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여자프로골프(KLPGA)는 실력과 개성을 겸비한 스타플레이어들의 잇따른 출현으로 해마다 판이 커진다. 올 시즌 KLPGA 투어는 29개 대회에 총상금 226억원이 걸린 역대 최대 규모의 판으로 성장했다. 지난해에 비해 1개 대회, 총상금 20억원이 늘어난 규모다. 양적인 면에서 미국과 일본에 이어 세계 3대 투어로 자리매김했다.
그렇다면 KLPGA는 행정적인 면에서도 세계 3대 투어로 손색없을까? KLPGA는 3월 김상열 회장 주도로 수석 부회장을 비롯해 부회장과 전무이사 등을 대의원 선거제에서 회장 임명제로 바꾸는 정관 개정안을 전격 통과시켰다. 김 회장은 그 배경을 “독재와 파벌을 막고 협회 체질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협회 수장이 반발을 무릅쓰고 임원진 선출 시스템을 바꾼 이유는 무엇일까. ‘독재와 파벌’이라는 난맥상은 어느 정도이길래 고육지책을 단행했을까. 일간스포츠는 21일부터 25일까지 나흘간, 1978년 네 명의 프로로 설립된 KLPGA가 무소불위 이익 단체로 성장하기까지 그 지리멸렬한 난맥상을 짚어 본다.
KLPGA 회원은 투어 프로를 포함한 정회원을 비롯해 세미 프로로 불리는 준회원 그리고 티칭 자격을 얻게 되는 티칭 프로로 나뉜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KLPGA는 정회원 1288명, 준회원 914명, 티칭 프로 274명 등이 등록돼 있다.
KLPGA 준회원이 되려면 선발전을 통과해야 하며, 3부 투어인 점프 투어에서 활동할 수 있다. 준회원보다 상위 개념인 정회원이 되려면 2부 투어인 드림 투어 또는 3부 투어인 점프 투어에서 우수한 성적을 내거나 정회원 테스트를 통과하면 된다.
KLPGA 정회원과 준회원 그리고 티칭 프로는 정관상 의무가 비슷하다. 같은 회비(연 18만원)를 내야 회원 자격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누릴 수 있는 권리는 차이가 난다. KLPGA는 선수를 대표하는 대의원 제도를 운영하면서 2년에 한 번 선거를 통해 대의원 70명을 선발하는데, 대의원이 될 수 있는 자격은 오직 정회원에게만 부여된다. 1000여 명에 육박하는 준회원이나 티칭 프로는 소외받는 셈이다.
일본여자프로골프협회(JLPGA)의 경우와 비교된다. JLPGA 회원은 크게 정회원(849명)과 티칭 프로(101명)로 구분된다. 정회원 자격은 회원 선발전을 통과한 자, 일본 내에 거주지가 있고 신원 보증이 확실한 자로 규정된다. 따라서 신지애·이보미 같은 외국 선수는 인터내셔널 회원(46명)으로 분류된다. 물론 한국 선수들 중에도 고우순·김애숙처럼 정회원으로 입회해 활동한 경우도 더러 있다.
JLPGA에는 대의원 제도가 없기 때문에 정회원들 선거로 이사회를 구성한다. 이사회는 ‘투어 디비전’ ‘티칭 디비전’ 등으로 나뉘어 이사들은 투어 프로뿐 아니라 일반 회원과 티칭 프로 등 전 회원을 위한 업무를 처리해야 한다.
JLPGA에서는 올해부터 티칭 프로 중에서도 이사를 선출하자는 이야기가 제안됐다. JLPGA 관계자는 “티칭 프로들이 늘어나고 있고 그 위치를 감안할 때 이사회에도 티칭 프로가 포함돼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올해 총회에서는 부결됐으나 흐름을 감안할 때 티칭 프로 출신의 이사 선출이 곧 현실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KLPGA는 3월 총회에서 대의원들이 이사를 선출하면 이 중 수석 부회장과 부회장·전무이사 등 3인을 회장이 지명해 임명하는 방식으로 정관을 바꿨다. 김상열 KLPGA 회장은 “누가 되든 부회장은 이사들 중 능력 있는 사람을 회장이 임명하자는 게 골자”라며 “많은 사람들이 협회 운영에 참여해 잘 끌어가자는 의미다. 선출직일 때는 수석 부회장과 부회장·전무이사를 뽑을 때마다 대인 관계가 좋고 밥 잘 사 주는 사람을 뽑는 등 소위 힘의 논리가 지배했다. 이 폐단을 없애고 싶다. 고인 물은 썩기 마련이고, 독재하면 교만해지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과연 이런 정관 개정만으로 견제를 통한 힘의 균형을 이룰 수 있을지 의문이다. 총회에 참석한 준회원 출신 E프로는 “대의원 자체에 준회원과 티칭 프로는 배제돼 있기 때문에 정회원 수에 맞먹는 준회원과 티칭 프로를 대변해 주는 협회가 될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며 “이번 기회에 다양성을 수용하는 협회로 나아가야 한다. 정회원과 준회원 그리고 티칭 프로를 아우르면서 다양한 연령대를 포함한 대의원을 선출하고, 회원들의 다양한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