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gma2024 ×
검색결과16건
산업

30대 그룹 CEO 평균 연령 높아졌다...하림 1위, 포스코 2위

30대 그룹 계열사 최고경영자(CEO)들의 평균 연령이 높아졌다. 6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재계 순위 30대 그룹 계열사 중 올해 1분기 보고서를 제출한 297개 기업의 CEO 이력을 조사한 결과, CEO 평균 연령은 58.2세로 작년 동기의 57.9세보다 0.5세 상승했다.외부 경력 출신 CEO 비중은 21.4%에서 20.1%로 줄었다. 대신 자사 출신 비중이 78.6%에서 79.8%로 커졌다.직무별로는 재무(11.7%→14.5%) 및 경영지원(15.3%→17.3%) 출신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외부에서 영입한 CEO 비중이 많이 줄어든 곳은 신세계그룹(4명→2명), CJ그룹(2명→1명) 등이다.리더스인덱스는 이 같은 변화를 지난해부터 내수경기 악화와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증대로 안정적이고 보수적인 경영을 하려는 조치가 반영된 결과라고 해석했다.올해 계열사 CEO 평균 연령이 가장 높은 곳은 하림그룹으로 63.6세였다. 이어 포스코그룹 62.1세, CJ그룹 61.5세, 중흥건설 61.0세, GS그룹 60.9세, 영풍그룹 60.7세, 농협그룹 60.4세, HMM 60세 순이었다.30대 그룹 중 CEO 평균 연령이 가장 높아진 곳은 LS그룹이다. 계열사 CEO 15명의 평균 연령이 작년 56.1세에서 올해 58.7세로 2.6세 늘었다. 최근 오너 일가 3세들이 경영 전면에 나선 가운데 경험이 풍부한 전문경영인이 이들을 보좌하면서 평균 연령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CJ그룹은 CEO 13명의 평균 연령이 작년 58.9세에서 올해 61.5세로 2.6세 높아졌고, 신세계그룹은 CEO 12명의 평균 연령이 55.0세에서 56.9세로 1.9세로 올라갔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4.08.06 09:11
산업

30대 그룹, 사장·전무급 임원 줄어 세대교체 바람...1970년 이후 45% 넘어

국내 30대 그룹이 사장·전무급 임원을 줄이고 부사장·상무급 임원을 대폭 늘려 세대교체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자산순위 상위 30대 그룹의 계열사 중 사업보고서를 제출하는 267개 기업의 임원현황을 조사한 결과, 3분기 말 기준 이들 기업의 전체 임원은 지난해 말보다 1.6% 증가한 1만496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임원 수는 변동 폭이 크지 않으나, 직급별로 보면 부회장·사장·전무급 임원은 줄어들고, 부사장·상무 임원은 대폭 늘었다. 직급별로 30대 그룹의 부회장단은 지난해 말 54명에서 올해 3분기 말 48명으로 11.1% 감소했다. 사장급 임원도 같은 기간 300명에서 277명으로 7.7% 감소했다. 다만 부사장 직급은 808명에서 1071명으로 32.5% 급증했다. 이처럼 부사장이 늘어난 것은 지난해 말 삼성의 인사제도 개편으로 부사장과 전무 직급이 부사장으로 통합된 것이 영향을 미쳤다. 초임 임원인 상무급 임원은 7573명으로 지난해 말보다 2.8% 증가했다. 그룹별로 삼성 22개 계열사의 전체 임원 수는 지난해 말 2076명에서 3분기 말 2050명으로 26명 줄었다. 이재용 회장이 지난달 27일 회장으로 취임했고, 부회장단은 4명에서 3명으로 줄었다. 사장단은 지난해 말 35명에서 3분기 말 39명으로 늘었다. SK그룹 31개 계열사의 3분기 말 임원 수는 1051명으로 지난해 말보다 10.7% 증가했다. 특히 상무급 임원 수가 721명에서 822명으로 14.0% 증가했다. 현대차그룹의 19개 계열사들의 임원 수는 지난해 말 1353명에서 올해 3분기 말 1366명으로 13명 늘었다. 같은 기간 LG그룹 16개 계열사의 임원 수는 935명에서 971명으로 36명 증가했다. 30대 그룹 임원을 출생연도별로 보면 1970년 이후 출생한 임원의 비중이 지난해 말 40.4%에서 3분기 말 45.6%로 5.1% 증가했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2.11.29 10:52
경제

4대 그룹 순이익 '전체 83%'···코로나 위기에도 쏠림 현상 가속

4대 그룹인 삼성, 현대자동차, SK, LG의 당기순이익이 30대 재벌 당기순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83%로 증가했다. 5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장혜영 정의당 의원이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0년 자산규모 상위 4대 기업집단인 삼성, 현대차, SK, LG의 당기순이익은 37조6040억원으로 전년보다 2조2030억원 늘었다. 이는 2019년의 전체 71% 비율보다 12%나 확대된 규모다. 반면 자산규모 상위 30대 기업집단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45조304억원으로 전년보다 4조5690억원 줄었다. 지난해 4대 기업집단의 매출액은 778조7830억원으로 전년보다 4조6350억원 감소했다. 30대 기업집단 매출액도 지난해 1373조2천720억원으로 전년보다 53조8400억원 줄었다. 그러나 30대 기업집단 매출액 중 4대 기업집단이 차지하는 비율은 당기순이익과 마찬가지로 2019년 54.9%에서 지난해 56.7%로 1.8%포인트 올라갔다. 코로나19 정국에서도 매출과 이익이 4대 재벌에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2017년 이후 2019년까지 대규모 기업집단의 매출액과 자산이 전체 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줄었으나 감소 폭은 작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4대 기업집단 매출액이 전체 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7년 16.2%에서 2019년 15.7%로 0.5%포인트 줄었다. 4대 기업집단 자산이 전체 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같은 기간 13.9%에서 12.8%로 0.9%포인트 감소했다. 장 의원은 "문재인 정부가 거듭 4대 재벌 개혁을 약속했는데도 대규모 기업집단 내 4대 재벌 '쏠림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며 "재벌개혁 전반의 성과를 찾기 어려운데 그 사이 국정농단 주범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가석방돼 경영에 복귀했다. 해체한다던 전경련은 중대재해기업처벌법 등 개혁법안에 다시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1.10.05 11:28
경제

농협 10대 그룹 신규 진입, 카카오 매출성장 1위, 삼성 부동의 1위

1~6위를 제외하고 국내 30대 그룹의 자산 규모가 10년 새 크게 바뀐 것으로 조사됐다. 8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조사한 국내 30대 그룹 순위에서 삼성과 현대자동차, SK, LG, 롯데, 포스코는 상위 1~6위를 유지했다. 농협과 미래에셋, 현대백화점, 카카오 등 9개가 30대 그룹에 새로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CEO스코어는 지난 10년(2009∼2019년)간 국내 30대 그룹의 자산·시가총액·실적·재무현황 등의 변화를 조사했다. 삼성은 기업수 59개, 공정자산 424조8480억원으로 부동의 1위를 기록했다. 10년 전에 공정자산 규모가 100조원을 넘는 곳은 삼성과 현대차 2곳이었으나 10년 새 SK와 LG, 롯데도 100조원 그룹 대열에 합류했다. 매출 규모가 100조원을 넘는 곳은 10년 전의 경우 삼성(222조원) 뿐이었다. 하지만 지난해에는 삼성(315조원)과 현대차(185조원), SK(160조원), LG(122조원) 등 4곳으로 늘었다. 조사기간 매출이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난 곳은 카카오다. 사업보고서 제출을 시작한 2012년 465억원에서 지난해 4조2585억원으로 9066.9%나 급증했다. 7∼10위의 순위 변동은 컸다. 한화가 13위에서 7위로 뛰어올랐고 농협이 30위 밖에서 10위로 신규 진입했다. GS와 현대중공업은 각각 한 계단씩 떨어진 8위와 9위를 차지했다. 농협, 미래에셋, 현대백화점. 카카오를 비롯해 영풍, 한국투자금융, 교보생명보험, 하림, KT&G 등 9곳이 신규로 30위 내에 진입했다. 30대 그룹의 시가총액 규모는 10년 전 588조8169억원에 불과했다. 하지만 지난 3일 기준 1037조4617억원을 기록했다. 이들 30대 그룹이 차지하는 시가총액은 전체 주식시장 상장 기업의 시총(1741조2885억원)의 59.6%를 차지한다. 시총 규모는 삼성그룹이 519조355억원으로 1위고, SK(136조3057억원), LG(100조4540억원) 등도 100조원을 넘었다. 재계 2위 현대차그룹은 71조4698억원으로 4위를 기록했고, 카카오(25조8132억원)가 5위 자리에 올랐다. 반면 STX, DB, 현대, KCC, 한진중공업, 한국GM, 동국제강, 현대건설 등은 자산 축소 또는 인수합병과 실적 악화에 따른 자산 감소 등으로 30대 그룹에서 탈락했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0.07.08 14:13
경제

30대그룹 중 일자리창출 1위는 CJ

CJ그룹이 지난 1년 동안 국내 30대 그룹 가운데 가장 일자리를 많이 창출한 것으로 나타났다.15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에 따르면 국내 30대 그룹 계열사 중에서 분기보고서를 제출하고 전년도와 통계 비교가 가능한 267개사의 지난 9월 말 기준 고용 인원은 총 98만4901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1년 전보다 1만1187명(1.1%)늘어난 수치다.일자리가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CJ그룹이었다. 지난 3분기 말 현재 2만6555명으로, 1년 사이에 5849명(28.2%)이나 늘었다.계열사인 CJ프레시웨이가 간접 고용했던 급식 점포 서빙 및 배식 보조 직원을 직접 고용으로 전환하는 등 정규직 전환 작업을 활발히 진행한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이어 SK(5239명, 9.4%)와 삼성(4980명, 2.6%)이 2, 3위를 차지했다. 유통그룹인 롯데(3077명, 5.0%)와 현대백화점(1484명, 14.7%)도 직원 수가 비교적 큰 폭으로 증가했다.반면 금호아시아나는 금호타이어 계열 분리로 같은 기간 1만3929명에서 5053명(36.3%)이나 감소한 8876명으로 급감했다. 현대중공업(1668명, 5.5%), GS(1644명, 6.6%), 두산(1255명, 7.5%) 등도 1000명 이상 줄었다.개별 기업으로는 삼성전자가 1년만에 직원 수를 3187명(3.2%)이나 늘려 1위를 차지했다. CJ프레시웨이(3033명, 89.5%)와 SK하이닉스(2611명, 11.2%)가 뒤를 이었다.30대 그룹의 정규직은 1만5427명(1.7%) 늘어난 92만6502명이었으며, 비정규직은 5만8399명으로 1년 전보다 4240명(6.8%) 줄어 대기업에서 고용의 질이 개선된 것으로 평가됐다. 안민구 기자 an.mingu@jtbc.co.kr 2018.11.15 13:22
경제

2000년 이후 30대그룹 판도 물갈이…17년 간 절반 물갈이

2000년 이후 17년 동안 국내 30대 그룹의 절반에 가까운 그룹이 해체되거나 탈락하는 등 큰 변화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31일 기업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국내 30대 그룹의 2000년 이후 공정자산 기준 순위 변화를 조사한 결과 30대 그룹 지위를 유지하고 있는 곳은 17곳(56.7%)에 불과했다.이 중 5개 그룹은 30대 그룹 밖으로 밀렸다가 다시 들어오는 우여곡절을 겪었다.포스코(6위)는 2003~2004년에, 현대백화점(23위)은 2005년과 2007~2009년에, OCI(24위)는 2001~2007년과 2009년, 효성(25위)는 2006년, 영풍(26위)}는 2003~2011년에 각각 30대 그룹 밖에 밀려났었다.17년 간 지위를 유지한 곳은 12곳이었다. 부동의 1위는 삼성으로 공정자산규모가 363조원에 달했다. 현대차(2위, 219조원)·SK(3위, 171조원)·LG(4위, 112조원)가 ‘톱4’를 차지했다. 이어 롯데·한화·신세계·두산·한진·CJ·대림·금호아시아나가 30대 그룹 지위를 유지했다.이 중 가장 약진한 곳은 신세계로 2000년 24위에서 지난해 11위까지 13계단 뛰었다. 이어 CJ·현대차·롯데·현대백화점·OCI·한화·SK·포스코도 약진한 그룹에 속했다.반대로 7곳은 순위가 하락했다. 금호아시아나는 2010년 형제의 난을 겪으면서 9위에서 19위로 10계단이나 추락했고, 한진은 지난해 한진해운의 청산 영향으로 6위에서 14위로 8계단 급락했다.현대그룹은 현대중공업의 계열 분리와 현대증권·현대상선의 매각 등으로 인해 지난해 30대 그룹 명단에서 밀려났다.이외에 현대정유·한솔·코오롱·동국제강·현대산업개발·대우전자(현 동부대우전자)·태광산업 등이 30대 그룹에서 탈락했고, 고합은 아예 역사 속에 사라졌다.조은애 기자 cho.eunae@joins.com 2017.05.31 16:05
경제

30대그룹 CEO 평균 재임기간 2.5년…10명 중 2명 1년 못 채워

국내 30대그룹 계열사 전문경영인(CEO)들이 임기 3년을 채우지 못하고 물러나는 것으로 조사됐다.9일 기업경영성과평가 사이트 CEO스코어가 2000년 이후 16년간 30대 그룹 계열사에서 대표이사로 재직한 2504명의 임기를 조사한 결과 평균 2.5년으로 집계됐다. 일반적인 임원 임기인 3년에도 못미치는 셈이다. 이번 조사는 2000년 이전에 선임됐다가 이후에 퇴임한 대표이사와 오너일가는 제외했다. 2000년 이후 계열 편입된 회사의 경우 계열편입일 이후 선임된 대표이사로 한정했고 다른 계열사로 전보되는 소위 ‘회전문’인사도 퇴임으로 간주했다.30대 그룹중 대표이사 재직기간이 가장 긴 곳은 영풍그룹이 평균 3.81년이었다. 지난 16년 간 15개 계열사에서 37명의 대표이사가 총 69.23년을 근무했다. 이어 하림이 3.71년으로 2위, 현대백화점 3.32년으로 3위였다. 신세계(3.28년), LS(3.14년), OCI(3.11년), KCC(3.06년) 등도 재직기간 3년을 넘어 비교적 긴 편이었다. 반면 대표이사 평균 재임기간이 가장 짧은 그룹은 부영이었다. 부영은 평균 임기가 1.23년으로 거의 매년 대표이사 교체가 이뤄지고 있는 셈이다. 이어 대우건설(1.76년), KT(1.90년)도 대표이사 재임기간이 2년에 못 미쳤다.안민구 기자 an.mingu@joins.com 2016.11.09 14:20
경제

30대 그룹 작년 투자…3분의 2 삼성·현대차·SK에 편중

지난해 30대 그룹의 투자액은 전년보다 늘었지만 상위 3대 그룹 의존도는 더 높아졌다. 삼성과 현대차, SK 등 3대 그룹의 투자액은 30대 그룹 전체 투자액의 65%를 차지하며 쏠림 현상은 심해졌다.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는 6일 국내 30대그룹 261개 계열사의 2015년 투자액이 총 76조292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2014년 277개 계열사의 투자액 64조4824억원에 비해 11조5467억원(17.9%) 늘어난 규모다. 이번 조사에서 연구개발(R&D) 투자는 포함되지 않았고 사업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은 부영도 제외됐다.분석 결과 투자의 대부분은 삼성과 현대차, SK 등 상위 3대 그룹이 주도했다. 이들 3개 그룹의 총 투자액은 49조4810억원으로 30대 그룹 전체 투자액의 65.1%에 달했다. 게다가 이들 3개 그룹이 30대 그룹 전체 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전년 56.3%에 비해 10%포인트가량 늘었다.3대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그룹 투자액은 26조5481억원으로 전년(28조1978억원)에 비해 오히려 1조6496억원(5.9%) 줄었다. 삼성동 한전 부지 매입으로 투자규모가 이례적으로 늘어난 현대차를 제외할 경우 30대그룹의 총 투자 증가율도 2.5% 수준으로 높지 않았다.그룹별로는 삼성그룹이 총 20조1063억원을 투자해 부동의 1위를 유지했다. 삼성은 2014년 18조5151억원보다 투자액을 1조5912억원(8.6%) 늘렸다. 2위는 17조8138억원을 투자한 현대차그룹이 차지했다. 현대차는 전년보다 무려 10조1338억원(132.0%) 늘어난 17조8138억원을 투자했다. 3위는 SK그룹으로 전년보다 1조4713억원(14.6%) 늘어난 11조5608억원을 투자했다. 투자액이 10조원을 넘는 곳도 이들 3대 그룹뿐이었다.투자규모 4위에 오른 LG는 투자액이 7조581억원으로, 3위인 SK와 4조원 이상 차이를 보였다. 특히 투자액 순위 4~7위에 오른 LG와 KT, 롯데, 포스코 그룹은 모두 투자규모가 전년에 비해 줄었다. 투자를 가장 많이 줄인 곳은 롯데그룹이었다. 롯데는 지난해 2조2466억원을 투자해 전년 3조2098억원보다 9632억원(30.0%) 줄였다. 이어 포스코, LG, 금호아시아나, 현대중공업 등도 투자규모를 크게 줄였다. 조은애 기자 cho.eunae@joins.com 2016.04.06 10:34
경제

30대그룹 중 고용기여도 꼴찌는 부영그룹

30대그룹 중 고용기여도가 가장 낮은 그룹은 부영그룹인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재벌닷컴에 따르면 자산규모 기준(공기업 제외) 30대 그룹 종업원 수는 2013년 말 128만2285명으로, 통계청 산정 기준 전체 취업자 수의 5.14%로 집계됐다. 30대 그룹의 종업원 수는 2011년 말 115만7384명(4.77%), 2012년 말 122만3655명(4.96%), 2013년 말 128만2285명(5.14%) 등으로 증가 추세다. 이들 종업원이 전체 취업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이 기간에 0.37%포인트 증가했다. 취업자 100명 중 1명은 삼성그룹에 다니는 직원이었다. 삼성그룹은 종업원 수가 26만2865명으로 비중이 1.05%였다. 고용 기여도가 두 번째로 높은 현대자동차그룹의 종업원 수는 2011년 14만2231명(0.59%)에서 2012년 14만7754명(0.60%), 2013년 15만4695명(0.62%) 등으로 늘어났다. 종업원 수는 LG그룹 14만2761명(0.57%), 롯데그룹 9만987명(0.36%), SK그룹 7만9260명(0.32%), KT 6만6584명(0.27%) 등 순으로 많았다. 30대그룹 중 취업자 수가 가장 적은 곳은 부영그룹으로 종업원이 1499명(0.01%)이었고 S-Oil이 2899명으로 뒤를 이었다. 고용인이 1만명 미만인 그룹은 미래에셋그룹(3888명), 동국제강그룹(5270명), 영풍그룹(5267명), OCI그룹(6822명), 현대그룹(8561명) 등이었다. 권오용 기자 bandy@joongang.co.kr 2015.01.18 15:49
경제

30대그룹 상장사 CEO 평균 재임기간 2.63년…CEO 63.7%가 임기 못채워

30대 그룹 상장사 CEO의 평균 재임 기간이 2.63년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문경영인 3명 중 2명은 임기 3년도 채우지 못했고, 6명 중 1명은 재직기간이 1년에도 못 미쳤다. 그룹별로는 LG·현대중공업 등 11곳이 상법상 임기인 3년을 넘겼고, 삼성·현대차 등 18곳은 3년 미만이었다.30일 기업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2000년 1월 1일 이후 신규 선임됐다 퇴임한 30대 그룹 상장사 전문경영인(대주주 일가 제외)의 재임기간을 조사한 결과 총 576명의 CEO가 평균 2.63년을 재임한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그룹 상장사 CEO 평균 재임기간이 가장 긴 곳은 대우조선해양이었다. 동국제강그룹은 3.98년으로 2위를 기록했고, LG(3.94년), OCI(3.74년), 한진(3.38년) 순이었다. 이밖에 신세계(3.35년), 대림(3.24년), LS(3.23년), 현대백화점(3.22년), 현대중공업(3.20년), 대우건설(3.09년) 등도 상법상 등기임원 임기 3년 이상을 채웠다.반대로 CEO 재임기간이 가장 짧은 곳은 효성이었다. 효성은 5개 상장 계열사에서 17명의 전문경영인이 평균 1.70년 재직한 것으로 조사됐다.미래에셋과 CJ도 1.79년과 1.97년으로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어 코오롱(2.11년), 현대(2.21년), 현대차(2.26년), KT(2.32년), GS(2.38년), 포스코(2.46년), 두산(2.49년), 금호아시아나·동부(각 2.58년), 롯데(2.64년), 삼성(2.66년), SK(2.76년), 한화(2.78년), 영풍(2.84년), 에쓰오일(2.94년) 등은 CEO 평균 임기가 3년에 못 미쳤다.30대 그룹 576명의 역대 CEO 중 3년 임기를 채우지 못한 인사는 367명으로 전체의 63.7%였다. 1년도 못 돼 그만둔 CEO도 6명 중 1명꼴인 102명(17.7%)이나 됐다.3년 임기를 채우지 못한 전문경영인 비율이 가장 높은 그룹은 효성이었다. 17명의 CEO 중 14명(82.4%)이 임기를 채우지 못했으며, 현대차가 53명 중 42명(79.2%)으로 2위를 차지했다. 이형구 기자 ninelee@joongang.co.kr◇ 주요그룹 그룹 CEO 평균 재직기간 (출처 : CEO스코어)───────────────────────────── LG 3.94년한진 3.38년현대중공업 3.2년한화 2.78년SK 2.76년 삼성 2.66년 롯데 2.64년 두산 2.49년포스코 2.46년GS 2.38년 현대차 2.26년효성 1.7년CJ 1.97년30대그룹 평균 2.63년 2014.07.30 16:46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