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경제

케이캡 이후 없는 국산 신약, 삼성제약 췌장암 치료제 근접

2020년에도 국산 신약이 출시되지 않았다. 이로 인해 올해 국산 신약이 나올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10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외 제약사가 신약으로 허가받은 성분은 총 23개다. 이중 국내사가 허가권을 가진 성분은 3개다. 한독의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 치료제 '울토미리스주', 유영제약의 골관절염 치료제 '레시노원주', 환인제약의 뇌전증 치료제 '제네빅스정'이다. 그러나 이 3가지 성분도 '국산 신약'이라고 할 수는 없다. 한독과 환인제약 제품은 수입 신약이며, 유영제약 신약도 기존의 히알루론산 성분들을 새롭게 가교 결합한 성분이다. 이 외 성분은 모두 해외 제약사의 신약이었는데 특히 다국적 기업의 실적이 두드러졌다. 화이자는 3가지 성분을 허가받아 가장 높은 실적을 냈다. 각각 침습성 아스페르길루스증(호흡기를 통한 곰팡이 감염병), 비소세포폐암, 유방암 치료제다. 아스텔라스는 류머티즘 관절염과 백혈병 치료제를, 로슈는 소아 고형암과 신경내분비종양 치료제를 새로 허가받았다. 마지막 국산 신약은 지난 2018년 7월 허가받은 HK이노엔의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제 '케이캡정'이다. 이 30번째 국산 신약을 끝으로 지금까지 국내 제약사가 개발한 제품이 배출되지 않고 있다. 삼성제약이 개발 중인 췌장암 치료제 리아백스주가 임상 3상을 마무리하며 신약 출시에 근접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혁신신약이 하나 나오려면 15년이 넘게 걸리고 자금도 1조∼2조원이 필요할 만큼 신약 개발은 쉽지 않다”고 말했다. 한편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은 11일 막을 올린 세계 최대 바이오 행사인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개발 성과들을 발표할 예정이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1.01.11 10:30
무비위크

[해외연예IS] '라이프 오브 파이' 이르판 칸, 희귀병 투병 중 사망..향년 53세

영화 '라이프 오브 파이'에 출연한 인도 발리우드 배우 이르판 칸이 사망했다. 향년 53세. 외신에 따르면, 이르판 칸은 지난 29일(현지시간) 인도 뭄바이의 한 병원에서 숨을 거뒀다. 2018년 희귀병인 신경내분비종양 판정을 받은 그는 최근 결장 감염으로 뭄바이의 한 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했고, 이날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신경내분비종양은 신경계와 내분비계 조직이 뭉쳐 발병하는 종양으로, 2011년 타계한 스티브 잡스가 투병한 병으로도 잘 알려져있다. 지난 1988년부터 배우의 길을 걷기 시작한 이르판 칸은 영화 '슬럼독 밀리어네어', '라이프 오브 파이',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쥬라기 월드' 등에 출연하며 사랑받았다. 박정선 기자 park.jungsun@jtbc.co.kr 2020.04.30 10:58
무비위크

‘라이프 오브 파이’ 등 할리우드 활약 인도 배우 이르판 칸 사망

인도 발리우드의 간판 스타인 영화배우 이르판 칸이 희소암으로 사망했다. 53세. 힌두스탄타임스 등 현지 언론은 희소암의 일종인 신경내분비종양을 앓고 있던 칸이 인도 뭄바이에서 29일 사망했다고 보도했다. 칸의 대변인은 “수년간 투병생활을 해온 칸이 가족 등 사랑하는 이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천국으로 떠났다”며 “우리 모두 그가 평화롭기를 기도하고 희망한다”고 밝혔다. 1967년 인도 북부 자이푸르에서 태어난 이르판 칸은 1988년 데뷔 이후 30여년간 활발하게 활동했다. 2001년 영화 ‘더 워리어’로 주목 받기 시작한 칸은 미국 할리우드에서도 큰 성공을 거뒀다. ‘슬럼독 밀리어네어’(2009) ‘라이프 오브 파이’(2013) 등 인도를 배경으로 한 영화는 물론 ‘어메이징 스파이더맨’(2012) ‘쥬라기 월드’(2015) 등 블록버스터에도 종종 출연해 한국 팬들에게도 친숙한 배우다. 2018년 판정을 받은 그는 “삶은 우리가 기대하는 것을 줘야 할 의무가 없다”는 소설가 마거릿 미첼의 글을 인용해 담담한 심경을 전하기도 했다. 신경내분비종양은 신경계와 내분비계 조직이 뭉쳐 발병하는 종양으로 췌장ㆍ위ㆍ소장ㆍ대장 등에서 주로 발견된다. 2011년 애플의 창업주인 스티브 잡스가 췌장 신경내분비종양으로 세상을 떠나면서 많이 알려진 병이다. 민경원 기자 storymin@joongang.co.kr 2020.04.29 20:1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