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10건
경제

미, 러시아 원유 수입 중단…한국경제 타격 불가피

미국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를 경제적으로 압박하기 위해 러시아산 원유 수입 금지라는 강도 높은 카드를 꺼내 들었다. 이번 결정으로 국제유가가 크게 흔들리면서 한국경제도 적지 않은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8일(현지시간) 대국민 연설에서 러시아산 원유와 가스, 석탄의 수입을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동참 여부는 각국이 알아서 결정할 사안이라는 입장이다. 영국도 연말까지 러시아산 석유 수입을 단계적으로 중단한다고 밝혔다. 러시아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원유 수출국이다. 하루 약 450만 배럴의 원유와 약 250만 배럴의 원유 관련 상품을 수출한다. 이날 미국과 영국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 금지 소식에 국제유가는 오름세를 보였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4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한때 배럴당 129.44달러까지 올랐다가 123.7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전장보다 4.30달러(3.6%) 올랐다. 종가 기준 2008년 8월 이후 최고치다. 원유 전량을 해외에서 들여오는 우리나라의 유가에도 이런 추세가 고스란히 반영됐다.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사이트 오피넷에 따르면 9일 오후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은 전날보다 27.01원 오른 리터당 1887.62원으로 집계됐다. 2014년 3월 이후 8년 만에 최고가다. 이미 휘발유 가격이 2000원을 넘은 주유소도 있다. 제주와 서울의 평균 휘발유 판매가격은 각각 1973원, 1958원으로 나타났다. 항공·해운업계는 연료비 상승을, 전자·반도체·배터리업계는 물류비 부담을 걱정하는 상황이다. 화학 원재료를 다루는 기업들도 비상이다. 한국무역협회 자료를 보면 지난해 우리나라가 러시아로부터 가장 많이 수입한 품목은 나프타(25.3%)와 원유(24.6%)다. 원유에서 추출하는 나프타는 휘발유나 석유화학 등의 원료로 쓰인다. 국제유가 상승의 영향으로 최근 가격이 20% 이상 급등했다. 키움증권은 "미국 정부는 러시아에 대한 에너지 수입 의존도를 낮추면서 다른 산유국들 및 자체 생산으로 원유 공급 차질 문제를 완화하는 것을 우선순위로 두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속 글로벌 경기 위축 우려로 하방 압력을 받을 전망이다"고 분석했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 2022.03.09 17:35
경제

휘발윳값 5주 연속 상승세…국제유가 영향

국내 휘발유 가격이 5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19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사이트 오피넷에 따르면, 이달 셋째 주(14~17일) 주유소 휘발유 판매 가격은 전주 대비 26.6원 오른 리터당 1718.4원이다. 3개월 만에 1700원선을 나타냈다. 국제유가 상승세의 영향으로 국내 휘발유 가격도 당분간 오름세를 유지할 전망이다. 지역별로 이번 주 전국 최고가 지역인 제주도의 휘발유 평균 가격은 전주보다 14.0원 오른 리터당 1788.0원이다. 최저가 지역인 부산은 전주보다 25.0원 오른 리터당 1687.5원이다. 서울의 휘발유 가격은 전날 오후 기준 리터당 1796원이다. 브랜드별로 GS칼텍스 휘발유가 리터당 1727.2원으로 가장 비쌌고, 알뜰주유소가 1684.5원으로 가장 저렴했다. 전국 주유소 경유 판매 가격도 전주 대비 29.0원 상승한 리터당 1540.2원으로 집계됐다. 국제유가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운 고조 등 지정학적 변수로 2014년 10월 이후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수입 원유의 기준이 되는 두바이유 평균 가격은 전주보다 2.3달러 오른 92.6달러를 기록했고, 국제 휘발유 평균 가격은 이번 주 3.0달러 오른 배럴당 109.1달러로 조사됐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 2022.02.19 10:31
연예

휘발유 가격 4주 연속 상승…전국 평균 L당 1691.8원

전국 주유소 휘발유 가격이 4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12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사이트 오피넷에 따르면 이달 둘째 주 주유소 휘발유 판매 가격은 L(리터)당 1691.8원으로 전주보다 24.2원 올랐다. 국내 주유소 휘발유 가격은 지난해 11월 L당 1천807.0원으로 2014년 9월 이후 7년여 만에 최고치를 찍은 뒤 정부의 유류세 인하 조치가 시행되며 9주 연속 하락했었다. 그러나 최근 국제유가 급등 영향으로 지난달 셋째 주부터 계속 상승 중이다. 주간 가격 상승 폭도 지난주까지는 10.1원, 18.9원, 15.2원 등으로 10원대를 기록하다가 이번 주에는 24.2원으로 확대됐다. 이번 주 전국 최고가 지역은 제주도로, L당 1774.0원을 기록했다. 서울의 휘발유 가격은 전날(11일) 오후 기준 L당 1775.8원으로 집계됐다. 전국 최저가 지역인 부산의 휘발유 가격은 L당 1662.5원이었다. 전국 주유소 경유 판매 가격도 전주 대비 25.2원 상승한 L당 1천511.2원으로 집계됐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2.02.12 11:25
연예

전국 주유소 기름값 3주째 하락…휘발유 L당 1677원

전국 주유소의 기름값이 유류세 인하 효과로 3주 연속 하락했다. 4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사이트 오피넷에 따르면 이번 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판매 가격은 지난주보다 9.8원 내린 L(리터)당 1677.7원으로 집계됐다. 휘발유 가격 하락폭은 유류세 인하 시행 첫 주인 11월 셋째 주 90.4원, 11월 넷째 주 29.1원에서 이번 주는 9.8원으로 줄었다. 정부가 인하한 유류세는 휘발유의 경우 L당 164원인데 유류세 인하가 시행된 지 3주가 된 현재까지 실제 인하폭은 129.3원 정도다. 앞으로 나머지 인하분까지 반영되면서 휘발유 가격은 하락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지역별로 보면 전국 최고가 지역인 제주 휘발유 가격은 전주보다 0.8원 하락한 L당 1739.5원, 최저가 지역인 부산은 15.2원 하락한 L당 1641.2원이었다. 전국 주유소의 경유 가격도 전주보다 8.7원 하락해 L당 1503.2원을 기록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1.12.04 10:02
경제

휘발윳값 8주 연속 상승…유류세 인하 효과 다음 주부터

이번 주 국내 휘발유 가격이 8주 연속 상승했다. 지난 12일부터 적용한 유류세 인하 정책의 효과는 다음 주에 나타날 전망이다. 13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11월 둘째 주 주유소 휘발유 판매가격은 전주 대비 19.0원 오른 리터당 1807.0원이다. 경유 판매가격도 전주 대비 17.4원 상승한 리터당 1602.6원을 나타냈다. 11월 첫째 주 정유사 휘발유 공급가격은 전주 대비 52.3원 상승한 리터당 1756.3원, 경유 공급가격은 23.0원 오른 리터당 1521.7원이다. 휘발유 기준 알뜰주유소의 평균가격이 리터당 1777.5원으로 가장 낮았고, GS칼텍스 주유소가 가장 높은 1815.7원을 기록했다. 최고가 지역인 제주 휘발유 가격은 전주 대비 40.7원 상승한 리터당 1895.4원으로 전국 평균 대비 88.4원 높았다. 최저가 지역인 부산 휘발유 가격은 전주 대비 19.2원 상승한 리터당 1784.1원으로 전국 평균 대비 22.9원 낮았다. 이번 주 국제유가는 미국 인프라 투자 법안 하원 통과, 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 개발, 인도 석유제품 수요 증가 등의 영향으로 하락세를 보인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 2021.11.13 10:48
경제

서울 휘발윳값 1800원 돌파…유가 고공행진

국제유가가 연일 치솟고 있는 가운데 서울 휘발윳값이 리터당 1800원을 넘어섰다. 18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 따르면 서울의 평균 휘발윳값은 리터당 1801.55원으로 전날보다 4.97원 올랐다. 전국 평균 휘발윳값도 1725.87원으로 전일 대비 5.04원 상승했다. 이미 리터당 휘발유 가격이 2000원 중반대를 찍은 곳도 있다. 서울 중구 서남주유소(2577원)와 용산구 서계주유소(2533원)가 대표적이다. 지역별로 봤을 때 서울 다음으로 제주(1768원)·인천(1739원)·대전(1735원)·경기(1734원)의 휘발윳값이 높게 책정됐다. 가장 낮은 곳은 부산(1698원)이었으며, 경상도와 전라도 대부분 지역에서 리터당 1700원 초반대에 가격을 형성했다. 앞서 전국 휘발유 가격이 최고가를 기록했던 시기는 리터당 2000원을 넘었던 2012년이다. 당시 국제유가 급등 영향으로 2012년 8∼10월 리터당 2000원을 상회했다. 업계는 수요 증가에 따른 공급 부족에 환율 상승까지 겹쳐 유가가 오른 것으로 보고 있다. 겨울철 난방 수요까지 더해지면 국민 부담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이에 한시적 유류세 인하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 2021.10.18 17:17
경제

휘발유 리터당 1544.9원...23주 연속 상승세

6일 한국석유공사 유가 정보 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1월 첫째 주 주유소 휘발유 판매가격은 전주보다 1.8원 오른 리터(ℓ)당 1544.9원을 기록했다.이는 23주 연속 오른 기록이다. 경유 가격도 전주보다 1.8원 상승한 ℓ당 1337.0원으로 집계됐다. 상표별로는 알뜰주유소의 휘발유 판매가격이 전주 대비 2.3원 오른 1513.3원, 경유는 2.1원 상승한 1305.6원으로 가장 낮았다.SK에너지 제품이 제일 비쌌다.휘발유 가격은 전주보다 1.2원 오른 1천566.9원, 경유 가격은 1.1원 상승한 1359.6원을 나타냈다.지역별로는 제주 지역 휘발유 가격이 다른 지역과 달리 전주보다 12.2원 내린 1600.2원을 기록했다.최고가 지역인 서울의 휘발유 가격은 1639.1원(1.4원↑)으로 전국 평균 가격보다 94.2원이나 높았다.경남 지역 휘발유 가격은 1524.9원으로 전주보다 1.9원 올랐지만,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한국석유공사는 "주요국 경제 지표 개선, 미국 원유 재고 감소, 미국 정제 부문 수요 증가, 이란의 지정학적 리스크 증가 등으로 국제유가가 소폭 상승함에 따라 국내 유가는 강보합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서지영 기자saltdoll@joongang.co.kr 2018.01.06 18:09
연예

휘발유 가격 최근 3년 중 최저 수준

휘발유 값이 5주째 하락해 최근 3년 중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경유 가격은 21주 연속 내렸다.9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 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지난 한주간 주유소에서 판매된 휘발유 평균 가격은 전주보다 3.4원 떨어진 ℓ당 평균 1850.0원을 기록했다. 이는 최근 3년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경유는 4.4원 하락한 1652.1원에 유통된 것으로 집계됐다. 등유는 0.6원 내린 1311.8원에 판매됐다.지역별로는 휘발유를 기준으로 서울(1943.4원), 제주(1877.0원), 경기(1858.4원), 강원(1857.3원), 충남(1857.0원) 순으로 가격이 높았다. 제주는 최근 하락폭이 가장 컸지만 이번 주에는 유일하게 상승했다. 대구(1820.4원), 울산(1827.6원), 경북(1830.3원), 광주(1831.1원), 경남(1837.1원) 등은 상대적으로 기름값이 저렴했다. 주요소별로는 SK에너지(096770)가 1868.4원으로 가장 비쌌고 GS칼텍스(1858.2원), 에쓰오일(S-OIL(010950))(1839.9원), 현대오일뱅크(1836.1원) 순으로 내려갔다. 알뜰주유소는 1819.8원이었다. 형태별로는 셀프 주유소 1815.6원, 비(非)셀프 주유소 1855.4원으로 39.8원의 가격 차이를 보였다.석유공사 관계자는 "국제유가가 미국 원유수요 감소·달러화강세 등의 영향으로 약세를 기록함에 따라 국내 석유제품 소비자 판매가격은 계속해서 하향안정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J비즈팀 2014.08.09 11:54
경제

‘기름값 서울 가장 비싸고, 대구가 가장 싸’

전국에서 기름값이 가장 비싼 곳은 서울, 가장 싼 곳은 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휘발유 20리터를 채우면 서울에서는 3만9134원을 내야하는 반면, 대구에서는 그보다 3000원가량 싼 3만6831원을 내면 된다. 한국석유공사가 집계한 2014년 2분기 지역별 보통휘발유 가격에 따르면 서울 기름값이 1리터당 1956.73원으로 가장 비쌌다. 이어 제주 1892.57원, 충남 1876.78원, 경기 1876.44원, 강원 1874.36원 순이었다. 대구 다음으로 기름값이 가장 싼 곳은 1리터당 1841.59원에 파는 대구였다. 울산(1844.69원), 광주(1848.94원), 경북(1850.38원), 경남(1856.81원)도 기름값이 싼 편에 속했다. 석유업계 관계자는 서울 기름값이 가장 비싼 이유에 대해 “ 땅값이 높아 주유소의 임대료 부담이 고스란히 기름값이 반영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상대적으로 땅값이 싼 강북이 강남보다 기름값이 싼 것도 그래서다. 실제로 서울에서도 임대료가 비싸기로 이름난 종로, 중구, 용산구의 경우 평균 기름값도 2194원으로 가장 비쌌다. 마찬가지로 임대료가 비싼 강남구도 평균 기름값이 2118원으로 2100원을 넘었다. 반면 비교적 임대료가 싼 외곽지역인 도봉, 강북, 성북, 은평, 금천구의 경우 평균 기름값이 평균 기름값이 1891.5원으로 1900원 이하로 떨어졌다. 한편 석유업계에서는 대구의 기름값이 싼 이유로 과당경쟁을 꼽았다. 대구에는 424개 주유소(5월말 기준)가 밀집해 있어 주유소들의 출혈경쟁으로 기름값도 싸고 주유수 폐업도 잦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형구 기자 ninelee@joongang.co.kr지역별 보통 휘발유 가격(ℓ/원)서울 1956.73부산 1858.55대구 1841.59인천 1869.79광주 1848.94대전 1866.67울산 1844.69경기 1876.44강원 1874.36충북 1866.89충남 1876.78전북 1858.11전남 1860.51경북 1850.38경남 1856.81제주 1892.57세종 1869.19 2014.07.10 07:00
연예

국내 휘발유 가격 2000원 시대 눈앞

국내 휘발유 가격이 조만간 2000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한국석유공사가 운영하는 유가정보사이트 오피넷에 따르면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가격은 23일 오후 현재 리터당 1990.15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달 4일 이후 48일 연속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 지열별로는 서울에서 평균 휘발유 가격이 2066.64원으로 2000원을 이미 넘어섰다. 특히 서울 영등포구·중구·강남구·서초구 등의 일부 주유소에서는 리터당 2300원을 돌파했으며 가장 비싼 곳은 2345원이나 된다. 인천·경기·제주 등 지방의 일부 주유소에서도 리터당 2000원이 넘어섰다. 전문가들은 금융위기에 따른 환율 상승으로 기름값이 오르고 있다고 분석했다. 원·달러 환율이 1150원(23일 기준)으로 오르면서 기름값 인상을 이끌고 있으며 이 영향으로 휘발유 가격도 계속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권오용 기자 [bandy@joongang.co.kr] 2011.10.23 19:57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