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대체불가토큰(NFT) 산업에서 자전거래와 자금 세탁 같은 '불법 활동'이 감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수익 규모는 107억원이 넘는다.
1일 블록체인 데이터 플랫폼 기업 체이널리시스에 따르면 블록체인 분석을 통해 NFT자전거래를 추적한 결과, 자금을 자체 조달한 주소로 NFT를 25회 이상 판매한 사용자는 262명에 달했다. 이 중 수익을 낸 자전거래자 110명의 수익은 약 890만 달러(약 107억3785만원)였다.
이는 대부분 자신의 NFT 가치가 올라갈 것이라 믿은 판매자들로부터 거둬들인 금액이다. 수익을 내지 못한 자전거래자 152명의 손실액은 약 42만 달러(약 5억원)였다.
자전거래는 판매자가 구매자인 척 자산의 가치와 유동성을 호도하는 거래를 의미한다. NFT자전거래의 목적은 NFT의 가치를 실제보다 높게 보이도록 만드는 것이다.
또 불법 주소에서 NFT 마켓플레이스로 전송된 금액은 지난해 3분기 기준 100만 달러(약 12억원) 이상, 지난해 4분기에는 140만 달러(약 16억8910만원)에 육박했다. 3분기와 4분기 활동의 대다수가 NFT 마켓플레이스로 자금을 전송해 작품을 산 스캠 연루 주소들로부터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캠은 투자자를 속여 투자금을 유치한 뒤 파산하거나 잠적하는 행위를 말한다.
그동안 실제 작품 등을 통한 자금 세탁은 수량화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지만, NFT 기반 자금 세탁은 블록체인 고유의 투명성 덕분에 좀 더 신뢰성 있게 추정이 가능하다.
백용기 체이널리시스 한국 지사장은 “NFT자전거래와 자금 세탁 금액은 86억 달러(약 10조3759억원)로 추산되는 가상자산(가상화폐) 기반 자금 세탁과 비교하면 극히 적은 수준”이라면서도 “자금 세탁 혹은 제재가 부과된 가상자산 기업으로부터 이체된 금액은 NFT의 신뢰도를 크게 훼손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체이널리시스의 '2022 가상자산 범죄 보고서'에 따르면 사이버 범죄자들이 세탁한 가상자산은 2021년 86억 달러로 전년 대비 30% 증가했다.
지난 한 해 가상자산 기반 범죄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유형은 도난과 스캠이었다고 밝혔다. 또 자금 세탁 활동이 2020년에 이어 2021년에도 여전히 활발했다고 분석했다.
서비스 입금 주소를 기준으로 2021년 583개의 주소가 100만 달러(약 12억원) 이상의 불법 가상자산을 수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총 25억 달러(약 3조원) 미만으로 입금 주소가 불법 주소에서 전송한 전체 자금 중 54%를 차지했다.
백 지사장은 "가상자산의 역할을 파악하고 자금 세탁 수법을 이해하는 등 기존의 수사 방식에서 블록체인 분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사례들을 통해 모든 범죄 수사관들은 가상자산과 블록체인 분석 이해의 중요성에 대해 알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