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익 감독(57)의 인생은 한 편의 영화 같다. 꽤 많은 플롯이 있고, 코미디와 드라마가 적절히 버무려져있다.
그가 영화판에 발을 들여놓은 건 극장 간판을 그리면서부터다. 세종대 회화과를 중퇴하고 우연히 시작한 일이었다. 1986년부터 서울극장 합동영화사의 선전부장으로 광고를 기획하다 영화사를 설립했고, 각종 해외 영화들을 수입하는 일을 했다. 그러면서 한 번도 꿈꿔본 적 없는 영화 연출에 도전했다. 하지만 데뷔작 '키드캅'은 참패했고, 당시 무명의 신인 감독이었던 이준익은 지인들에게 "연출을 하지 않겠노라"며 선언했다. 영화 기획과 제작에만 몰두하던 중 다시 그가 메가폰을 다시 잡은 건 딱 10년 만이었다. 배우 캐스팅까지 다 정해진 '황산벌'을 찍기로 한 감독이 이중계약을 한 게 드러나면서 그야말로 '얼떨결에' 다시 연출을 맡았다. 결과는 성공적. 이후 '왕의 남자'로 초대박을 치며 스타감독 반열에 올랐다.
이때까지만 해도 한 편의 인생 역전 감동 드라마를 썼지만, 우스갯소리로 던진 말 한 마디에 두 번째 은퇴를 하며 인생 장르는 코미디로 바뀐다. "'평양성'이 흥행하지 않으면 은퇴하겠다"고 농담 섞어 던진 폭탄 발언에 발목이 잡혀 9시 뉴스까지 나왔다. 이후 또 다시 은퇴 번복. 그런 이준익이 '소원(2013)'부터 다시 상승세를 타고 있다. '사도'와 '동주'까지 연속 세 작품을 흥행시키며 '왕의 남자' 이후 백상예술대상에서 10년 만에 두 번째 대상 트로피를 품에 안았다.
인생의 쓴맛, 단맛을 다 맛 봐서일까. 제52회 백상예술대상에서 영화부문 대상을 받고 2주 만인 15일 비오는 날 저녁 서울 종로구 삼청동 한 식당에서 만난 이준익에게선 좀처럼 들뜬 모습을 찾아볼 수 없었다. 평소와 다름없이 수다스럽고 인간미 넘치는 모습일 뿐. 자신을 칭찬하는 말에 낯뜨거워하고, 자신을 '디스'하는 것엔 관대하게 낄낄 웃는 것도 여전했다. 솔직하고 참 묘한 매력이 있는 감독이다. "골짜기가 깊은 산일수록 봉우리가 높은 법이죠. 좋은 것도 나쁜 것도 모든 순간은 한 때죠. 다 지나가는 시간입니다. 산전수전을 겪어보니 이제 좀 알겠더라고요."
-취중토크 공식 질문입니다. 평소 주량은 어떻게 되나요.
"소주 반병 정도예요. 주량이 센 편은 아니거든요. 숙소에서 회식하는 자리라면 그것보단 많이 마시죠. 숙소에서 얘기하면서 열변을 토할 때는 1, 2병까지 먹어요. 주사는 없어요. 취할 때까지 술을 마시지 못 하거든요."
-10년 만에 백상예술대상에서 다시 대상을 수상했어요.
"백상이 이렇게 큰상인지 새삼 느꼈네요. 다시 한 번 백상의 위상을 느꼈어요. 사람들이 날 만나기만 하면 축하한다고 인사를 해요. 반응이 역대급이었어요. 가장 먼저 축하한다고 문자를 보낸 건 송강호 배우였다. 상을 받은 지 며칠이 지났는데도 거리에서 사람들을 만나면 축하 인사를 해요. 시상식 끝난 이후에도 축하 문자를 50개 넘게 받았어요. 오늘 군대 때 다쳐서 수술했던 오른쪽 손가락에 이상이 생겨서 재수술을 했는데, 병원에 갔더니 의사도 '축하한다'고 하더라고요."
-대상을 받고 꽤 담담했던 것 같아요.
"산전수전 다 겪은 내가 그리 들뜰 일은 많지 않아요. 성공과 실패를 여러번 겪다 보면 수상의 순간도 다 한 때이고 지나갈 것이라는 걸 알게돼죠."
-부상으로 자동차를 받았어요.
"자동차는 아들에게 주려고요. 지난 10년 동안 아들한테 제대로 해준 게 없었는데 아들에게 정말 의미 있는 선물이 됐어요. 아들보다 며느리가 더 좋아하더라고요. (웃음)"
-대상을 받는데 가장 큰 공을 세운 작품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동주'라고 생각해요. 10년 전 '왕의 남자'는 작품으로 대상을 받았는데 딱 10년 만에 이준익으로 대상을 받았어요. 백상을 받으려고 일부러 맞춘 것도 아닌데."
-'동주' 박정민이 영화부문 남자 신인 연기상을 받았어요.
"시상식 끝난 후 나오려고 하는데 정민이 아버지랑 어머니가 저한테 오셔서 감사하다고 인사를 했어요. 그래서 '정민이는 원래 이렇게 될 아이인데 지금 안 됐으면 다음에 됐을 거예요'라고 말했죠. 가려진 사람을 돋보이게 해주고, 발견해주는 의미가 있는 게 진정한 상이라고 생각해요. 박정민은 진짜 잠재력이 많은 친구예요. 그 친구가 가진 능력을 저도 아직 다 못 봤고, 모르는 것 같아요."
-'동주'는 어떤 영화인가요.
"근대 인물의 가치를 새롭게 세우기 위한 영화였으면 좋겠어요. 윤동주 시인은 아시아인이라고 생각해요. 태어날 때는 중국 땅에서 태어났어요. 근데 한국말을 쓰고 한국의 역사와 문화의 뿌리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에요. 그리고 1942년에 일본 이름으로 창시 개명을 했고 일본 학교에 다니다가 죽었어요. 조선이란 나라가 그땐 없었어요. 조선 자체가 일본이었죠. 윤동주가 죽을 때는 일본인으로 죽은 거지 조선인으로 죽은 건 아니잖아요. 그때 당시엔 윤동주가 한국인이면서 중국인이면서 일본인이었어요. 특히 일본 군국주의 폭력성을 비폭력으로 자기 목소리를 낸 사람이에요. 그래서 더 위대해요. 간디가 위대한 이유는 영국의 제국주의에 맞서 비폭력 저항 정신을 보여줬기 때문이에요. 일본의 폭력을 폭력으로 맞선 위대한 인물들도 많지만 윤동주는 비폭력으로 맞섰어요. 그냥 시인 중의 한 명이 아니에요. 윤동주의 가치관, 세계관 이런 것들이 미래 인류 문명에 의미 있는 방향을 제시한다고 생각해요. 그런 윤동주가 존재하기 위해서 송몽규가 기여한 가치 역시 소홀히 하면 안 되죠. 교과서에서 수능 시험 문제로만 쓰지 말고 그들의 가치를 높게 평가해야 해요. '동주'는 그런 영화예요."
-'사도' 찍고 나서 모든 빚을 청산했다고 들었어요.
"영화 '황산벌'부터 같이 기획해온 조철현 대표의 빚까지 갚았어요. 조철현 대표는 '사도'의 시나리오 작가이기도 해요. '왕의 남자' 때는 씨네월드의 빚만 갚았어요. 지금은 이제 3개 영화사(시네마 리퍼블릭)의 빚을 다 갚은 상태예요."
-사도세자의 이야기는 많은 작품에서 다뤄졌기 때문에 '사도'는 제작단계부터 우려의 목소리가 많은 작품이었어요.
"아무래도 사도란 인물은 많은 작품에서 다뤘던 인물이라 위험부담이 있긴 했지만 그래도 송강호, 유아인이 주인공이니까 흥행 요인이 있다고 평가를 받을 수 있었어요. 송강호라는 배우가 '사도'에서 영조 역할을 맡겠다고 해준 게 크나큰 행운이었어요. 송강호가 영조를 해줌으로써 '뻔한 이야기인데 송강호가 왜?' 이런 반응을 일으키며 주목받는 영화로 부상시켜줬어요. 거기에 유아인은 불을 붙여줬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