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gma2024 ×
검색결과18건
자동차

[자국 우선주의 韓·日] 한국 시장 일본차 위기, '노재팬'만 문제일까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일본차의 입지가 위태로워지고 있다. 이른바 '노재팬'(일본 제품 불매운동)에서 시작된 판매 부진의 터널에서 좀처럼 출구를 찾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산차에 기술력을 따라 잡힌 데다 전기차 등 미래차 부재가 부진의 원인으로 꼽힌다. 이에 일부에서는 앞서 한국 시장에서 발을 뺀 닛산의 뒤를 따르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수입자 100대 중 일본차는 단 6대1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차 브랜드(도요타·렉서스·혼다)는 국내 시장에서 총 1만6991대를 판매하는 데 그쳤다. 이는 전년(2만680대) 대비 17.8% 줄어든 수치다.같은 기간 반도체 수급난에도 불구하고 수입차 전체 판매량은 28만3435대로 2.6% 올랐다. 일본차 브랜드의 부진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알 수 있는 대목이다.판매량이 줄면서 지난해 일본차의 시장 점유율도 6.0%로 전년(7.4%)에 비해 크게 떨어졌다. 지난해 판매된 수입차 100대 가운데 단 6대만 일본 브랜드였던 셈이다.개별 브랜드 실적도 모두 하락세다.렉서스는 지난해 7592대를 판매했는데, 이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무려 22.1%나 떨어진 수치다. 같은 기간 혼다도 27.9%의 낙폭을 그리며 3140대에 머물렀다. 그나마 도요타는 6259대를 팔아 전년 대비 2.8% 하락하는 데 그쳤다.이에 따라 지난해 수입차 흥행 척도인 연간 1만대 판매 브랜드 중 일본 브랜드는 다 한 곳도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일본차는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수입차 시장에서 입지가 탄탄했다. 점유율이 가장 높았던 2008년에는 36%에 달할 정도였다. 2011년 동일본대지진으로 주춤하긴 했지만, 2012년 이후 6년 간 다시금 가파른 상승세를 그렸다.연간 판매량은 2013년 2만2042대에서 2018년 4만5253대로 2.1배 증가하며 정점을 찍었다. 같은 기간 국내 수입차 시장에서 일본차 점유율은 14.1%에서 17.4%로 3.3%포인트 상승했다.하지만 일본차는 2019년 7월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에 맞서 국내에서 '일본 제품 불매운동'이 본격화하면서 타격을 입었다. 2019년 3만6661대로 4만대 밑으로 떨어졌고, 2020년에는 1만8236대로 반토막 나며 한국 시장에서 충격적인 성적표를 받아들었다.이 과정에서 한국닛산(닛산·인피니티)은 2020년 말을 기점으로 16년 만에 한국 시장에서 철수를 선언했다.2021년에는 큰 폭의 할인을 앞세워 판매량이 다소 회복했으나 지난해 다시 2만대 밑으로 떨어지며 불매운동 직격탄을 맞았던 2020년보다도 판매가 부진했다. 부진 원인은 기술력?문제는 일본차의 부진이 노재팬의 여파로만 보기에는 충분하지 않다는 데 있다. 일본의 경제보복에 따른 불매운동이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며 상당히 희석된 지금까지도 일본차가 전혀 힘을 쓰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업계에서는 최근 현대차·기아 등 국산차의 약진이 일본차를 부진에 빠트렸다고 보고 있다.실제 도요타 캠리와 혼다 어코드 등 3000만~5000만원대 시장에선 현대차 그랜저와 기아 K7 등 국산차에 밀리고 있다. 혼다는 2008년 베스트셀링카 어코드를 앞세워 1만2356대를 판매해 수입차 브랜드 판매 1위에 오르기도 했다.여기에 현대차의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도 스포츠 세단 G70와 준대형 세단 G80를 앞세워 일본차 잠재 수요를 흡수했다.하이브리드 자동차 시장 역시 마찬가지다. 그동안 하이브리드차 시장은 일본차의 텃밭이었다. 과거 국산 하이브리드 모델은 연비와 품질 등 일본의 하이브리드 모델의 기술력을 따라잡기 어려웠다.하지만 최근 국산 하이브리드 모델의 기술력이 높아지면서 쏘렌토, 스포티지 등 하이브리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을 중심으로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다. 여기에 베스트셀링 모델인 신형 그랜저 출시로 인해 국산 하이브리드 모델의 경쟁력은 더 높아질 전망이다.또 일본차 업체들의 늦은 전동화 전환으로 부족한 전기차 판매모델이 소비자의 외면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국내 자동차 시장은 지난해 9월부터 전기차가 하이브리드 모델의 판매량을 앞서왔다. 이처럼 국내 소비자들의 관심이 전기차를 향하고 있지만, 지난해 국내 시장에 판매된 일본차 업체의 전기차는 렉서스의 'UX' 207대가 유일하다.수입차 업계 관계자는 "새로운 시장으로 꼽히는 전기차 전환이 느린 데다, 국내 완성차 제조 기술도 더 이상 일본차 업체들에 뒤처지지 않는다"며 "이 시장에 새로 유입되고 있는 젊은 층들이 일본차를 선택할 만한 요인이 점점 없어지고 있다"고 말했다.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국산차 기술이 매년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고 있고 프리미엄 수입차 시장은 독일차가 확실히 선점하고 있어 앞으로 불매운동과 상관없이 일본차의 입지는 더욱 좁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차로 재기 노리는 일본차일본차 업체들은 올해 신차를 앞세워 재기를 노린다는 방침이다. 올해 국내 출시를 확정하거나 검토 중인 신차만 총 8종이다. 지난해 출시한 신차(3종)와 비교하면 2배 이상 많다.먼저 도요타는 '라브4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렉서스는 준대형 SUV 'RX PHEV’와 중형 전기차 ‘RZ’를 연내 국내 출시할 계획이다.또 한국도요타는 다케무라 노부유키 전 사장의 후임으로 콘야마 마나부 신임 대표를 오는 9일 선임했다. 콘야마 신임 대표는 1990년 도요타에 입사 후 '리서치부' '딜러 네트워크 개발' '해외 시장 판매 및 운영 전략 부문'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왔다.2019년부터 한국토요타 부임 전까지는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및 오세아니아부'에서 동아시아 지역 담당을 맡아 한국 시장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는 평가다.혼다는 연내 신차 5종 출시 및 온라인 판매 플랫폼 도입으로 부진에서 탈출한다는 목표다. 우선 올해 1분기 신형 'CR-V'를 시작으로 상반기 2종, 하반기 3종의 신차를 선보일 예정이다.지난해 특별한 신차가 없었던 것과 달리 CR-V, 어코드 등 대표 차종을 앞세워 판매량 확대를 추진한다. 차량 판매가격을 일원화하는 '원프라이스 정책'도 시행한다. 이지홍 혼다코리아 대표는 지난 10일 기자간담회에서 고객 니즈를 반영하고 비즈니스 구조를 혁신하기 위해 55억원을 투자해 온라인 플랫폼 개발을 완료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 대표는 “고객들이 오프라인 외에 온라인을 통해서도 차량을 구매할 수 있도록 온라인 플랫폼을 조만간 오픈할 것”이라며 “기존 매장마다, 딜러에 따라 판매가격이 달라 불만을 가진 고객이 있었던 점을 감안해 원프라이스 정책도 시행하겠다”고 강조했다. 최근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전기차 개발에도 속도를 낸다.도요타는 2030년까지 30개의 전기차 모델을 출시할 예정이며, 혼다는 2024년 출시를 목표로 소니그룹과 합작해 프리미엄 전기차를 개발하고 있다.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3.02.02 07:00
경제

볼보의 급성장…수입차 3위 경쟁 후끈

수입차 업계 3위 자리싸움이 치열하다. 메르세데스 벤츠와 BMW와 일찌감치 양강 구도를 형성한 가운데 아우디와 폭스바겐·볼보·테슬라가 치열한 판매 경쟁을 벌이는 형국이다. 폭스바겐은 디젤게이트 이후 하락세인 반면 볼보는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벤츠·BMW 점유율 50% 육박...아우디·볼보 등 각축 9일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벤츠와 BMW의 누적 판매량은 각각 7만6284대, 6만5682대로 집계됐다. 두 브랜드 합계 점유율은 벤츠 26.6%, BMW 22.9%로 50%에 육박했다. 나머지 브랜드들의 점유율이 10% 미만인 점을 고려하면 뚜렷한 2강 체제가 이어지는 모습이다. 업계에서는 국내 완성차가 현대차·기아 독무대라면 수입차는 벤츠와 BMW 천하라는 얘기도 나온다. 수입차 시장이 양강 구도로 흘러가면서 업계의 이목은 자연스레 3위 싸움에 쏠리고 있다. 지난해 기준 업계 3위는 아우디다. 2만5626대를 팔아 점유율 8.0%를 기록했다. 이어 테슬라(1만7828대·6.2%), 볼보(1만5056대·5.2%), 폭스바겐(1만4369대·5.0%)이 뒤를 이었다. 무엇보다 폭스바겐의 부진이 눈길을 끈다. 폭스바겐은 과거 벤츠, BMW, 아우디와 함께 독일차 4총사로 불리며 수입차 4강을 형성했다. 하지만 2017년 디젤게이트 이후 판매량이 서서히 줄기 시작하면서 급기야 지난해 테슬라와 볼보에 뒤진 6위에 그쳤다. 반면 볼보는 10년간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업계 5위 자리를 꿰찼다. 특히 지난 2012년 한해 2000대에도 미치지 못했던 판매량이 2019년에는 1만 대 클럽에 올라섰고 지난해에는 1만5000대를 돌파했다. 같은 기간 판매 증가율은 752.07%에 달한다. 최근 이윤모 볼보코리아 대표는 첫 쿠페형 순수전기차 'C40 리차지' 출시 간담회에서 "볼보는 10년간 한 해도 빠지지 않고 두 자릿수로 성장한 유일한 수입차 브랜드"라면서 "볼보코리아는 전 세계 볼보차 법인 가운데 가장 높은 성장세"라고 말했다. 성장세 하면 테슬라도 빼놓을 수 없다. 지난해 판매량은 전년 대비 6002대나 증가했다. BMW(7267대)에 이어 두 번째로, 50.8%의 높은 성장률이다. 1위 싸움보다 더 치열한 3위 경쟁 올해도 벤츠와 BMW가 1위 경쟁을 하는 가운데 3위 자리싸움은 더 치열해지는 모습이다. 실제 올해 1~2월 판매량은 벤츠(9385대), BMW(1만1206대)로 타 브랜드를 압도하고 있다. 이어 3위 아우디(2499대), 4위 폭스바겐(2321대), 5위 볼보(2051대) 순이다. 반면 테슬라는 206대 판매에 그쳤다. 테슬라의 경우 통상 전기차 보조금 정책과 맞물려 3월 이후에 판매량이 급증하는 것을 고려하면, 올 상반기는 돼야 본격적인 경쟁 구도에 합류할 전망이다. 3~5위 간 판매격차가 크지 않은 상황에서 아우디·폭스바겐·볼보 3사는 다양한 신차를 투입하며 치열한 순위 경쟁을 예고하고 있다. 아우디는 올해 작은 차에 집중한다. 준중형급 전기차 'Q4 e-트론', 준중형급 세단 'A3' 소형급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Q2'가 대기 중이다. 수요 대비 공급이 적은 해당 차급에서 판매를 강화해 실적개선을 이루려는 목적으로 풀이된다. 특히 전기차 시장 확대와 맞물려 Q4 e-트론에 대한 관심이 높다. 최근 수입차 업체들이 고가의 전기차를 위주로 출시하는 만큼 비교적 저렴한 가격대의 전기차에 대한 요구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 1월 출시한 ‘폴스타2’ 싱글모터 트림은 5500만원 미만의 가격으로 출시돼 사전계약 일주일 만에 4000대 물량이 계약된 바 있다. 아우디의 공세에 앞서 볼보는 지난달 15일 브랜드 첫 전기차 'C40 리차지'와 'XC40 리차지'를 선보였다. 초반 분위기는 나쁘지 않다. 사전계약 물량 2000대가 5일 만에 모두 소진했다. 해당 계약 물량은 4월부터 고객에게 인도를 시작한다. 또 지난 7일 서대구 전시장 및 서비스센터를 새로 오픈하는 등 국내 시장 공략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로써 볼보는 국내에 31개 전시장 및 서비스센터, 4개 인증 중고차 전시장 등을 운영하게 됐다. 이에 맞서 폭스바겐은 물량 공세에 나선다. 올해 최소 7종 이상의 신형 차량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미 지난 1월 '아테온' '골프' 지난달 '파사트 GT'를 선보였고 상반기 내에 '아테온 사륜구동' '골프 GTI' '티구안 올스페이스', 하반기에는 폭스바겐 첫 전기차 'ID.4'를 출시할 예정이다. 이른바 신차 효과를 노린 전략으로 풀이된다. 가장 관심을 끄는 모델은 첫 전기차인 ID.4다. 해외에서 8가지 트림으로 판매 중인데 국내 도입은 어떤 트림이 될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북미에서는 약 4만 달러(약 4848만원)부터 출고가가 책정됐다. 업계는 폭스바겐이 국내에서 ‘수입차의 대중화’를 모토로 내세우고 있는 만큼 국고 보조금 100%를 받을 수 있는 5500만원 내에 출시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가격대 수입 전기차가 많지 않아 경쟁력을 갖기에 충분하다는 평가다. 테슬라는 전망이 어둡다. 이렇다 할 신차가 없는 상태에서 가격 마저 올랐기 때문이다. 실제 테슬라의 주력 모델인 '모델3' 롱레인지의 경우는 가격이 5999만원에서 6979만원으로 인상됐다. 이에 따라 보조금이 줄면서 올해 실 구매가는 작년 상반기보다 1600만원가량 비싸졌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 수입차 시장은 아우디와 볼보, 폭스바겐의 3위 싸움이 치열할 전망"이라며 "테슬라는 가격 인상과 보조금 축소 등의 여파로 예년과 같은 판매량을 유지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2.03.10 07:00
경제

수입차도 부익부 빈익빈…할인 공세 나서는 후발주자들

최다 판매 기록을 세우며 승승장구하는 수입차 시장이지만 균형을 찾지 못해 불안한 모습이다. 특정 국가 특정 브랜드만 시장에서 주목받을 뿐 나머지 대부분은 큰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 후발 주자들은 부랴부랴 무이자 할부, 현금 할인 등을 내걸고 고객 모시기에 열을 올리고 있지만, 특정 브랜드 쏠림 현상이 굳어져 분위기 반전이 쉽지 않을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독일차가 점령한 수입차 시장 8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 신규등록대수를 보면 올해 상반기 누적 대수는 14만7757대를 기록했다. 지난해 14만7757대보다 15.2% 증가한 수치다. 1위는 메르세데스 벤츠가 차지했다. 총 4만2170대를 등록해 가장 높은 자리에 이름을 올렸다. 뒤로는 BMW와 아우디·폭스바겐이 바짝 쫓아오는 중이다. BMW는 누적 3만6261대로 전년(2만5430대) 대비 42.6% 상승했다.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판매를 재개한 아우디는 1만대를 넘기며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7.2% 성장세를 기록했다. 폭스바겐 역시 8752대를 등록해 전년 대비 18.2% 성장했다. 그 결과 상반기 수입차 시장은 독일차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점유율만 놓고 봐도 단번에 알아차릴 수 있다. 올해 6월까지 누적 판매에 따른 점유율은 독일차가 10만3346대로 69.9%를 차지했다. 8만3000여대 수준이었던 전년 대비 23.6% 껑충 뛰었다. 그중 1위부터 3위를 기록한 벤츠와 BMW, 아우디, 폭스바겐의 점유율은 66.2%에 해당한다. 반면 영국과 프랑스 등 마땅한 신차가 없었던 비 독일계 차는 점유율이 소폭 떨어졌고 불매운동 장기화에 따른 여파로 판매가 급감한 일본차의 시장점유율은 2.7% 후퇴했다. 미국차도 점유율을 착실히 높여가고 있지만, 브랜드별 희비는 엇갈렸다. 지프·쉐보레 등이 선전하고 있는 가운데 포드·캐딜락 등은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독일차 쏠림 현상은 판매 차종에서도 살필 수 있다.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수입차 판매 상위 10개 모델 중 메르세데스 벤츠 차종이 5종이었으며 BMW 2종, 테슬라 2종, 아우디 1종 등이 뒤를 이었다. 상반기 판매 1위는 메르세데스 벤츠의 대표 세단 E클래스다. 라이벌 BMW 5시리즈가 지난해 9338대보다 17.7% 늘어난 1만991대를 판매했음에도 E클래스는 1만4733대를 기록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 1만4646대보다 소폭 상승했다. 테슬라는 보급형 차종인 모델3가 3위, 덩치를 키운 모델Y가 5위에 이름을 올렸다. 모델3는 6275대로 지난해 6839대보다 8.2% 판매가 줄어든 반면 새로 출시된 모델 Y는 5316대로 선전했다는 평가다. 4위는 아우디의 대표 세단 A6다. 지난해 상반기 4810대가 팔렸지만 올 상반기에는 5555대로 판매가 15.5% 증가했다. 상반기 판매 5위 차종은 메르세데스 벤츠의 최고급 라인업인 S클래스로 4485대가 팔렸다. 지난해 3420대보다 31.1% 늘어난 수치다. 7위는 BMW 3시리즈로 4389대가 팔렸고 8위부터 10위까지는 모두 벤츠의 SUV 라인업(GLE·GLC·GLB 순)이 차지했다. 이런 분위기는 하반기에도 유지되고 있다. 지난달 수입차 브랜드별 판매 순위는 메르세데스 벤츠(6734대), BMW(5214대), 아우디(1341대), 폭스바겐(1305대) 순으로 상반기와 변동이 없었다. 판매 상위 10개 모델 역시 벤츠 3종, BMW 2종, 테슬라 2종, 폭스바겐 1종, 렉서스 1종, 미니 1종으로 독일차가 60%를 차지했다. 업계 관계자는 "독일차는 올해 상반기 처음으로 시장 점유율 10%를 돌파했고 지난달 국내 판매량에서도 외국계 완성차 업체의 판매량을 넘어섰다"며 "수입차 점유율이 급상승하면서 업체 간 양극화는 심화하고 있어 우려스러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후발주자들 '눈물의 세일' 수입차 시장을 독일차가 점령한 가운데 뾰족한 대책이 없는 후발주자들은 '눈물의 세일'에 나서고 있다. 올해 상반기 1076대 판매에 그친 프랑스 차 푸조는 이달 낮은 판매량을 보이는 전기차의 재고를 소진하기 위해 구매보조금 400만원을 지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서울시민이 이달 푸조 전기차를 구매할 경우 e-208 GT 3429만원, e-2008 SUV 알뤼르 3534만원·GT 3784만원씩 지불하면 된다. 광역시 가운데 가장 많은 보조금을 지급하는 대전시에서는 e-208 GT 3024만원, e-2008 SUV 알뤼르 3156만원·GT 3406만원 등에 살 수 있다. 푸조의 전용 금융 서비스인 푸조 파이낸스를 이용하는 고객은 전기차 충전카드 40만원, 220V 비상용 충전기(150만원 상당) 등 혜택을 추가로 받아 590만원 상당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상반기 502대의 판매고를 기록, 전년 대비 24.4%나 하락한 미국차 캐딜락은 무이자 할부 카드를 꺼내 들었다. 이달 CT4를 구매하는 고객들은 60개월 무이자 할부 및 보증연장, 36개월 무이자 리스, 현금 지원 강화 중 한 가지를 선택할 수 있다. 또 CT5 구매 고객들은 보증연장, 36개월 1.9% 초저리 리스, 36개월 1.9% 초저리 할부 중 한 가지 구매 혜택을 선택할 수 있다. SUV 차종에 대한 혜택도 강화했다. XT5를 구매하는 고객들은 60개월 무이자 할부 및 보증연장 및 현금할인, 36개월 무이자 리스 및 현금할인, 현금 지원 강화 중 한 가지 혜택을 선택할 수 있다. 일본차 혼다는 이달 어코드와 CR-V를 구매 시 혼다 파이낸셜 프로그램을 이용할 경우 월 40만원대의 60개월 무이자 할부 혜택 주고 있다. 또 최근 캠핑과 차박 등 아웃도어 트렌드로 주목받는 대형 SUV 파일럿을 구매할 경우에는 200만원의 유류비를 지원한다. 전 차종에 평생 엔진오일 쿠폰도 덤으로 지급한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1.09.09 07:00
경제

희비 엇갈리는 미국차…지프 웃고, 포드 울고

유럽차에 밀려 비주류로 취급받던 미국차가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전기차와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모델을 앞세워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독일차에 이어 수입차 시장 2위 자리를 꿰찼다. 다만 브랜드 간 희비는 엇갈린다. '언더독' 지프가 대세로 떠올랐지만, 포드는 잇따른 신차 출시에도 불구하고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지프 쾌속 질주…1만대 클럽 이미 예약 11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에 따르면 미국차는 올해(1~7월) 총 1만9265대가 팔려 전체 수입차 시장에서 11.2%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이는 독일차(70.1%)에 이어 2위에 해당하는 수치다. 국내 진출한 미국차(수입차협회 등록 기준)는 스텔란티스코리아(지프), 포드코리아(포드, 링컨), 한국GM(쉐보레), GM코리아(캐딜락) 등 5개다. 수입차협회 집계에 포함되지 않는 테슬라의 올해 판매량(1만1651대)을 더하면 점유율은 16.8%로 껑충 뛰어오른다. 미국차의 선전에는 전기차 모델을 앞세운 테슬라와 더불어 지프의 활약이 한몫했다. 지프는 지난 3월 1557대로 월 판매 최고 실적을 기록한 데 이어 5개월 연속 1000대 이상 판매고를 올리고 있다. 올 상반기 누적 판매는 5927대로 역대 최고 실적을 2년 만에 경신했다. 지난달에도 신규 등록 1003대를 달성, 올해 누적 판매 6930대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50% 성장한 수치다. 이 추세가 연말까지 이어지면 목표인 1만대 클럽 재가입도 쉽게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프는 오프로드 전용 모델을 연이어 내놓은 데 이어 ‘지프 캠프’ 개최 등 지프 운전자를 위한 각종 행사를 선보이는 등 국내 오프로드 시장에서는 독보적인 지위를 누리고 있다. 차종별로 살펴보면 지프의 정체성과 같은 랭글러는 올해 상반기에만 1661대가 판매되며, 전체 판매 실적의 28%를 차지했다. 지난달에도 392대가 팔려 전년 대비 304.1% 증가했다. 누적 판매량은 2054대에 달한다. 랭글러는 코로나가 시작된 지난해에도 총 2813대가 판매돼 가장 높은 판매고를 기록한 바 있다. 소형 SUV 레니게이드도 힘을 보탰다. 지난달 213대의 판매고를 기록했다. 전년 같은 기간보다 34.0% 성장한 수치다. 누적 판매량은 1688대다. 체로키 패밀리도 각각 올해 누적 1000대 이상 판매됐다. SUV라는 어원을 최초 사용한 지프의 중형 스테디셀러 체로키는 1416대, 지프의 플래그십 대형 SUV 그랜드 체로키는 1218대가 판매됐다. 전망도 밝다. 지프는 다음 달 전동 파워트레인을 장착한 랭글러 4xe를 선보일 예정이다. 랭글러 4xe는 출퇴근 길에는 오로지 전력으로만 주행이 가능하며 오프로드에서는 더욱 강력한 성능을 발휘한다. 지프는 늘어난 판매에 맞춰 전국 어디서든 동일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 네트워크 확충 및 품질 향상에도 집중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워크베이 수는 기존 113개에서 133개로 늘었다. 지프는 올해 좋은 실적의 배경으로 코로나 이후 상징적인 야외 활동으로 자리 잡은 캠핑, 차박 등 레저 활동의 확산, 여기에 고객들이 직접 지프를 체험할 수 있는 행사를 통해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한 것이 주효했다고 설명했다. 제이크 아우만 스텔란티스코리아 사장은 "지프는 고객에게 유의미한 경험을 선사, 이전에 없던 유대감을 형성했다"며 "하반기 2대의 신차 출시가 예정돼 있다. 전반적인 브랜드 경험에 대한 연결성을 더 향상해 지프의 가치와 명성을 입증할 것"이라고 말했다. 자존심 구긴 포드…신차도 후진기어 지프와 달리 미국차의 대명사로 불리던 포드는 좀처럼 기를 못 펴고 있다. 지난달 300대 판매에 그치며 자존심을 구겼다. 올해 누적 판매량 역시 3884대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4.9%를 기록했다. 포드는 부진은 비단 올해만의 문제는 아니다. 지난해에도 총 7069대 판매에 그쳐 수입차 주류 브랜드의 평가 기준인 '1만대 판매 클럽'에 낙마했다. 포드의 더 큰 문제는 분위기를 반전시킬 뾰족한 묘수가 없다는 데 있다. 포드는 그동안 대형 SUV 익스플로러를 중심으로 수입차 시장에서 미국형 SUV 브랜드 이미지를 지켜왔다. 하지만 최근 현대차 팰리세이드, 제네시스 GV80 등 경쟁 모델이 연이어 나오면서 익스플로러 입지는 줄어들고 있다. 익스플로러는 포드 판매의 70%를 차지하는 핵심 모델인 만큼 익스플로러 부진은 포드 브랜드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는 구조다. 한국수입차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익스플로러 판매는 133대로 전년 대비(468대) 71.6% 감소했다. 수입차 전체 모델 가운데 55위에 해당하는 수치다. 올해 포드는 픽업트럭 레인저를 출시하는 등 라인업을 확대하고 있지만, 아직 인지도가 낮아 궤도에 오르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실제 지난 4월 선보인 레인저는 지난달 120대가 판매돼 전달 대비 11.8% 후진했다. 신차가 출시 두 달 만에 후진기어를 넣은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포드는 지난해 신차 부진으로 힘을 못 냈다. 반면 올해는 공격적인 신차 출시에도 불구하고 실적이 저조하다. 이렇다 할 돌파구가 없는 상태다"며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수입차 판매 1만대 클럽 재가입은 어려워 보인다"고 말했다. 일부에서는 현 추세대로라면 포드가 올해 미국 수입차 판매 1위 자리를 지프에 내줄 것으로 예상한다. 또 다른 관계자는 "그동안 미국 수입차의 경우 포드가 1위 자리를 굳건하게 지켜왔다. 하지만 올해 포드의 판매량은 링컨 브랜드를 포함해도 6173대에 그친다. 지프보다 약 750대 뒤처진 상태다"며 "미국 대표 수입차 간판이 포드에서 지프로 넘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1.08.12 07:01
경제

내수 급등한 자동차…특정 브랜드 '쏠림' 심화

국내 자동차 시장이 코로나19를 잊었다.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소비 심리가 위축하기 전인 지난해 2월보다도 올해 2월 자동차 판매가 오히려 늘어났다. 완성차, 수입차 할 거 없이 모두 두 자릿수의 호실적을 거뒀다. 다만 브랜드별 희비는 엇갈렸다. 완성차 브랜드에서는 현대차·기아가, 수입차 브랜드에서는 벤츠·BMW 쏠림 현상이 심화했다. 수입차 '빅2'는 국내 중견 3사도 넘어섰다. 업계에서는 한국 자동차 시장이 현대차·기아·벤츠·BMW '빅4' 체제로 재편되고 있다는 분석까지 나온다. 현대차·기아 내수 87% '싹쓸이' 2일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완성차 5사(현대차·기아·한국GM·르노삼성·쌍용차)의 2월 내수 판매실적은 총 10만1356대로 전년 동월 대비 24.0% 증가했다. 이 증가율은 현대차와 기아의 선전에 기인했다. 현대차는 지난달 내수에서 5만2102대를 판매하며 전년 동월 대비 32.6%의 증가율을 보였다. 기아 역시 같은 기간 31.0% 증가한 3만7583대의 내수 판매실적을 기록했다. 현대차는 신차들의 판매 호조가 전년 대비 상승세를 이끌었다. 신형 투싼이 전년 동월 대비 282.6% 증가한 5896대 판매된 것을 비롯해 아반떼가 99.0% 증가한 5124대 판매됐다. 기아 역시 카니발(6153대, 145.1%↑), 쏘렌토(4945대, 147.5%↑) 등 신차 효과가 판매 호조를 이끌었다. 반면 신차 가뭄인 한국GM은 전년 대비 증가율이 2.4%에 불과한 5098대의 판매실적을 보였다. 지난달 800여 대가 팔렸던 경상용차(다마스·라보)가 조만간 단종될 예정이라서 마이너스 성장 전환이 불가피한 상태다. 르노삼성차도 지난달 국내 시장에서 3900대를 팔아 전년 동기 대비 6.2% 증가한 실적을 기록했다. 하지만 비교 대상인 지난해 2월이 주력 모델 XM3 출시 이전이었다는 점이 문제다. 지난해 3월부터 인도가 시작된 XM3는 첫 달부터 5581대가 판매되며 회사 전체의 실적을 비약적으로 끌어올렸었다. 신차 효과가 희석된 XM3는 월 1000여 대의 판매실적에 그치고 있어 르노삼성은 내달 내수 판매부터 큰 폭의 마이너스 성장을 나타낼 전망이다. 쌍용차는 상황이 더욱 심각하다. 전년 동월 대비 47.6% 감소한 2673대의 내수 판매실적으로 완성차 5사 중 최하위에 머물렀다. 지난해부터 계속해서 신차가 없었고, 일부 협력사들의 부품 공급 중단으로 가동 차질까지 빚어진 결과다. 이처럼 내수 시장에서 후발 주자 3사가 부진하면서 현대차·기아의 점유율은 크게 치솟았다. 완성차 5사 내 현대차의 점유율은 지난해 2월 48.1%에서 올해 2월 51.4%로 급등했다. 같은 기간 기아 역시 35.1%에서 37.1%로 높아졌다. 현대차·기아 합산 점유율은 83.2%에서 86.9%로 3.7%포인트나 올랐다. 지난달 팔린 완성차 100대 가운데 87대가 현대차·기아인 셈이다. 고작 13대를 나머지 중견 3사가 나눠 가졌다. 코로나에도 여전한 수입차…'독일 3총사' 빼곤 '휘청' 수입차 역시 사정은 마찬가지다. 메르세데스 벤츠·BMW·아우디 등 독일차들의 영향력이 갈수록 견고해지는 모습이다. 판매 확대를 주도하고 있는 것은 물론, 베스트셀링카 순위마저 독식하고 있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차 신규등록 대수는 전년 동월 대비 33.3% 증가한 2만2290대로 집계됐다. 2월 누적 기준으로도 29.8% 오른 4만4611대를 기록, 최근 5년 새 가장 빠른 판매 흐름이다. 이런 수입차 선전 배경에는 독일차 브랜드 벤츠와 BMW의 활약을 꼽을 수 있다. 지난달 벤츠 판매량은 5707대였다. 지난해 2월(4815대) 대비 18.5% 늘었다. BMW는 5660대의 차량을 판매했다. 전년 동월(3812대) 대비 48.5% 증가한 규모다. 그 뒤를 쫓는 아우디와 폭스바겐도 독일 브랜드로, 각 2362대(점유율 10.6%), 1783대(점유율 8.0%)의 판매고를 올렸다. 이들 독일 브랜드의 합산 점유율은 73.7%로 전년 동월 대비 12% 포인트 급등했다. 전월 대비로도 2.7% 포인트 오른 수치다. 2월 누적 기준으로는 72.4%를 기록했다. 반면 도요타·혼다 등 일본차는 여전히 일본 불매 운동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프, 재규어랜드로버, 캐딜락, 푸조, 시트로엥 등 중위권 브랜드들도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빈부격차 더 심해질 것 업계에서는 앞으로도 현대차·기아와 독일차로의 쏠림 현상이 더욱 심해질 가능성이 점쳐진다. 당장 올해 현대차와 기아는 풀체인지(완전변경) 모델과 새 라인업을 구성할 신차들이 줄지어 대기하고 있지만, 중견 3사들은 거물급 신차의 부재로 분위기를 반전시킬 카드가 없기 때문이다. 특히 쌍용차의 경우 새 주인을 찾지 못하면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에 돌입하면 청산 수순을 밟을 가능성이 있다. 11년 만에 다시 회사 존폐기로에 선 것이다. 이렇게 되면 올해 준중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E100(프로젝트명)’ 론칭도 불투명해진다. 수입차 업계에서는 상승세 선두에 있는 벤츠와 BMW가 꾸준한 신차 계획과 함께 국내 인프라 투자 및 서비스 만족도 개선에 속도를 내고 있어 후발주자들이 따라잡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더욱이 판매가 부진한 수입차의 경우 본사와의 협상 과정에서도 신차를 공격적으로 확보하지 못하는 데다 판매난으로 서비스센터가 줄어들면서 서비스 품질 악화에 따른 판매 위축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 이에 업계에서는 국내 자동차 시장이 현대차·기아·벤츠·BMW '빅4' 체제로 재편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실제 벤츠와 BMW는 지난달 한국에서 한국GM·르노삼성차·쌍용차보다 차량을 더 많이 판매했다. 수입차 ‘빅2’가 나란히 한국에 공장을 둔 중견 자동차 3사를 제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자동차 업계에 특정 브랜드 쏠림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며 "후발주자들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신차를 꾸준히 내는 게 유일한 해답이다"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1.03.08 07:00
경제

수입차 지각변동…'주류' 떠오른 볼보, '비주류' 추락한 포드

수입차 시장 경쟁 구도에 지각변동이 일고 있다. 벤츠·BMW·아우디 등 '독일차 천하'인 시장에 스웨덴 브랜드 볼보가 '주류 수입차'로 떠오르고 있다. 반면 지난해 '1만대 클럽' 가입에 실패한 미국차 포드는 올해는 더욱 추락하며 '비주류'로 전락하는 모양새다. 없어서 못 파는 볼보 15일 업계에 따르면 볼보는 지난해 국내에서 1만570대를 판매하며 사상 첫 1만대를 돌파했다. 8년 연속 두 자릿수 성장이다. 올해도 성장세는 이어지고 있다. 올 상반기 전년보다 24.8% 증가한 6524대를 판매했다. 현재도 V60 크로스컨트리, 준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XC40 같은 인기 모델은 심하면 1년 이상 대기해야 구매할 수 있을 정도다.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연간 판매 목표(1만2000대)도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볼보차가 높은 인기를 이어가는 비결은 경쟁 모델을 앞서는 상품성에 있다. 과거 볼보는 '철판 두꺼운 안전한 차'란 인식만 강했다. 디자인도 투박했다. 하지만 최근 나온 볼보 차들은 그야말로 '핫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한 업계 관계자 역시 "과거 볼보는 안전만이 유일한 장점이었다면, 현재는 내구성 뒷받침된 '디자인 혁신'이 소비자의 호평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PPL(간접광고)에 적극적으로 나선 점도 볼보를 대중에서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다. 볼보는 지난해 JTBC '효리네 민박'에 XC90 PPL을 진행했다. 당시 이효리, 이상순 부부가 타는 XC90은 연일 화제를 모으며 젊은 층에 새로워진 볼보를 알리는데 일등공신이 됐다. 볼보는 최근 수입차의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사후서비스(AS)를 강화하며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이윤모 볼보차코리아 사장은 지난달 기자간담회에서 "판매량은 몰라도 서비스 품질에서는 무조건 1위를 하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를 위해 2023년까지 1500억원을 투자해 현재 27곳인 서비스센터를 52곳으로, 160곳인 워크베이(작업장) 수를 312곳으로 늘리겠다고 발표했다. 볼보는 우선 분당 판교, 의정부, 제주 등에 서비스센터를 신설한다. 하반기에는 부산 해운대, 수원, 천안 등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팔 차 없는 포드 승승장구하는 볼보와 달리 포드는 해마다 추락을 거듭하고 있다. 포드는 지난해 8737대(링컨 포함)를 팔아, 전년의 1만1586대 대비 24.6% 감소하며 5년 만에 '수입차 1만대 클럽'에서 밀려났다. 시장 점유율도 4.44%에서 3.57%로 감소했다. 올해 상반기 성적은 더욱 초라하다. 올 상반기 3601대(링컨 제외)를 팔아 전년 동기(4732)와 비교하면 23.9% 감소했다. 시장점유율도 2.81% 추락했다. 업계에서는 '초라한 라인업'을 실적 부진의 원인으로 꼽는다. 실제 포드는 스포츠카 머스탱, 세단 몬데오, SUV 올 뉴 익스플로러의 3개의 라인업만을 판매 중이다. 하지만 유일한 기대주이자 최대의 버팀목인 올 뉴 익스플로러는 지난해 말 한국 상륙과 무섭게 리콜(자발적 시정조치) 명령을 받은 데 이어 가격 거품 논란까지 휩싸이며 소비자들의 외면을 자초했다. 특히 올 뉴 익스플로러는 국내 출시 이후에는 '허위광고' 논란에도 휩싸였다. 포드코리아는 지난 11월 올 뉴 익스플로러를 출시하며 자체 ADAS 시스템인 '코-파일럿 360 플러스'에 후진 제동 보조 기능'이 탑재됐다고 광고했다. 후진 제동 보조 기능은 후진 경로에 있는 사람이나 물체 등을 센서로 인식해 경보가 울려도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지 않으면 차가 강제로 정차하는 기능이다. 하지만 신차의 고객 인도가 시작된 이후 온라인 동호회 등에서 후진 제동 보조 기능이 탑재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서 국내 소비자를 우롱한 것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커졌고, 포드코리아는 뒤늦게 손해를 입은 차주들에서 50만원 상당의 상품권을 지급했다. 이 과정에서 포드코리아 측이 차주들에게 보상 조건으로 더는 문제를 제기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확인서 서명을 요구하면서 파장은 더욱 커진 바 있다. 이 사건 후 한때 수천 대 계약이 밀릴 정도로 높은 인기를 자랑했던 올 뉴 익스플로러는 신뢰도 하락과 함께 지금까지도 판매량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문제는 하반기다. 포드코리아가 부랴부랴 올 하반기 올 뉴 익스플로러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를 들여오지만, 분위기를 뒤집기 어렵다는 것이 중론이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포드는 사실상 익스플로러를 제외하면 팔만한 모델이 없다"며 "하반기에도 이렇다 할 신차가 없어 부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0.07.16 07:00
경제

다시 독일차 세상…주저앉은 일본차

국내 수입차 시장이 다시 독일 브랜드 위주로 재편되는 양상이다. 디젤 게이트로 주춤했던 아우디와 폭스바겐이 본격적으로 신차 판매에 나서면서 독일차 점유율이 60%를 넘어섰다. 반면 일본 브랜드들은 불매운동 여파가 지속하며 연초부터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최근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1월 수입 승용차 신규등록 대수는 1만7640대를 기록했다. 전년 동월 대비 3.1% 감소한 수치다. 설 연휴로 인한 영업일 수 감소와 세금감면 종료 등으로 전체적으로 판매가 줄었다. 시장 침체 속에 눈길을 끄는 부분은 벤츠·BMW·아우디·폭스바겐 등 독일차 브랜드의 실적이다. 먼저 메르세데스 벤츠코리아의 지난달 판매량은 5492대로 전년 동월보다 5.2% 감소했지만, 국내 완성차 업체인 르노삼성(4303대)과 한국지엠(5101대)을 큰 차이로 앞질렀다. 쌍용차(5557대)와의 격차도 불과 65대다. 또 지난달 수입 베스트셀링카 상위 10위권에 총 5개 모델을 올렸다. 2위 E 300 4매틱(1171대), 6위 S 350 d(543대), 7위 E 250(534대), 8위 CLS 300 d(485대), 9위 GLC 300 4MATIC 쿠페(441대)가 등극했다. BMW코리아는 지난달 전년 동월보다 0.7% 적은 2708대가 판매됐다. 이중 520이 331대 팔리며 베스트셀링카 10위에 올랐다. 폭스바겐코리아은 1월 1753대를 기록했다. 전년 동월 대비 333.9% 급증한 수치다. 특히 중형 세단 아테온 2.0 TDI가 총 1189대 판매되며 수입차 베스트셀링카 1위에 등극했다. 아우디코리아는 1월 763대의 판매고를 기록, 전년보다 9.0% 성장했다. 이들 독일차 4개사의 1월 합산 판매 대수는 1만716대로 전체 수입차 판매량의 60.7%에 달한다. 작년 52.9%와 비교해 7.8%p 늘었다. 수입차 5대 중 3대는 독일차인 셈이다. 독일차 브랜드가 무섭게 장악력을 확대하고 있는 것과 달리 렉서스, 토요타 등 일본차 브랜드는 판매가 많이 감소하며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지난달 일본계 브랜드 승용차 신규등록은 1320대로 전년도 1월(3752대) 대비 64.8% 감소했다. 전체 수입차 시장에서 일본차 점유율도 7.5%에 그쳤다. 전년도 1월(20.6%) 대비 13.1%포인트 하락한 수준이다. 렉서스코리아는 지난해 1월 1533대를 판매했지만, 올해 1월 509대 판매에 그쳤다. 도요타코리아(-59.5%), 혼다코리아(-50.5%)도 판매량이 50% 이상 줄었다. 한국닛산은 상황이 더욱 심각하다. 인피니티를 제외한 닛산은 지난해 341대에서 올해 59대로 82.7% 감소했다. 인피니티는 지난해 1월 162대 판매됐지만, 올해 1월에는 단 1대만 판매됐다. 일본 브랜드들은 지난해 7월 불매운동 전까지 3000대 이상을 판매했으나, 불매운동 직후 판매량 2000대 이하에 머물렀다. 연말 할인과 경품 이벤트로 지난해 11월(2357대)·12월(3670대) 판매 대수를 회복했으나, 지난달 다시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0.02.13 07:00
경제

벤츠, 4년 연속 수입차 '왕좌'…일본차는 불매운동에 20% '후진'

지난해 수입차 시장이 일본차 불매운동과 일부 디젤차의 물량 부족으로 3년 만에 후진했다. 수입차 하락세에도 벤츠는 점유율을 32%까지 끌어올리며 4년 연속 '왕좌' 타이틀을 지켰다. '효자상품' E클래스가 날개 돋친 듯 팔리며 벤츠 뒤를 밀어줬다. 벤츠 역대급 판매…한국GM도 제쳤다 8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수입 승용차 신규 등록 대수는 전년(26만705대) 대비 6.1% 감소한 24만4780대를 기록했다. 국내에서 수입차 판매가 역성장한 것은 지난 2016년(-7.6%) 이후 처음이다. 2018년에 역대 최대 실적(26만706대)을 기록한 수입차 시장은 매년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해 왔지만, 지난해는 하반기부터 본격화한 일본 불매운동 직격탄을 맞아 일본 5개 브랜드 판매량이 추락했고, 인증절차가 강화된 탓에 일부 브랜드들이 물량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3년 만에 역성장했다. 전반적인 시장 침체에도 불구하고 선두 메르세데스 벤츠는 더욱 가속페달을 밟고 치고 나갔다. 지난해 벤츠의 국내 연간 판매량은 7만8133대로 2년 연속 수입차 업계 1위에 올랐다. 시장 점유율도 31.9%나 차지해 전년(27.1%)보다 커졌다. 특히 벤츠는 국내 완성차 업체인 한국GM(7만6471대) 마저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지난해 국내 자동차 시장 판매순위는 현대차(74만1842대), 기아차(52만205대), 쌍용차(8만6859대), 르노삼성(8만6859대), 벤츠, 한국GM 순으로 집계됐다. 연간 전체 판매실적으로 국내 시장에서 수입차 브랜드가 국내 완성차 업체를 제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벤츠가 지난해 수입차 브랜드를 통틀어서는 물론이고 한국GM마저 앞서는 데 첨병 역할을 한 모델은 중형 세단 E클래스다. E클래스는 지난해 총 3만7717대가 판매돼 벤츠 전체 판매량의 절반가량을 차지했다. 지난해 7월에는 단일 모델로는 수입차에서 처음 10만대 판매고를 올리기도 했다. 여기에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GLC, GLC쿠페, GLE 등도 총 1만4415대 팔려 실적을 견인했다. BMW는 하반기 들어 회복했으나 전년보다는 12.5%나 감소한 4만4191대 판매에 머물렀다. 추락한 일본차…불매운동에 -19%↓ 일본차 브랜드는 일본 제품 불매운동 영향으로 총 3만6661대 팔려 전년(4만5253대)과 비교해 19.0% 추락했다. 본격적인 불매운동이 시작된 지난해 7월 전후 실적을 비교하면 상반기(1∼6월) 2만3482대 팔리며 전년 같은 기간(2만1천285대)보다 10.3% 증가했던 일본차 판매는 하반기(7∼12월) 1만3179대로 전년 동기(2만3968대) 대비 45.0% 감소해 크게 줄었다. 일본 브랜드 중에는 닛산이 작년 판매 3049대로 전년(5053대)보다 39.7% 급감했고, 도요타도 1만6774대로 36.7% 떨어졌다. 도요타의 고급 브랜드 렉서스(1만2241대)는 8.2%, 닛산의 인피니티(2000대)는 6.1% 판매가 감소했다. 혼다(8760대)는 유일하게 10.1% 증가했다. 반기 성적표로 비교하면 불매운동 전후 실적이 확연하게 차이가 난다. 혼다의 상반기 실적은 전년 상반기보다 94.4% 증가하며 2배 가까이 증가했지만, 하반기 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38.9% 감소하며 연간 실적에서 상승분을 대부분 반납했다. 렉서스 역시 상반기 33.4% 증가, 하반기 45.2% 감소로 비슷한 패턴을 보였고, 인피니티도 상반기 3.7% 증가, 하반기 16.6% 감소 성적표를 받았다. 닛산은 상반기 25.4% 감소에서 하반기 55.2% 감소로, 토요타는 상반기 24.3% 감소에서 하반기 49.1% 감소로 각각 하반기에 판매 감소 폭이 커졌다. 다만, 작년 말 일본 브랜드들이 판매 회복을 위해 할인 등에 나서면서 12월 실적은 전년 12월과 비교해 대부분 올랐다. 도요타는 전달보다 69.6% 늘어난 1323대를 판매했다. 혼다는 같은 기간 130.7% 증가한 1045대를 기록했다. 혼다(8760대)는 지난해 전체로도 일본차로는 유일하게 판매가 10.1% 늘었다. '1만대 클럽' 가입한 볼보·지프·미니 수입차 인기의 한 척도로 불리는 ‘1만대 클럽’에는 BMW 계열로 꾸준한 인기인 미니(1만222대), S90 등 새 모델로 주목받은 볼보(1만570대)와 미국차로는 드물게 지프(1만251대)가 처음 들어갔다. 대폭 할인 등을 앞세운 아우디는 4.2% 감소한 1만1930대로 자존심은 지켰다. 아테온 등으로 재기를 노린 폭스바겐은 인증 지연 등에 수입차 중 가장 큰 감소율(-44.7%)을 보이며 8510대 판매에 그쳤다. 지난해 가장 많이 팔린 모델은 벤츠 E300으로 1만3607대가 신규등록됐으며 벤츠 E300 4매틱이 1만259대로 두 번째 자리에 올랐다. 이어 렉서스 ES300h(7293대), 폭스바겐 아테온 2.0 TDI(5595대), BMW 520(5461대), 포드 익스플로러 2.3(4537대) 등이 뒤를 이었다. 박은석 수입차협회 이사는 “지난해 수입 승용차 시장은 일부 브랜드의 물량 부족과 감소세 등으로 2018년 대비 감소했다"며 "새해는 새 모델을 앞세운 BMW, 아우디, 폭스바겐을 비롯한 독일차 등의 재기 여부와 한·일 관계에 따른 일본차 동향이 전반적인 수입차 신규 판매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0.01.09 07:00
경제

추락하는 '일본차'…지켜만 보는 '국산차'

일본 제품 불매운동에 일본차 브랜드가 직격탄을 맞았다. 지난달 판매량이 전월 대비 30% 넘게 급감했다. 올 상반기 내내 20%대를 유지하던 점유율도 10%대 초반으로 뚝 떨어졌다.최근 불매운동 분위기를 고려하면 일본차의 판매 감소는 상당기간 이어질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빈자리는 벤츠·BMW 등 독일차가 채웠다. 한껏 기대했던 국산차는 되려 판매량이 줄었다. 급한 김에 할인 카드를 꺼내 들었지만 효과에는 물음표가 붙었다. 오히려 가격 신뢰도만 떨어트린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일본차 안 사요"…역대급 성장→역대급 최악 7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지난달 전체 수입차 판매량은 1만9453대로 전년 동기 대비 5.2% 감소했지만 전월 대비로는 0.3% 소폭 증가했다.반면 도요타·렉서스·혼다·닛산·인피니티 등 국내에서 판매되는 일본차의 7월 판매량은 총 2674대로 전년 동월에 비해 17.1% 감소했다. 특히 전월인 6월과 비교해서는 32.2%나 줄었다.이에 따라 7월 수입차 시장에서 일본차 점유율은 6월 대비 6.7% 추락한 13.7%에 머물렀다. 일본차는 올 상반기 내내 20%대 점유율을 유지했다.브랜드별로 보면 도요타와 렉서스의 판매량 감소가 두드러진다.올 상반기 전체 수입차 시장 위축에도 하이브리드 차량을 내세워 전년 대비 32.7% 판매량을 늘렸던 렉서스의 7월 판매량은 6월 대비 24.6% 감소한 982대에 머물렀다.도요타(865대) 역시 같은 기간 판매량은 37.5%나 빠졌다. 6월만 해도 도요타(1384대)와 렉서스(1302대)는 나란히 1000대 이상을 판매했었다.올 들어 벤츠, BMW에 이어 수입차 판매 3위를 기록했던 도요타의 7월 순위는 6위까지 떨어졌다. 렉서스는 4위 미니(906대)에 근소하게 앞서 3위에 이름을 올렸다.상반기 94.4%의 판매량 증가를 보인 혼다 역시 불매운동 여파를 피하지 못했다. 6월 801대를 판매했던 혼다의 판매량은 지난달 500대(468대) 밑으로 떨어졌다. 전월비 판매량 감소율은 41.6%로 5개 브랜드 중 가장 컸다. 닛산과 인피니티의 7월 판매량도 전월 대비 각각 19.7%, 25.1% 감소한 228대, 131대에 그쳤다.지난달부터 시작된 일본차 불매운동의 영향이 실제 판매량으로 반영돼 발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어 실제로 불매운동의 영향이 곧장 나타난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7일 서울의 한 도요타 매장도 매우 한산했다. 시승과 견적 문의를 위해 매장을 찾은 손님은 보이지 않았다. 익명을 요구한 한 도요타 딜러는 "한일 갈등으로 인한 불매운동의 여파로 고객의 발길이 뚝 끊겼다"며 "급여의 상당 부분이 차량 판매에서 나오는 만큼 좋은 상황은 아니다"고 말했다.일본의 경제 보복 조치와 관련해 7월 초·중순부터 본격적인 불매운동이 시작됐다는 점에서 일본차 판매 감소가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는 관측도 나온다.수입차 업계 관계자는 "일본차 불매운동이 예상보다 빠르게 나타나는 것 같다"며 "8~9월에 여파가 더 본격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빈자리 메운 벤츠·BMW…국산차는 군침만일본차의 빈자리는 메르세데스 벤츠와 BMW 등 독일차가 차지했다.벤츠는 지난달 7345대가 팔려 전달대비 판매량이 10.8% 늘었다. BMW는 14.1% 증가한 3755대가 판매됐다. 두 회사는 수입차 판매 1~2위도 지켰다.같은 독일차 브랜드인 미니 역시 전달과 비교해 50.5%나 늘었다. 이는 올 들어 두 번째 높은 기록이다.업계 관계자는 "독일차의 판매실적이 회복되고 전체 수입차 시장의 판매량이 전달보다 소폭 증가했다"며 "이 같은 상황에서 일본차들의 판매가 전달대비 두 자릿수의 감소율을 보인 것은 최근의 일본제품 불매 움직임이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라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일본차의 부진을 남몰래 웃고 있는 독일차 브랜드와 달리 국산차는 눈뜨고 지켜 보고만 있다.일본 제품 불매운동이 '일본제품을 구매하지 말자'는 것에서 국산 대체품 찾기로 운동이 확산되고 있지만 국산차 판매는 좀처럼 늘고 있지 않아서다. 정부가 소비 진작책으로 시행 중인 자동차 개별소비세 인하 조처도 무색할 정도다.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완성차 5사의 7월 내수 판매가 전년 동월 대비 2.0% 하락했다. 전반적으로 판매가 줄거나 전년 수준에 머물렀다.현대차와 기아차는 각각 쏘나타와 베뉴, K7과 셀토스의 신차효과가 있었지만 상호 동급 차종의 판매간섭으로 신차효과가 상쇄되며 나란히 전년 동월과 같은 수준에 머물렀다. 한국GM은 신차 부재로 판매가 내리막길을 걸었고, 쌍용차는 코란도의 신차 효과가 있었으나 다른 차종의 노후화에 따른 판매 감소를 일본차의 빈자리를 메우기에는 역부족이었다.완성차 업계 관계자는 "일본차 판매감소로 반사이익이 기대됐지만, 뚜껑을 열어보니 기대 이하였다"며 "일본차 수요가 다른 해외 브랜드로 옮겨간 영향이 크다"고 말했다. 할인카드 꺼내든 국산차…효과는 미지수 실적이 기대에 못미치자 완성차 업계는 대대적인 프로모션에 나섰다. 대규모 할인에서 무이자 혜택까지 판촉 활동은 전방위적이다.현대차는 이달 한달 동안 각종 할인 상품을 내건 '쿨 썸머 페스타'를 펼친다. 아반떼와 그랜저(6월 이전 생산분)를 구입할 경우 36개월 저금리(1.25%) 할부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현대차는 국가고객만족지수(NCSI) 1위를 기념해 전 차종을 대상으로 20만원을 지원한다.기아차는 이달 중 전시장을 방문한 고객들에게 '셀토스' 1대(1명), 해외여행 상품권(2명), 유명호텔 숙박권(15명), 기아차 계약금 10만원 지원(4000명) 등을 추첨으로 준다.르노삼성차는 신형 '더 뉴 QM6'와 2020년형 SM6를 포함한 신차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여름휴가비 지원, 보증연장 무상제공, 무이자 금융 등 다양한 할인 상품을 제공한다. '더 뉴 QM6'를 구입하면 여름휴가비로 30만원을 주고 보증수리기간을 5년·10만km까지 연장해주는 해피케어 보증연장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옵션 또는 용품구입비(최대 60만원어치) 중 한 가지를 선택할 수 있다.한국GM 쉐보레는 선수금과 이자가 없는 36개월 '더블 제로' 무이자 할부 프로그램을 최대 50개월로 확대했고, 할부 개월 수에 따라 '스파크'는 90만원, '트랙스'는 130만원, '이쿼녹스'는 220만원, '임팔라' 260만원까지 현금 지원 혜택을 추가로 받을 수 있다.쌍용차도 모델 별로 최대 200만원을 할인해 주는 '쿨 서머 세일 페스타'를 진행한다. 코란도 가솔린 모델 출시를 기념해 선물을 증정하고 고객 선호사양 장착비용을 준다. 오는 16일까지 '베리 뉴 티볼리'를 구매하면 바캉스비 20만원, 이후 월말까지 10만원을 지원한다.이 같은 공격적인 프로모션 전략이 실질적인 이득이 있을지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일각에서는 대대적인 할인 행사가 일본차 수요 흡수보다는 오히려 수익성 악화로 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업계 관계자는 "신차를 구매하는 소비자 입장에서 할인은 반가운 일이지만, 가격 거품과 중고차 가치 하락 등 완성차 시장 신뢰도 저하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며 "단기적인 할인 행사보다는 일본차 대비 제품 경쟁력을 강화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19.08.08 07:00
경제

한국, 올 상반기 일본차 3만 대 수입…수출은 고작 32대

올해 상반기 한국이 일본차 3만여 대를 들여올 동안 일본은 한국차를 단 30여 대 구매한 것으로 조사됐다.28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와 한국수입자동차협회에 따르면, 상반기 일본차 수입액은 6억2324만 달러(약 7382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 4억9380만 달러(약 5849억원)보다 26.2% 올랐다. 이는 상반기 기준 역대 최대 규모로 2015년 연간 수입액 6억5476만 달러(약 7755억원)에 육박한다.일본차 수입 물량도 2015년 4만1518대에서 2018년 5만8503대로 3년 만에 40.9% 상승했다. 올해 상반기 수입 물량은 2만9453대로 지난해 상반기(2만4125대)보다 22.1% 증가했다. 이 역시 상반기 기준 역대 최대다. 일본차 수입 단가는 대당 2만1161달러(2506만원)로 1년 전보다 3.4% 높아졌다.올해 일본차 약진은 다른 수입차와 비교하면 더욱 돋보인다. 상반기 전체 자동차 수입 대수는 14만3909대로 전년 동기 대비 13.0% 줄었다.미국차가 1.0%, 스웨덴차가 25.0% 늘었지만 독일차는 -36.2%, 영국차 -11.1%, 이탈리아차 -23.7% 등을 나타냈다.반면 일본차 점유율은 지난해 연간 17.4%에서 올해 상반기 21.5%로 급상승했다. 브랜드별로 렉서스가 5.1%에서 7.7%로, 혼다는 3.1%에서 5.2%로 올랐다. 그 밖에 도요타 5.8%, 닛산 1.8%, 인피니티 1.0%다.일본차의 급성장은 주력 모델 하이브리드차(HEV)로, 최근 친환경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추세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배출 가스 조작과 잇단 차량 화재로 아우디·폭스바겐과 BMW의 디젤 차량이 신뢰를 잃은 사태로 반사이익을 톡톡히 누렸다.반면 올해 상반기 기준 한국차의 일본 수출량은 고작 32대에 그쳤다. 그마저 승용차보다 대부분 트럭·버스 등 상용차만 팔렸다.한국자동차산업협회 관계자는 "일본차 시장은 수입 브랜드가 뚫고 들어가기 어려운 특성이 있다"고 말했다.현대차는 2001년부터 일본에서 승용차 판매를 시작했다가 2010년 초 중단했다. 판매 부진 때문이다. 이후 현재 ‘유니버스’라는 브랜드로 상용차 사업부만 일본에 남아 명맥을 이어 가는 수준이다.판매 불균형이 심하다 보니 무역 수지도 큰 폭의 적자를 보고 있다. 지난해 일본 자동차 수입액은 1조4238억원에 달하지만, 한국에서 수출한 금액은 46억원밖에 되지 않는다. 일본과 자동차 교역에서 1조4192억원의 적자를 본 셈이다.이런 상황에서 일본차 업체들은 올 하반기 국내시장에서 몸을 잔뜩 낮추고 있다. 이달 일본 정부의 전격적인 수출 규제 조치로 국내 반도체 등 주력 사업이 큰 영향을 받은 가운데 국내 소비자들의 반일 감정이 고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자동차뿐 아니라 의류·주류 등 여러 업종에서 일본 제품 불매운동이 벌어지고 있다.닛산의 경우 이달 6년 만에 6세대 알티마 풀체인지(완전 변경) 모델을 내놓았지만 관련 행사를 취소했다. 도요타 등 다른 일본차 브랜드도 이달 보도자료를 배포하지 않는 등 마케팅을 자제하고 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tbc.co.kr○일본차 수입 규모(단위: 원, 대)-----------------------------------------기간 금액 수량-----------------------------------------2019년 상반기 7382억 2만94532018년 1조4238억 5만85032017년 1조3522억 5만47792016년 8961억 4만33372015년 7755억 4만15182014년 1조1288억 4만79392013년 9019억 3만61942012년 5503억 1만9171-----------------------------------------자료=한국자동차산업협회 2019.07.29 07: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