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여자프로골프협회(KLPGA)는 올해 말 대의원 선거를 비롯해 내년 초 이사 대부분을 새로 뽑는 선거를 치른다. 선거를 통해 선출된 대의원과 이사들은 총회와 이사회를 구성하고, 협회에 산적한 각종 사안들에 대한 결정을 내려야 하기 때문에 굉장히 중요한 의미다. 일간스포츠는 KLPGA 기획 진단, 권력화로 얼룩진 KLPGA 대의원과 이사들의 백태를 들여다본다.
KLPGA 이사회는 지난해 1월 열린 1차 이사회에서 ‘상근임원 전형위원회’를 설치하고, 정기총회 의결을 거쳐 임원 선정 절차 이후 이사회에서 이를 최종 선임하기로 했다. 그리고 지난해 4월 14일 열린 2차 이사회에서 김경자 전무이사를 상근임원으로 추가 선임했다.
그러나 김경자 전무이사를 상근임원으로 선출한 과정에서 논란은 1년째 이어진다. KLPGA 정관에 따르면, 대의원들이 구성돼 있는 총회는 임원 선출 및 해임 사항에 관한 의결권을 가진다. 그러나 이사회는 지난해 3월 22일 열린 정기총회에서 상근임원 추가 선임건에 대해 대의원들의 찬성을 얻지 못했다.
총회의 찬성을 받지 못한 상황에서 이사회는 김경자 전무이사의 상근임원 선임 건을 그대로 밀어붙였다. 4월 14일 열린 2차 이사회에서 투표를 진행한 것이다. 거수로 진행된 투표는 당초 7 대 7의 결과가 나왔으나 김상열 회장의 요구로 다시 투표에 부쳐 결국 찬성 8, 반대 6으로 선임 건이 통과됐다. 현직 이사인 A프로는 “투표 결과가 가부 동수로 나오면 부결로 끝내야 하는 것임을 추후에 알게 됐다. 당시 이사회에는 김상열 회장이 선임한 변호사 출신의 사외이사가 두 명이나 있었는데, 이의를 제기하지 않고 넘어갔고, 다시 재투표했다”고 설명했다. 전직 이사를 지낸 B프로는 “상근임원 선임 건은 3월 정기총회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면서 다음에 재논의하기로 하고 넘어간 사안인데, 이사회에서 총회 때 논의된 사항을 뒤집고 선임해 버린 것 자체가 문제”라고 비난했다.
법무법인 시선의 모 변호사는 이에 대해 “총회에서 찬성을 받지 못한 사항을 무시하고, 이사회에서 상근임원을 선임하려고 한 사항은 그 자체로 정관 위반의 소지가 있어 보인다. 이사회 투표 과정에서도 일단 부결됐으면 다른 사람으로 바꿔 투표를 진행해야 했다”고 문제점을 지적했다.
김경자 상근 전무이사를 둘러싼 잡음은 선임 이후에도 계속 흘러나왔다. 일간스포츠 취재에 따르면, 김경자 전무이사는 이사회 의결로 6000만원대의 연봉과 함께 법인카드를 지급받는다. 그러나 김 전무이사는 연봉이 적다는 문제 제기를 하면서 이사회에 몇 차례 연봉 조정 요구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B프로는 “김경자 전무이사는 과거 전무이사로 선출됐을 당시 직원 1000명이 있는 골프장 사장으로 ‘회원들을 위해 봉사하겠다. 선후배를 위한 가교 역할을 할 테니 나를 뽑아 달라’고 호소했다. 그러나 상근직이 된 뒤 일단 결정된 연봉을 계속 올려 달라고 요구하는 사람 아닌가. 과연 봉사하겠다는 마음의 자세인지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현직 대의원인 C프로는 “이사회가 권한을 받지 않고 김경자 전무이사를 상근직으로 선임한 데 대해 따지자, 강춘자 수석 부회장으로부터 ‘대의원 총회에서 통과된 문제잖아’라는 답변을 들었다. 그러나 대의원 총회에서는 이 사안을 통과시킨 적이 없다”며 “3월 열린 이사회에서 몇몇 대의원들이 총회에서 승인받지 못한 상근직 전무이사에 대한 건을 정식으로 건의하기로 했다가 무산됐다. 이 부분에 대한 이사회의 명확한 해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경자 전무이사는 1998년 KLPGA에 입회한 뒤 2001년까지 투어 프로로 활동했다. 경희대학교를 졸업하고, 이화여대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2002년 현역에서 은퇴한 그는 필리핀 뉴아시아 골프 클럽 대표이사 등을 맡다가 2011년 33세에 전무이사로 선임됐다. 2015년 임기가 끝난 그는 2016년 총회에서 연임에 성공했고, 내년 정기총회 전까지 임기를 남겨 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