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겨울 KBO리그 스토브리그의 화두는 외국인 선수의 ‘다년 계약’이다. NC 다이노스가 올 시즌 리그 최우수선수(MVP)인 에릭 페디를 잡기 위해 다년 계약을 고려했고, 삼성 라이온즈도 에이스 데이비드 뷰캐넌의 잔류를 위해 2년 이상의 계약을 제시했다. 리그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친 선수를 잡기 위해 구단이 기간과 일정 금액을 보장하는 다년 계약을 제안하는 것이다.
하지만 올해도 다년 계약은 힘들 것으로 보인다. 페디는 미국 메이저리그(시카고 화이트삭스)로 떠났고, 삼성도 뷰캐넌과 의견 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올해뿐만이 아니다. 2019년 KBO리그가 외국인 선수의 다년 계약을 명문화한 지 5년이 지났지만 다년 계약을 맺은 선수는 한 명도 없었다.
구단 입장에서는 다년 계약을 통해 뛰어난 외국인 선수를 장기간 보유할 수 있다. 선수 입장에서는 고용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잘하면 구단과 선수 모두에게 '윈윈'인 계약인데 왜 성사가 되지 않을까.
이유는 명확하다. 외국인 선수 제한과 미국 메이저리그(MLB)·일본 프로야구(NPB)와의 머니게임, 외국인 샐러리캡 제한 등 현 KBO리그 제도 하에서 다년 계약을 성사시키기엔 제약 사항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구단 입장에서 다년 계약은 기대 이익뿐 아니라 리스크도 적지 않다. A구단 단장은 “다년 계약은 금액 대비 리스크가 너무 크다. 이미 계약금 등 큰돈을 투자한 상황에서 그 선수를 교체해야 한다면 구단으로선 엄청난 타격이다"라고 강조했다. 부상 및 부진 이탈로 인한 금전적 손실과 전력 구상 차질, 태업 우려 등 감수해야 할 것이 많다는 주장이다.
NPB와 비교하면 이 리스크는 더 두드러진다. NPB는 외국인 선수 보유 제한이 없다. 이탈자가 생겨도 메울 수 있는 예비 자원이 있어 부상 리스크 관리가 가능하다. 검증된 선수의 다년 계약에 부담이 덜 하고 보편화돼 있다. 반면, 외국인 보유 제한이 3명뿐인 KBO는 한 선수만 빠져도 타격이 크다. 금전적 손실은 물론 전력 구성도 크게 어그러진다. 다년 계약 선수가 이탈한다면 손실은 더 크다.
더 현실적인 문제는 금액이다. KBO리그는 2023년부터 외국인 선수 샐러리캡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외국인 3명의 계약 총액이 400만 달러를 넘길 수 없다. 다년 계약을 제시하더라도 금액 제한이 걸려 있어 미국과 일본의 머니게임에서 밀리는 경우가 많다.
샐러리캡 운용도 복잡하다. B구단 단장은 “다년 계약 시 내년과 내후년의 샐러리캡을 고려해야 하는데, 다른 외국인 선수들의 연봉도 생각해야 해서 계산이 복잡하다. 다년 계약 선수에게 큰 금액을 투자해도 이로 인해 다른 외국인 선수에게 줄 돈이 줄어든다면 그만큼의 전력 손실도 감수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최근 선수 수급이 힘들어진 상황에서 기량이 떨어지는 외국인 선수들이 한국을 찾고 있다. KBO리그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수준 높고 검증된 선수들이 오래 뛰는 것도 필요하다. 외국인 다년 계약이 필요한 이유다. 하지만 현실적인 제약이 많아 당장은 외국인 다년 계약 '1호'가 나오긴 힘들어 보인다. 다년 계약을 활성화하기 위해선 샐러리캡 완화 등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