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8건
IT

5G 전국 커버리지 75%…SKT 다운로드 속도 1위

상용화 5년 차인 5G 서비스의 전국 커버리지가 75%를 넘어섰다. 다운로드 속도는 점유율 1위 SK텔레콤이 가장 빨랐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23년 통신 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및 품질 평가' 결과를 27일 발표했다.올해 10월 기준 옥외 5G 커버리지 면적은 3사 평균 7만5763.59㎢로 75.25%를 기록했다. 전국 지하철 역사 및 노선, 고속철도 역사 및 노선, 고속도로 노선 전체에 5G 커버리지를 구축한 것으로 파악됐다.180개 주요 시설의 5G 접속 가능 비율은 이통 3사 평균 96.62%다. 이 수치가 낮을수록 5G 전파의 신호 세기가 약하다는 의미다.5G 다운로드 속도는 3사 평균 939.14Mbps다. 전년 대비 4.8% 개선됐다. 통신사별로는 SK텔레콤 987.54Mbps, KT 948.88Mbps, LG유플러스 881.00Mbps로 조사됐다.서울 지역의 다운로드 속도는 3사 평균 1092.62Mbps로, 전년보다 15.7% 향상됐다. SK텔레콤(1101.37Mbps), LG유플러스(1099.79Mbps), KT(1076.71Mbps)의 순으로 빨랐다.LG유플러스는 5G 주파수 추가 할당의 영향으로 속도가 전년 대비 21.9% 개선됐다.전체 400개 점검 지역 중 5G 서비스 품질 미흡 지역은 3사 평균 10.7개다. SK텔레콤 10개, KT 9개, LG유플러스 13개로 나타났다.정길준 기자 kjkj@edaily.co.kr 2023.12.27 14:25
보도자료

도이치모터스, 사직오토랜드 450억원에 인수

- 플랫폼 네트워크 강화로 시너지 확대 기대 자동차 종합 서비스 기업 도이치모터스(대표 권혁민)가 부산광역시에 기반을 둔 대규모 중고차 매매단지인 사직오토랜드의 지분 100%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인수 총액 규모는 450억원으로, 사직오토랜드는 도이치모터스의 종속회사로 편입될 예정이다. 2015년 설립된 사직오토랜드는 부산 연제구 사직종합운동장 인근에 위치한 프리미엄 중고차 복합단지다. 대지 1만6434㎡(약 4971평), 건물 연면적 1만9021㎡(약 5753평) 규모에 매매상사 58개가 입점해 차량 1500여대를 전시하고 있다. 이 밖에 금융사, 보험사, BMW 중고사업부 등 각종 부대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임대 및 수수료로 41억1471만원의 매출을 올리는 동안 13억4579만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권혁민 도이치모터스 대표는 “대형 매매단지인 수원 도이치오토월드 운영으로 축적해 온 사업 노하우와 서비스 역량을 확대하기 위해 부산과 경남 지역의 주요 매매단지 인수를 지속적으로 검토해왔다”며, “이번 사직오토랜드 인수를 시작으로 중고차 매매 플랫폼의 전국적 네트워크화를 꾀해 그룹 전 계열사의 시너지를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프리미엄 브랜드 수입차 유통으로 성장해 온 도이치모터스는 중고차 매매 플랫폼 강화 전략을 펼치며 신사업 확대를 꾀하고 있다. 최근 새롭게 론칭한 온라인 중개 플랫폼 ‘차란차’를 앞세운 가운데, 글로벌 최대 규모의 복합단지인 도이치오토월드에 이어 부산·경남 지역의 사직오토랜드를 품게 되면서 중고차 매매 부문에서 본격적인 시너지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도이치오토모빌그룹 자회사인 통합 모빌리티 플랫폼 전문기업 차란차㈜는 사직오토랜드 인수를 통하여 오프라인 인프라와 온라인 중고차 플랫폼의 시너지 및 성장 가속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특히 이번 인수를 통하여, 지난 8월 새롭게 런칭한 ‘차란차 홈서비스’의 커버리지를 확대하고, 차란차 서비스 내 인증 중고차 증가 등 고객이 신뢰할 수 있는 중고차를 보다 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차란차는 고객의 서비스 만족도를 상승시키는 한 편, 중고차 플랫폼 시장 내에서 차란차의 영향력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온라인 일간스포츠 2022.11.22 16:32
생활/문화

5G 중계기 겨우 3만대…실내서 안 터지는 이유 있었네

상용화 3년이 지난 5G 서비스의 체감 품질이 개선되지 않은 것은 실외에만 집중한 이동통신 3사의 설비투자 때문으로 나타났다. 1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이통 3사의 5G 무선국 46만대 가운데 기지국은 43만대(94%)로 대부분을 차지했지만, 중계기는 3만대(6%)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기지국은 건물 외벽이나 옥상에 설치된다. 실외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비다. 중계기는 기지국이 보낸 전파가 닿지 않는 실내 음영지역의 품질을 개선하는 데 쓰인다. LTE의 경우 전체 무선국 231만대 중 기지국은 155만대(67%)였고, 중계기는 75만대(33%)였다. 이처럼 이통 3사가 특정 장비에만 투자를 집중하면서 실내외 5G 품질 격차가 벌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기지국은 삼성전자·에릭슨·노키아·화웨이 등 글로벌 기업들이 만들지만, 중계기는 국내 중소 사업자들이 주로 제작한다. 지난해 과기정통부가 실시한 5G 서비스 품질평가에서 85개 시 실외 커버리지 면적은 3사 평균 1만9044.04㎢로 전년 대비 252%가량 확대됐다. 통신사별로 SK텔레콤(2만2118.75㎢)·LG유플러스(1만8564.91㎢)·KT(1만6448.47㎢)의 순으로 넓었다. 서울과 6대 광역시는 도시지역 대부분에, 중소도시는 동 지역을 중심으로 주요 거주·활동 지역 위주로 구축됐다. 이에 반해 실내 커버리지의 경우, 5G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85개 시 주요 다중이용시설은 3사 평균 4420곳으로 전년보다 58.3% 늘어나는 데 그쳤다. KT(4495곳)·SK텔레콤(4409곳)·LG유플러스(4357곳) 모두 비슷한 수준이다. 시설 내 5G 접속 가능 비율은 평균 95.36%로, 전년과 비교해 4.37%포인트 향상됐다. 이와 관련해 업계는 실내외 관계없이 원활한 5G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억울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통사 관계자는 "5G와 달리 LTE는 여러 대역을 쓰기 때문에 들어가는 장치의 수가 다르다. 단순히 숫자만 놓고 비교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실내 품질 개선을 위해서도 꾸준히 투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렇게 5G 품질 논란이 끊이지 않는 상황에서도 이통사는 설비투자 규모를 해마다 줄이고 있다. 3사 합산 재작년 8조2720억 원에서 지난해 8조2050억 원으로 0.8% 낮췄다. 반면 5G 가입자가 2021년 11월 2000만명을 넘어서면서 이통사의 실적은 고공행진하고 있다. 합산 영업이익이 작년 1~3분기 연속으로 1조 원을 돌파한 데 이어 연간으로 4조 원에 이르는 성과를 냈다. 올해 1분기에도 호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증권가는 보고 있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 2022.04.18 16:07
생활/문화

5G 가입자 2000만 돌파…SKT, 점유율 1위 굳건히

올해 상용화 3년 차에 접어든 5G 서비스가 2000만명이 넘는 가입자를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국내 5G 가입자는 2018만9808명으로 집계됐다. 회사별로 SK텔레콤이 952만150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KT가 615만7643명, LG유플러스가 446만2101명으로 뒤를 이었다. SK텔레콤이 47%로 절반에 가까운 점유율을 가져갔다. KT는 30%, LG유플러스는 22%다. 알뜰폰 5G 사용자는 4만9914명으로 조사됐다. LTE 이용자 수는 감소세를 이어갔다. 2019년 4월 5G 상품 출시 후 2년 약정이 끝난 지난해 5월 25만명가량 늘었다가 다시 줄기 시작해 9월 4000만명대로 떨어졌다. 11월 기준 LTE 가입자는 4854만6633명이다. 마찬가지로 SK텔레콤이 점유율 약 40%로 1위다. LG유플러스가 KT보다 30만명가량 더 많은 가입자를 보유한 것으로 집계됐다. 과기정통부가 최근 발표한 2021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를 보면, 5G 내려받기 전송속도는 3사 평균 801.48Mbps로 전년 대비 16.1% 향상됐다. 85개 시 5G 커버리지 지역 면적은 3사 평균 1만9044.04㎢로, 2020년 하반기 대비 3.5배 확대됐다. 주요 시설 내부의 경우, 85개 시 주요 다중이용시설 약 4500여곳 중 5G를 이용할 수 있는 시설 수는 3사 평균 4420곳으로 전년 대비 58.3% 증가했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 2022.01.01 11:42
생활/문화

이통 3사 중 5G 속도 가장 빠른 곳은 SK텔레콤

SK텔레콤의 5G 속도가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KT는 실내·시설과 교통인프라, LG유플러스는 서울 커버리지에서 강한 모습을 보였다. 3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1년 통신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에 따르면, 5G 내려받기 전송속도는 3사 평균 801.48Mbps 수준으로, 전년 대비 16.1%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SK텔레콤이 929.92Mbps로 가장 빨랐으며 KT가 762.50Mbps, LG유플러스가 712Mbps로 뒤를 이었다. 5G 업로드 속도는 3사 평균 83.01Mbps다. 마찬가지로 SK텔레콤이 96.06Mbps로 가장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 KT와 LG유플러스는 76.48Mbps로 같았다. 5G 망 안정성 지표인 LTE로의 전환율은 내려받기 시 3사 평균 1.88%로, 전년 대비 3.61%포인트 개선됐다. SK텔레콤이 1.71%로 상대적으로 양호했다. LG유플러스는 1.94%, KT는 1.98%로 집계됐다. 지연시간은 3사 평균 18.51ms로 전년 대비 39.2% 짧아졌다. SK텔레콤 17.09ms, LG유플러스 19.32ms, KT 19.41ms의 순이다. 이통사가 공개하는 85개 시 5G 커버리지 면적은 3사 평균 1만9044.04㎢로 2020년 하반기 대비 3.5배 확대됐다. SK텔레콤 2만2118.75㎢, LG유플러스 1만8564.91㎢, KT 1만6448.47㎢로 전해졌다. 서울·6대 광역시는 도시지역 대부분에, 중소도시는 동 지역을 중심으로 주요 거주·활동지역 위주로 구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LG유플러스가 603.52㎢로 서비스 면적이 가장 넓었다. 주요 시설 내부(인빌딩)의 경우, 85개 시의 주요 다중이용시설 약 4500여곳 중 5G를 이용할 수 있는 시설 수는 3사 평균 4420곳(98%)으로, 전년 대비 58.3% 증가했다. KT가 4495곳으로 가장 많았다. SK텔레콤은 4409곳, LG유플러스는 4357곳을 보유하고 있다. KT 관계자 본지에 "고객이 실생활에서 5G 무선 품질을 가장 많이 체감하게 되는 실내·시설 및 교통인프라(지하철·고속도로 등) 구축에서 1위를 지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 2021.12.30 16:01
생활/문화

KT 5G, 실내서 가장 잘 터졌다…속도는 SKT·커버리지는 LGU+

KT의 5G 서비스가 다중이용시설과 같은 실내에서 가장 우수한 품질을 보여준 것으로 나타났다. 다운로드 속도는 SK텔레콤이 가장 빨랐으며, 커버리지(범위)는 LG유플러스가 가장 넓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과 실시한 2021년 5G 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및 품질평가의 중간결과를 31일 발표했다. 평가 대상은 85개 시 전체 행정동이다. 백화점·도서관·공항 등 주요 다중이용시설 약 4500여개 중 5G를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은 3사 평균 3707곳이다. 통신사별로 KT가 4205곳, SK텔레콤이 3923곳, LG유플러스가 2992곳으로 집계됐다. 5G 서비스에 안정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면적은 96%로 전년 하반기(90.99%)대비 개선됐다. 전체 지하철 역사 1028곳 중 835곳에 5G가 구축됐다. 고속철도(KTX·SRT)는 전체 역사 54곳 중 3사 평균 53곳, 전체 55개 구간 중 3사 평균 51개 구간에 5G 네트워크가 깔렸다. 옥외는 85개 시 5G 커버리지 면적이 3사 평균 6271.12㎢다. LG유플러스 6805.25㎢, KT 6333.33㎢, SK텔레콤 5674.79㎢의 순으로 넓었다. 과기정통부는 "서울과 6대 광역시는 임야 등을 제외한 도시지역 대부분, 78개 중소도시는 유동인구 밀집지역·도심지역 등 주요 거주·활동지역 위주로 5G가 구축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통 3사 5G 서비스 커버리지 맵 현황. 5G 다운로드 전송 속도는 3사 평균 808.45Mbps 수준으로, 전년 대비 117.98Mbps 올랐다. SK텔레콤 923.20Mbps, KT 782.21Mbps, LG유플러스 719.94Mbps의 순서로 빨랐다. 이용자 NIA 앱 상시평가 결과도 SK텔레콤 872.99Mbps, KT 703.49Mbps, LG유플러스 651.46Mbps의 순이었다. 5G 망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5G에서 LTE로의 전환율은 다운로드 시 3사 평균 1.22%(전년 5.49%), 업로드 시 평균 1.25%(전년 5.29%)로 개선됐다. 다운로드 기준 SK텔레콤 1.17%, LG유플러스 1.22%, KT 1.26% 수준이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 2021.08.31 17:05
생활/문화

5G 상용화 1년 반 지났는데…안 터지는 다중시설 40% 육박

5G 서비스가 상용화된 지 1년 반이 넘었지만 전국 다중이용시설 중 40%는 아직 서비스가 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0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과 함께 실시한 2020년도 통신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5G를 포함한 품질평가는 올해 8월 발표된 상반기 조사에 이어 이번이 2번째다. 조사 대상은 서울 및 6대 광역시에서 전국 85개시 주요 행정동으로 확대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5G 통신 속도는 SK텔레콤이, 서비스 커버리지는 LG유플러스가, 다중이용시설 망구축은 KT가 가장 뛰어났다. 3사 평균 옥외 서비스 커버리지는 서울이 약 478.17㎢, 6대 광역시가 약 1417.97㎢로, 임야를 제외한 주요 지역의 상당 부분에서 5G를 이용할 수 있다. 78개 중소도시는 약 3513.16㎢로, 도심을 중심으로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다. 85개시 커버리지 면적은 통신사별로 LGU+ 6064.28㎢, SKT 5242.68㎢, KT 4920.97㎢였다. 주요 다중이용시설의 경우 85개 시 4516곳 중 5G 이용 가능한 시설은 2792개로 전체의 61.8%였다. 아직도 40% 가량은 5G가 터지지 않고 있다. 주요 다중이용시설 및 기타 시설을 포함해 5G 이용 가능한 시설은 3사 평균 3486개로, 사별로는 KT 4571개, SKT 3814개, LGU+ 2072개였다. 지하철 중 지하역사는 424곳에서 5G 서비스 이용이 가능해 상반기 313개보다 35.5% 늘어났다. 수도권 지하철은 전체 458개 중 50.9%인 3사 평균 233개에 5G 구축이 완료됐고, 비수도권 지하철은 모두 구축이 완료됐다. 주요 20개 고속도로 노선 102개 구간 중에서는 3사 평균 72개 구간에 5G가 구축됐다. 3사 평균 5G 다운로드 속도는 상반기(656.56Mbps) 대비 33.91Mbps 향상된 690.47Mbps였고, 평균 업로드 속도는 63.32Mbps였다. 사별 다운로드 속도는 SKT가 795.57Mbps으로 제일 뛰어났고, 다음은 KT 667.48Mbps, LGU+ 608.49Mbps 순이었다. 5G 커버리지 내에서 5G 이용 중 LTE로 전환된 비율은 다운로드 시 평균 5.49%, 업로드 시 평균 5.29%로 상반기보다 개선됐다. 다운로드 기준 사별 전환율은 SKT 3.95%, LGU+ 4.29%, KT 8.22% 순이다. LTE 서비스는 평균 다운로드 속도 153.10Mbps(전년 158.53Mbps 대비 5.43Mbps↓) 평균 업로드 속도 39.31Mbps(전년 42.83Mbps 대비 3.52Mbps↓)로 서비스 이후 처음으로 속도가 느려졌다. 이는 통신사들이 지난해부터 5G 투자에 집중하면서 상대적으로 LTE 투자를 줄인 것이 요인으로 꼽힌다. 와이파이 다운로드 평균 속도는 상용 서비스 381.32Mbps(전년 333.51Mbps), 개방 서비스 414.66Mbps(전년 374.18Mbps), 공공 서비스 335.41Mbps (전년 394.76Mbps)로 측정됐다. 정세균 국무총리가 공동위원장으로 있는 소비자정책위원회는 현재 5G 통신망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한 상황에서 서비스를 개시해 각종 소비자 불만이 나온다고 보고 피해구제 방안 마련을 주문했다. 위원회는 이날 이동통신사업자가 신규 통신망을 활용한 서비스를 개시할 때는 통신품질 관련 피해구제 방안 등을 이용약관에 규정하도록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권고했다. 권오용 기자 kwon.ohyong@joongang.co.kr 2020.12.30 12:19
생활/문화

SKT, 5G 상용망 구축 현장 첫 공개

SK텔레콤이 내달 1일 5G 전파 송출을 앞두고 서울 중구 명동에 설치된 5G 상용망을 14일 공개했다.이 5G상용망은 SK텔레콤이 서울, 수도권, 주요 광역시 거점에 구축하고 있는 5G 최초 지역 중 하나다.SK텔레콤은 지난 9월 장비사 선정, 10월 상용화 최종 단계 ‘퍼스트콜’ 성공 등에 이어 이날 5G 상용망 구축 현장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초기 5G는 3.5GHz 주파수 대역을 활용한다. 이 주파수 대역은 LTE 주파수 대비 직진성이 강하고 장애물 영향을 많이 받는다. 5G 장비의 설치 높이, 방향에 따라 품질이 달라져 정교한 커버리지 설계가 요구된다.SK텔레콤은 지난해 초 3.5GHz/28GHz 주파수 대역 특성을 반영한 5G 3D 설계 솔루션 ‘5G T-EOS'를 자체 개발했다.5G T-EOS는 3D맵을 기반으로 5G상용망 설치 높이, 각도에 따라 어떻게 전파가 고객에게 도달하고, 최적의 품질을 낼 수 있는지 실시간 분석한다. 프로그램 상에 기지국 위치를 지정하면, 주변 기지국과 연동해 커버리지 빈틈이 어디 있는지 알려준다.회사 측은 "이 솔루션은 34년간 쌓인 SK텔레콤 네트워크 기술의 결정체"라며 "솔루션에는 약 1000만개 건물 데이터베이스, 산악 지역이 많은 한국 지형 특성, 10년간 데이터 트래픽 변화 등 빅데이터가 담겨 있다"고 말했다. SK텔레콤이 이날 공개한 5G 기지국은 높이 약 1m, 폭 23cm, 무게 24kg이다. 설치 공간을 많이 필요로 하지 않는다. LTE기지국은 안테나와 서버를 현장에 각각 설치해 최소 10㎡ (약 3평) 면적을 필요로 했다.SK텔레콤은 작아진 5G기지국을 건물 옥상, 철탑 외에 유휴 공간 구석구석에 설치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크기는 작아졌지만, 5G 기지국 내부에 들어간 기술은 훨씬 고도화됐다. LTE기지국당 4개였던 안테나는 5G 기지국에 32개가 들어간다. 최소 8배 많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다.명동은 유동 인구가 많아 일간 데이터 트래픽 변동폭이 크다. 크리스마스 전야·새해 등 주요 기념일에 전국 최고 트래픽을 기록하는 지역 중 하나이다.SK텔레콤은 높은 기술 난이도를 요구하는 명동을 ‘5G 품질 바로미터’로 보고 있다. 이곳에서 5G 품질을 최적화하며 얻은 기술·노하우를 5G전국망 구축에 활용할 계획이다.SK텔레콤은 향후 명동 ‘관광특구’, ICT체험 랜드마크인 을지로 본사 ‘티움’, 종로 ‘스마트 오피스’를 아우르는 ‘세계 5G 1번지’를 구축할 계획이다. 권오용 기자 kwon.ohyong@jtbc.co.kr 2018.11.15 00:29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