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살아있다'로 돌아온 유아인. 이 영화로 개봉 이틀 만에 35만 명이 넘는 관객을 동원하며 한국영화 부활의 선봉에 섰다. 상대적으로 적은 제작비를 들인 좀비 장르물에서 원맨쇼에 가까운 열연을 펼친 보람을 흥행 성적표로 느끼고 있을 터다.
'#살아있다'는 원인불명 증세의 사람들이 공격을 시작하며 통제 불능에 빠진 가운데, 데이터, 와이파이, 문자, 전화 모든 것이 끊긴 채 홀로 아파트에 고립된 이들의 이야기를 그린 생존 스릴러다. 유아인은 극중 집 안에 갇힌 청년 준우 역을 맡았다. 또 다른 생존자 유빈 역의 박신혜와 연기 호흡을 맞췄다.
유아인이 지금 가장 뜨겁게 살아있는 이유는 단순히 흥행뿐만이 아니다. 영화 홍보를 위해 출연한 MBC 예능프로그램 '나 혼자 산다'를 통해 일상을 공개한 후 최고의 이슈메이커로 떠올랐다. 집을 공개하고 직접 장을 보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만으로도 세간의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다.
날 때부터 스타였을 그는 뒤늦게 도전한 장르물을 선보이면서, 꽁꽁 숨겨운 일상을 공개하면서 "흥미롭게 유아인의 새로운 지점을 인식시킬 기회가 됐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유아인 -언론배급시사회 평이 좋았다. "장단점이 있는 영화다. 장점을 더 강하게 느껴주시는 것 같아서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초반 40분간 원맨쇼를 펼친다. "'#살아있다'는 현장 편집을 가장 많이 봤던 영화다. 매주 주말마다 현장 편집본을 봤다. 호흡을 조절하기 위해 정말 노력했다. 편집본을 보면서도 불안한 느낌은 있었다. 쉽지 않은 도전이다 보니, 루즈해지거나 흥미롭지 않아지거나 할까 봐 우려했다. 한 배우의 얼굴을 그렇게 오랫동안 보는 것이 혼란스러운 일이지 않나. 관객분들이 그렇게 느끼지 않게 하도록 흡입력을 만들려고 노력했다. 원맨쇼치고는 집중도가 있었다고 말씀해주셔서 그 부분이 가장 마음에 들었다."
-헤어스타일 변신이 파격적이다. "처음엔 가발을 시도하려고 했다. '소리도 없이'라는 영화를 찍으면서 삭발을 했다. 두 영화 사이에 차이가 크지 않아서 긴 가발을 시도하려고 했다. 어차피 가발을 써야 하니 평소 안 하던 탈색을 해볼까 했다. 탈색 머리를 제작사 대표님이 보더니 '괜찮은데 한번 생각해보자'고 하더라. 현장에서 테스트 촬영도 해보고, 투표도 해봤다. 이 머리가 캐릭터를 더 살릴 수 있을 것 같았다. 운명처럼 만들어졌다. 한국 남자배우가 보여주지 않았던 파격적 이미지라고 말했었는데, 영화 '사냥의 시간' 속 안재홍씨 같은 모습이 됐다. 공교롭게도 안재홍씨 이미지 같은 것들을 많이 상상했다. 옆집 청년 같은 이미지. 안재홍씨를 보면 편안한 느낌이 있지 않나. 안재홍씨를 진짜 좋아하는데, 그런 느낌으로 준우가 만들어졌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유아인
-살도 찌운 것 같은데. "전보다 비교적 빼기는 했지만, 사실 몸에는 크게 신경 안 썼다. 평범한 청년의 몸이라는 것이, 기준이 딱히 없다고 생각했다. 자연스러운 느낌이면 좋겠다고 여겼다. 적당히 부어있고, 집에서 짠 것 많이 먹은 청년이었다. 최선을 다해서 망가졌다.(웃음)"
-캐릭터 설정은 어떻게 했나. "공교롭게도 지난해 신인 감독님의 작품을 두 편 찍었다. 그간 단 한 번도신인 감독과 작업한 적이 없었다. 10대 때도 마찬가지고, 내 캐릭터 외에는 전혀 영화에 있어서 의견을 크게 내지 않는 편이다. 내 캐릭터에 한해서는 건방지다는 이야기를 들을지언정 끝까지 의견을 피력한다. 그러나 영화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는 소극적인 측면이 있다. 그런데 배우로서 다양한 역할을 현장에서 할 수 있어야겠다는 부담감도 있었다. 그런 것이 생기기 시작하는 단계에서 신인 감독님과 작업하게 됐다. '#살아있다'는 시작부터 혼자 많이 나오기도 하고 책임이 크게 느껴진다. 어느 때보다 많이 의견을 내고 심지어 어떤 신은 혼자 리허설을 하는 영상을 찍어 감독님에게 보내드렸다."
-작품 전체를 보는 여유가 생긴 건가. "여유도 생겼을 수 있다. 전에는 봤어도 그냥 이야기하는 걸 꺼렸다. 나중에 영화를 보고 나면 그런 것들이 거슬리더라. 유아인이라고 하면 의견을 피력하는 느낌이겠지만, 현장에서는 다 선배고 형이고 어르신이다. 얼마나 적극적으로 소통할 수 있겠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