진 상황이라 당장은 케이뱅크의 몸값을 높이 쳐주기 어려운 상황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oongang.co.kr 2022.02.07 07:00
경제

호텔신라 시총 3조…야놀자 가치 '10조' 뛴 이유

기업공개(IPO)를 준비하고 있는 야놀자가 장외시장에서 기업가치 9조원을 넘어섰다. 최근 '손정의 펀드' 투자 유치를 논의 중이라는 소식과 요기요 인수설, 나스닥 상장 가능성까지 연일 희소식이 들리면서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올라간 탓이다. 8일 국내 비상장 기업 주식 거래 플랫폼인 서울거래소 비상장에 따르면 야놀자의 장외주식 거래 가격은 10만6900원이며, 기업가치는 9조2929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날 국내 대표 호텔인 호텔신라의 시가총액이 3조8228억원인 것과 비교하면, 야놀자의 몸집이 3배가량 크게 형성돼 있는 것이다. 지난 2019년 야놀자의 기업가치는 약 1조원 수준이었다. IPO를 앞두며 야놀자의 몸값이 계속해서 오르고 있는 분위기다. 특히 야놀자에 좋은 소식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가장 최근 야놀자가 소프트뱅크 비전펀드와조 단위 규모 투자 유치를 협의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앞서 비전펀드의 투자를 받은 국내 기업은 대표적으로 쿠팡이 있다. 비전펀드는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일본 소프트뱅크그룹 산하 세계 최대 벤처 투자 펀드로, 야놀자의 기업가치를 10조원 안팎으로 추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 상장할 경우, 시장에서 추산하는 야놀자의 기업가치는 약 5조원 수준이다. 현재 야놀자는 이런 비전펀드의 투자와 관련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이다. 하지만 여전히 시장에서는 투자 규모 1조~2조원 수준을 이야기가 퍼져 있다. 또 최근에는 야놀자가 인수·합병(M&A) 시장에 나와 있는 배달앱 '요기요'에 관심을 보인다는 소식이 번지기도 했다. 야놀자의 숙박·레저 등 종합 여가 플랫폼에 '먹거리'까지 추가되면, 더 완벽한 원스톱 플랫폼으로 거듭날 수 있게 된다. 야놀자 관계자는 이에 대해 "전혀 들은 바 없다"고 했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IPO를 앞둔 상황이라 몸값을 올리기 위해 시장에서 계속해서 이런 정보를 흘리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게다가 나스닥 상장 가능성까지 거론되며, 야놀자에 대한 기대감은 최고조로 치달았다. 일부에서는 야놀자가 상장에 대해 시간을 두고 쿠팡처럼 미국 증시에 상장할 경우, 비전펀드가 측정한 10조원을 뛰어넘는 밸류에이션(애널리스트가 현재 기업의 가치를 판단해 적정 주가를 산정해 내는 기업가치평가) 가능성도 점친다. 비상장 주식 거래 플랫폼 ‘증권플러스 비상장’을 운영하는 두나무에 따르면, 야놀자는 미국 나스닥시장 상장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관심 종목 추가 횟수 5위, 조회 수 6위를 기록했다. 사업 초반 '모텔앱'이라는 그늘에 갇혀 이미지 탈피에 안간힘 써야 했던 야놀자에 대한 과거 인식과는 180도 다른 모습이다. 불과 몇 년 사이 숙박업계 지형도를 바꿔놓으며 호텔, 레저시설 나아가 먹거리 사업까지 확대하며 '종합 여가 플랫폼'이 됐다. 최근에는 잘 나가는 스타트업을 인수하며 사세를 키워, 국내 7번째 유니콘 기업이 되기도 했다. 현재 야놀자는 사업 다각화를 지속하면서 상장 작업에 열중하는 분위기다. 투자업계 관계자는 "공모주에 대한 투자 열기가 반영됐을 것"이라며 "일부 공모주가 ‘따상(공모가의 2배에서 시초가를 형성한 뒤 상한가)' 했던 선례가 있기 때문"이라고 추측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oongang.co.kr ◇ 야놀자 지난해 실적 및 주가 매출 3000억원 상회 영업이익 흑자전환 주가(장외) 10만6900원 기업가치(시장추정) 약 5조원 기업가치(장외) 9조2929억원 2021.06.09 07:00
경제

몸집 키우는 마켓컬리, 상장까지 직진할까…'수익성 개선' 큰 과제로

인기 장보기 앱 ‘마켓컬리’ 운영사인 컬리가 기존 물류 처리량을 2배로 늘릴 수 있는 김포 신선식품 물류센터를 열며 몸집을 키웠다. 최근 쿠팡을 따르듯 상장 계획도 공개하는 등 고속 성장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데, 투자를 받기 위한 자연스러운 수순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하지만 상장을 위해서는 확대되고 있는 적자 폭을 줄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30일 컬리는 간담회를 열고 김포시 고촌읍에 문을 연 국내 최대 규모의 신선식품 물류센터를 공개했다. 총 8만2645㎡(2만5000여 평)의 김포 물류센터는 기존의 4개 물류센터를 합친 면적보다도 1.3배 규모로, 기존 주문량이던 약 22만 상자의 2배인 44만 박스 처리가 가능하다. 김슬아 컬리 대표는 “약 20% 인력을 투입하고도 주문을 처리할 수 있는 자동화 물류 시스템을 구축했다”며 “LG CNS와 고민한 부분은 적정한 자동화가 무엇인가였다“고 말했다. 마켓컬리는 QPS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해 직원들의 동선을 최소화하고, 작업 집중도를 향상했다. 실제로 김포 신선식품 물류센터에서는 1m 남짓한 구역에서 레일을 통해 자신 앞으로 이동해 온 상품을 바코드로 체크하면 넣어야 할 상자에 불이 들어오는데, 여기에 상품을 넣으면 바로 포장 단계로 넘길 수 있는 자동화 시스템이 설계돼 있어 큰 움직임이 필요 없었다. 김 대표는 “김포 물류센터로 물량을 더 많이 처리할 수 있고, 동남쪽에 치중돼 있었던 물량을 서울 수도권 서쪽까지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됐다”며 “상반기 내 새벽배송 지역을 가까운 인구밀집지역으로 확대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이번 물류센터 확대로 올해 컬리가 가져가야 할 매출 목표에 대해서는 입을 닫았다. 최근 글로벌 투자은행을 상장 주관사로 선정하는 등 상장 준비에 나서면서 구체적인 수치 공개에 부담이 따른다는 이유에서다. 그동안 마켓컬리는 ‘새벽배송’ 시스템을 도입하며 매년 새로운 유통업체가 따를 만큼 혁신적인 물류 시스템을 이끈 선두주자로 꼽혀왔다. 이에 현재 헬로네이처, GS프레시, 쿠팡 로켓프레시, ssg닷컴 등이 이런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사용하는 회원 수도 점차 늘어 700만명을 넘었고, 매출도 급격히 증가했다. 지난 2015년 5월 서비스를 시작한 후 2016년 173억원의 매출로 시작하던 마켓컬리는 지난해 9523억원까지 규모가 커졌다. 하지만 동시에 적자 폭도 늘고 있다. 각종 마케팅과 투자로 컬리의 지난해 영업손실은 1162억원으로 집계됐다. 김포 물류센터에만 300억원이 투입되면서 전년 영업손실(1012억원)보다 150억원가량 적자 폭이 커졌다. 이에 따라 누적 영업적자는 2600억원 수준으로 불어날 전망이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4조원에 육박하는 투자를 받고 투자하면서 성장한 쿠팡과 비슷한 노선을 밟고 있는 것 같다”면서도 “마켓컬리 입장에서는 투자 유치가 더 필요할 것이다”고 말했다. 실제로 쿠팡이 소프트뱅크로부터 유치한 투자금은 4조원에 달하지만, 컬리는 4200억원 수준에 불과하다. 게다가 컬리가 상장을 추진하면서 수익성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는 더욱 커졌다. 미국 뉴욕 증시에 상장하려면 수익성, 매출액, 영업 현금흐름 등 요구 사항 중에서 한 가지 이상을 충족해야 하는데, 컬리는 수익성 면에서 충족하지 못한다. 뉴욕 증시 요구사항에 따르면 수익성의 경우 직전 3개 회계연도의 세전이익의 합이 1억 달러(약 1200억원) 이상이거나 각 3개 회계연도의 세전이익이 각각 2500만 달러(약 285억원)를 넘겨야 한다. 서울거래소 비상장에 따르면 이날 기준 컬리는 9만5000원에 거래됐으며, 기업가치는 2조8901억원에 육박할 정도로 시장의 기대감이 높다. 김 대표는 수익성 개선에 대해 “규모의 경제가 나오면 수익성이 좋아질 수밖에 없다”며 “매출이 전년 대비 2배 가까이 성장하는 등 숫자가 증명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oongang.co.kr 2021.03.31 07: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