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10건
영화

‘오펜하이머’‘콘크리트 유토피아’ 주말 극장 쌍끌이..‘엘리멘탈’ 좀비흥행 [IS차트]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오펜하이머’가 개봉 5일만에 100만명을 넘어섰다.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300만명 돌파를 눈앞에 뒀다.20일 영진위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오펜하이머’는 19일 34만 1204명이 찾아 박스오피스 1위를 지켰다. 지난 15일 개봉한 이래 줄곧 1위를 기록하며 누적 131만 7117명을 기록했다. 다만 ‘오펜하이머’는 첫날 55만명이 찾았던 것을 고려하면 흥행속도가 엄청나지는 않다.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이날 20만 7315명이 찾아 2위에 올랐다. 누적 261만 3683명. 현재 추세라면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23일께 3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유해진 김희선 주연 ‘달짝지근해:7510’은 10만 340명이 찾아 3위를 기록했다. ‘밀수’는 5만 8732명이 찾아 4위, ‘엘리멘탈’은 4만 4893명이 찾아 5위에 올랐다.한편 ‘오펜하이머’와 ‘콘크리트 유토피아’ 쌍끌이 흥행 체제는 뚜렷한 경쟁작이 없기에 8월말까지 계속될 전망이다. 주목할 건 3달이 넘도록 장기 흥행 중인 ‘엘리멘탈’이 어디까지 흥행세를 이어갈지 여부다. 6월14일 개봉한 ‘엘리멘탈’은 19일까지 누적 686만 393명을 동원했다. 여전히 꾸준히 관객을 모으고 있기에 700만명이 넘어 9월까지 흥행세를 유지할지, 그렇다면 올해 가장 놀라운 흥행기록으로 남을 전망이다. 전형화 기자 brofire@edaily.co.kr 2023.08.20 08:40
연예일반

D-1 ‘오펜하이머’ 예매율 1위..‘콘크리트 유토피아’와 쌍끌이 예고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오펜하이머’가 개봉을 하루 앞두고 50%가 넘는 예매율을 기록하고 있다. 박스오피스 1위를 질주 중인 ‘콘크리트 유토피아’와 쌍끌이 흥행이 예상된다.14일 오전 8시 기준 영진위 예매율 집계에서 15일 개봉하는 ‘오펜하이머’는 53.9%로 1위를 기록 중이다. 예매관객수는 40만 5674 명인데 IMAX 등 특수관 예매가 많아 첫 날 관객수보다 매출액이 더 높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오펜하이머’는 3시간에 달하는 러닝타임에, 전라 베드신 등에도 불구하고 한국영화라면 받지 못했을 15세 이상 관람가란 점이 오히려 가족 관객들에게 치명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기에 흥행롱런은 지켜봐야 할 듯 하다. 지난 9일 개봉 이후 박스오피스 1위를 질주 중인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16.4%로 2위를 기록 중이다.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13일까지 154만 6274명을 동원해 손익분기점 돌파까지 빌드업을 차곡차곡 하고 있다.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짐검다리 연휴 격인 14일 박스오피스1위와 공휴일인 15일 흥행으로 누적 200만명을 넘어 지속적인 흥행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15일 개봉하는 유해진 김희선 주연 ‘달짝지근해: 7520’은 6.6%로 3위, ‘밀수’는 5.6%로 4위, 15일 개봉하는 정우성 연출작 ‘보호자’는 4.9%로 5위를 기록 중이다. 올여름 극장가가 최악의 시즌을 보내고 있는 가운데 8월15일 신작 개봉들로 다시 극장에 관객이 몰릴지 지켜봐야 할 것 같다. 전형화 기자 brofire@edaily.co.kr 2023.08.14 08:34
연예일반

마블민국은 옛말? D-1 ‘가오갤3’ 예매는 1위인데, 예매 관객수 20만↓

개봉을 하루 앞둔 마블 영화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가 얼마나 흥행에 성공할지 영화계 안팎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2일 오전 8시 기준 영진위 예매율 집계에서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는 47.1%로 1위를 기록 중이다. 예매 관객수는 19만 5384 명. 2위는 22.7%의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3위는 7.6%의 ‘드림’인 것을 고려하면 어린이날 연휴 극장가는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와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쌍끌이 흥행이 점쳐진다.다만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가 과거 마블민국이라 불릴 만큼 마블영화가 개봉할 때마다 관객들의 압도적인 사랑을 받았던 것 같은 흥행세를 기록할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개봉을 하루 앞뒀는데도 예매율이 50%를 넘지 못한 점, 예매 관객수도 20만명이 채 안된다는 점 등이 이유로 꼽힌다. 이는 마블영화가 갈수록 관객에 실망감을 주는 것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는 지난달 26일 같이 개봉한 ‘드림’에 초반 밀렸으나 첫 주말 박스오피스 1위에 올라선 뒤 줄곧 정상을 지키고 있다. 누적 관객 95만 5438명으로 꾸준한 흥행이 예상된다. 박서준, 아이유 주연 영화 ‘드림’은 1일까지 누적 64만 5512명을 동원했지만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가 개봉하면 스크린과 상영회차가 줄어들기에 흥행세도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한편 5월은 연휴가 계속 이어지는데다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와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 ‘범죄도시3’ 등 화제작들이 줄지어 개봉한다. 관객이 대폭 늘어날 수 있는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5월 관객수가 기대치에 못 미친다면 극장가 수심은 더욱 깊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전형화 기자 brofire@edaily.co.kr 2023.05.02 08:39
무비위크

'씽2게더' 북미 박스오피스 2위…'스파이더맨'과 쌍끌이 흥행

신명나는 무대로 전 세대 관객들을 공략한다. 영화 '씽2게더(가스 제닝스 감독)'는 개봉 첫 주 '매트릭스: 리저렉션', '킹스맨: 퍼스트 에이전트'를 모두 제치고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에 이어 북미 박스오피스 2위에 랭크, 극장가 쌍끌이 흥행을 이끌고 있다. '씽2게더'는 오디션 그 이후 전 세계가 주목하는 쇼 스테이지에 오르기 위한 크루들의 고군분투 도전기를 그린 2022년 첫 번째 엔터테이닝 무비이다. 크리스마스 연휴를 맞아 더욱 활기를 띄고 있는 북미 극장가는 압도적인 액션의 재미를 선사하고 있는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과 연말연시 선물이 된 '씽2게더' 두 작품을 필두로 뜨거운 흥행 열기로 가득차고 있다. 특히 '씽2게더'는 북미 개봉 직후 로튼토마토 관객지수가 97%에서 98%로 역주행 상승하는 등 관객들의 칭찬을 받고 있어 새해까지 흥행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씽2게더'는 매튜 맥커너히, 스칼렛 요한슨, 태런 에저튼, 리즈 위더스푼, 보노, 할시 등 압도적인 할리우드 스타 캐스팅으로 큰 화제가 되었다. 할리우드를 대표하는 배우들을 한 영화에서 만날 수 있다는 점, 이들의 연기뿐만 아니라 뛰어난 가창 실력까지 극장에서 마음껏 즐길 수 있다는 점 등이 관객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최고의 스테이지를 위해 도전하는 '씽2게더' 크루들을 응원할 수밖에 없는 스토리가 남녀노소 전 세대의 공감을 이끌어내며 입소문을 내고 있다. 박상우 기자 park.sangwoo1@joongang.co.kr park.sangwoo1@joongang.co.kr 2021.12.27 09:49
무비위크

[박스오피스IS] 213만↑ '블랙 위도우'·손익분기점 넘긴 '랑종'…쌍끌이 흥행

영화 '블랙 위도우'와 '랑종'이 쌍끌이 흥행세를 이어가고 있다.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에 따르면, '블랙 위도우'와 '랑종'은 지난 18일 박스오피스 1위와 2위를 차지했다. '블랙 위도우'는 16만 9892명의 관객을 동원해 213만 9103명의 누적 관객수를 기록했다. '랑종'은 9만 7757명의 일일 관객수, 55만 8423명의 누적 관객수를 나타냈다. '블랙 위도우'는 이날 오전 10시 200만 돌파에 성공했다. '분노의 질주: 더 얼티메이트'의 200만 돌파 속도인 개봉 19일째보다 7일 빠른 흥행 속도를 보이고 있다. 특히 개봉 2주차 주말 박스오피스 1위를 탈환하며, 장기 흥행 중이다. '블랙 위도우'는 히어로 블랙 위도우 나타샤 로마노프(스칼렛 요한슨)가 자신의 과거와 연결된 레드룸의 숨겨진 음모를 막기 위해 진실을 마주하고, 모든 것을 바꿀 선택을 하게되는 마블 스튜디오의 2021년 첫 액션 블록버스터.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부터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사이의 알려지지 않은 블랙 위도우의 이야기를 그린다. '랑종'은 지난 17일, 개봉 4일째 손익분기점인 40만 관객을 돌파한 데 이어 계속해서 흥행세를 이어가고 있다. 역대 청소년 관람불가 등급 영화 중 최단기간 손익분기점 돌파 기록을 세웠다. 또한 267만 명을 돌파한 공포 장르 흥행작이자 개봉 4일째 손익분기점을 넘겼던 '곤지암'에 견주는 손익분기점 돌파 속도를 기록했다. '랑종'은 태국 산골마을, 신내림이 대물림되는 무당 가문의 피에 관한 세 달간의 기록을 그린 영화다. '곡성' 나홍진 감독이 기획 제작하고, '셔터' 반종 피산다나쿤 감독이 연출한 작품. 개봉 전부터 뜨거운 화제성을 몰고 다니며 관객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았다. 박정선 기자 park.jungsun@joongang.co.kr 2021.07.19 07:32
무비위크

위안부 영화 '김복동X주전장' 광복절·기림일前 뜻깊은 관람열기

두 편의 위안부 영화 '김복동'과 '주전장'이 관객들에게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영화 '주전장'과 '김복동'은 광복절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일명 기림일을 앞두고 뜻 깊은 쌍끌이 흥행 레이스를 펼치고 있다. 먼저 우익들의 협박에도 겁 없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소용돌이에 스스로 뛰어든 일본계 미국인 미키데자키 감독이 한국, 미국, 일본 3개국을 넘나들며 3년에 걸친 추적 끝에 펼쳐지는 숨 막히는 승부를 담아낸 다큐멘터리 영화 '주전장'은 개봉 2주만에 누적관객수 2만 명을 돌파했다. 지난 달 25일 개봉한 '주전장'은상영관 단 60개에도 불구하고 실관람객들의 극찬 속 개봉 1주일 만에 누적관객수 1만 명 돌파, 독립·예술영화 좌석점유율 1위 자리를 지켰다. 특히 '주전장'은 지난 8일 개봉해 전 세대 관객들의 호평을 받으며 대한민국 모두가 봐야 하는 영화로 주목받고 있는 다큐멘터리 '김복동'과 쌍끌이 흥행을 이어갈 것으로 보여 의미를 더한다. ‘김복동’은 여성인권운동가이자 평화운동가였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가 92년부터 올해 1월 세상을 떠날 때까지 일본의 사죄를 받기 위해 투쟁했던 27년 간의 여정을 담은 감동 다큐멘터리다. '김복동'은 단 5일만에 누적관객수 3만 명을 돌파했다. '김복동' 역시 상대적으로 적은 상영관과 상영횟수에 비해 놀라운 성적을 기록해 눈길을 끈다. 다큐멘터리라는 장르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두 영화를 향한 관객들의 관심은 여느 상업영화 그 이상이다. 이러한 분위기를 이어 받아 '김복동'과 '주전장' 모두 14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과 1400번째 수요집회, 15일 광복절을 앞두고 본격적인 흥행세를 탈 것으로 예상된다.조연경 기자 cho.yeongyeong@jtbc.co.kr 2019.08.13 06:50
무비위크

[박스오피스IS] 1위 '말모이'·2위 '내안의 그놈', 한국영화 쌍끌이 흥행

두 한국영화의 쌍끌이 흥행이 이어지고 있다.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지난 13일 '말모이(엄유나 감독)'가 박스오피스 1위, '내안의 그놈(강효진 감독)'이 2위에 올랐다. '말모이'는 이날 하루동안 32만 4086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누적관객수는 118만 5582명이다. 개봉 5일 만에 100만 관객 돌파에 성공하며 순항하고 있다. '내안의 그놈'은 22만 9638명의 관객을 모아 76만 5344명의 누적관객수를 기록했다. '말모이'에 이어 꾸준히 박스오피스 2위를 지키고 있다. 지난 연말부터 극장가는 '보헤미안 랩소디' '아쿠아맨' '범블비' '주먹왕 랄프2: 인터넷 속으로'에 이르기까지 외화들이 점령했다. 한국영화 기대작들이 줄줄이 흥행에 실패하는 이변이 벌어졌다. 떠나버린 관객들의 마음을 돌린 작품이 바로 '말모이'와 '내안의 그놈'이다. '말모이'는 우리말 사용이 금지된 1940년대 까막눈 유해진(판수)이 조선어학회 대표 윤계상(정환)을 만나 사전을 만들기 위해 비밀리에 전국의 우리말과 마음까지 모으는 이야기를 담은 영화다. 충분히 예상 가능한 이야기를 그리고 있지만, 배우들의 호연이 어우러져 관객의 마음을 움직였다. '내안의 그놈'은 우연한 사고로 제대로 바뀐 아재와 고딩의 '웃음 대환장 파티'를 그린 코미디 영화다. 흔히 봐오던 보디체인지 설정임에도 코미디 영화의 본분에 충실한 깨알 같은 대사와 상황, 배우들의 애드리브로 웃음을 선사한다. 한동안 '말모이'와 '내안의 그놈'의 흥행세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14일 오전 6시 기준 '말모이'는 21.0%, '내안의 그놈'은 14.3%로 예매율 1, 2위에 올랐다. 박정선 기자 park.jungsun@jtbc.co.kr 2019.01.14 06:54
무비위크

[박스오피스IS] 흥행불패 김윤석X주지훈 '암수살인' 100만 돌파(공식)

'암수살인'이 100만 고지를 넘었다. 김윤석과 주지훈의 긴장감 넘치는 심리전과 담백한 연출로 뜨거운 호평을 받으며 새로운 범죄실화극의 탄생을 알린 영화 '암수살인(김태균 감독)'이 개봉 4일 만에 누적 관객수 100만 명을 돌파하며 뜨거운 흥행세를 이어가고 있다. '암수살인'은 감옥에서 7건의 추가 살인을 자백하는 살인범과 자백을 믿고 사건을 쫓는 형사의 이야기를 다룬 범죄실화극이다. 개봉 4일째인 6일 오후 2시 누적관객수 100만 명을 돌파, 개봉 이후 한국 영화 박스오피스 1위 자리를 지켜내며, 동시기 개봉작 '베놈'과 함께 비수기인 10월 극장가의 쌍끌이 흥행을 이어가고 있다. 1000만 영화 '변호인' '국제시장'과 동일한 속도로 흥행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암수살인'은 범죄 장르의 통념을 깬 새로운 범죄수사극의 탄생을 알리며 언론 및 평단은 물론, 관객들의 뜨거운 호평을 이끌어내고 있다. CGV골든에그 지수 95%로 김윤석, 주지훈의 압도적인 연기와 탄탄한 스토리, 담백한 연출로 관객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암수살인'이 앞으로 어떤 흥행 성적을 기록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조연경 기자 cho.yeongyeong@jtbc.co.kr 2018.10.06 16:29
무비위크

[박스오피스IS] 255만 '코코'·195만 '메이즈러너', 외화 쌍끌이 흥행

'코코'와 '메이즈 러너: 데스 큐어'가 박스오피스 2, 3위를 지키고 있다.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코코'는 지난 28일 하루동안 19만 9310명의 관객을 불러모아 누적관객수 255만 6317명을 동원했다. 개봉 3주차임에도 2위 자리를 지키며 흥행하고 있다. 496만 명이 사랑한 '인사이드 아웃'과 260만 명을 동원한 '도리를 찾아서'에 이은 디즈니 픽사의 애니메이션 역대 흥행 3위에 올랐다. 현재의 흥행세로 보아 어려움 없이 오늘 중 '도리를 찾아서'를 제치고 2위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메이즈 러너: 데스 큐어'는 이날 13만 6086명의 관객의 동원했다. 누적관객수는 195만 3751명이다. 지난 17일 개봉해 불과 열흘 남짓의 시간 만에 200만 관객 가깝게 극장으로 불러모았다. 비수기임을 감안하면 쾌조의 성적이다. 이번 '메이즈 러너: 데스 큐어'는 세 번째 '메이즈 러너'이며 마지막 시리즈다. 국내에도 적지 않은 팬을 보유한 시리즈인만큼, 마지막 '메이즈 러너'에 많은 관심이 쏠렸다. 이 관심이 곧 흥행으로 이어졌다. '그것만이 내 세상(최성현 감독)'이 박스오피스 1위를 지키고 있는 가운데, 2위와 3위를 외화가 차지하고 있다. 각기 다른 장르와 이야기, 타깃 관객층이라 더욱 사이좋게 쌍끌이 흥행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박정선 기자 park.jungsun@joins.com 2018.01.29 07:00
무비위크

[박스오피스IS] 韓영화 쌍끌이 흥행..'신과함께' 1045만↑·'1987' 323만↑

영화 '신과 함께-죄와 벌(김용화 감독)'과 '1987'의 쌍끌이 흥행이 계속되고 있다.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신과 함께-죄와 벌'은 지난 5일 26만 7566명의 관객을 동원해 누적관객수 1045만 1248명을 기록했다. 개봉 이후 단 한 번도 박스오피스 1위를 놓치지 않고 있다. 일일관객수도 20만 명 이상으로 꾸준하다. 여전히 1210개의 스크린수를 확보해 멈추지 않는 흥행 질주를 이어가고 있다. '1987'의 흥행세도 멈추지 않는다. 5일 20만 1815명의 관객을 극장으로 불러모았다. 누적관객수는 323만 1388명이다. 순제작비만 따져 이 영화의 손익분기점은 약 400만 명으로, 흥행세가 꾸준히 이어진다면 다음 주 중 손익분기점을 넘을 것으로 보인다. '쥬만지: 새로운 세계' '페르디난드' 등의 외화들이 새롭게 선을 보였지만, 한국 영화의 쌍끌이 흥행에 밀려 크게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 특히 '신과 함께-죄와 벌'이 1000만 돌파 이후에도 여전히 많은 관객을 동원하고 있어 한동안 이 같은 현상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박정선 기자 park.jungsun@joins.com 2018.01.06 08:04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