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을 크게 벌렸다. 이달초 시작한 '아스달 연대기'는 그 옛날 상고시대, 가상의 대륙이 무대인 초대형 판타지. 한국 드라마에서 보기 드문 시도다. 출연진과 제작진도 화려하다. 장동건·송중기·김지원·김옥빈 등이 주연을 맡았다. 극본은 김영현·박상연 작가('육룡이 나르샤''뿌리 깊은 나무''선덕여왕'), 연출은 김원석 PD('미생''시그널''나의 아저씨') 솜씨다. 540억원으로 알려진 제작비 역시 국내 드라마 최고 수준. 넷플릭스를 통해 190여개국에도 방영중이다. 하지만 국내 시청자 반응은 시원찮다. 새로운 도전에 대한 칭찬보다 실망감이나 비판, 때로는 조롱까지 쏟아진다. 뭐가 문제일까. 두 평론가의 글을 전한다.
━
'다름'을 기대했는데 돌아온 건 기시감
-공희정 (드라마 평론가)
‘어쩌면’이라는 가정으로 행간에 숨겨진 이야기까지 두루 섭렵한 조선사는 환상이 자리 잡을 공간이 적고, 사료가 부족한 고조선이나 삼국, 고려의 이야기는 사실과 상상 사이 어딘가를 오가고 있다. 그렇다면 상고사는 어떠한가. 완벽한 신천지가 아닌가. ‘대한민국 최초의 고대 인류사 판타지’라 불리우는 '아스달 연대기', 첫 방송 후 사람들은 미드 '왕좌의 게임'에서부터 영화 '아포칼립토''아바타' 등과 비슷하다 했다. 꽤나닮아 있긴 했지만 평가하기에는 이른 듯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대가 컸는지 아쉬움은 쉬이 사라지지 않는다.
「
너무 익숙한 권력 암투, 출생의 비밀...
」
'아스달 연대기'에 걸었던 기대는 ‘다름’이다. 사극이 지금의 이야기에 시간의 옷을 입힌 것이라 하여도 거의 모든 것을 상상으로 채워야 하는 상고시대 이야기에는 예측하지 못한 ‘다름’이 있길 기대했다. 작가와 감독, 배우 모두 쟁쟁했고 제작비 또한 국내 최대 규모였으니 당연한 바램이었다.
하지만 권력을 향한 암투, 욕망을 향한 음모, 부와 권력의 세습, 출생의 비밀, 금지된 사랑, 심지어 종교의 타락과 노동 착취까지 그 시대의 삶은 지금의 우리들과 다르지 않았다. 대의를 위해 모든 것이 합리화될 수 있다는 강자의 논리까지 익숙한 것들은 ‘다름’이란 기대를 시작부터 흔들어 놓았다.
「
말투도 차림도 시간적 경계 모호
」
배우들의 말투에는 현대극과 사극이 교묘히 섞여 있고, 명료하지 않은 웅얼거림은 환상적이라기보다 몰입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되었다. 드라마를 위해 탄생한 뇌안탈족의 언어는 독특한 발성과 낯설음 덕분에 상고시대 분위기를 살려냈지만 뇌안탈족의 전멸과 함께 빠르게 사라졌다.
옷이나 장식품, 화장 방식 등은 시대를 광범위하게 넘나들며 시간적 경계를 모호하게 했다. 아스달의 저잣거리는 중세의 어느 도시를 보는 듯했고, 대흑벽은 중국의 적벽을 연상시켰다. 지울 수 없는 기시감이 순간순간 그렇게 고개를 들었다.
「
웅장한 스케일, 기대감은 그 이상
」
압도적인 스케일로 그려낸 웅장하면서도 몽환적인 자연과 생경한 풍경, 박진감 넘치는 전투씬 등은 나름의 완성도가 있었음에도 제작비 500여억원이라는 사실이 그 이상의 것을 기대하게 만들었다. 거대 서사를 이끌어가기 위한 다양한 종족의 정체성과 각각의 관계를 이해하기도 쉽지는 않았다.
하지만 기대를 내려놓기에는 이르다. 서론이 좀 길었다고 할까, 이제 복잡했던 구조가 조금씩 눈에 들어오고 인물들간의 이야기가 얽혀들기 시작했으니 분열과 대립의 시대에 통합의 위대함을 보여줄 와한족의 꿈 은섬(송중기)의 활약을 좀 더 지켜봐야겠다.
━
'새로운 시도'는 면죄부가 아니다
-윤석진(충남대 국문과 교수, 드라마평론가)
상고시대의 판타지를 표방한 '아스달 연대기'는 국가와 민족을 초월한 인류의 신화를 새롭게 상상한다. 태고의 땅 ‘아스’를 중심으로 문명의 태동과 권력의 작동 그리고 국가의 형성 과정을 탐색하는 신화적 상상력이 흥미롭다.
하지만 딱 여기까지다. 도입부의 구구절절한 설명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세계관으로 구축된 상고시대의 신화는 너무 낯설고, 그 결과 RPG 게임에 익숙한 시청자가 아니라면 극적 상황에 몰입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
초국적 스토리텔링의 부작용
」
게다가 언어와 생활 방식 모두 낯설어야 마땅한 극적 상황들은 기시감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심지어 새롭고 낯선, 그래서 신비로워야 할 극적 상황들이 신기할 정도로 익숙하기까지 하다. 국가와 민족의 차원을 넘어 인류 문명의 기원으로 신화의 개념을 확장한 것이 마이너스로 작용한 꼴이다. 초(超) 혹은 탈(脫) 국적의 방송 플랫폼 환경 변화를 염두에 둔 듯한 스토리텔링 전략의 부작용이 아닐까 싶다.
「
정형화된 영웅, 감정이입 힘들어
」
새로운 신화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어렵다면, 신화의 주인공에게 감정 이입하는 것 또한 쉽지 않다. '아스달 연대기'의 주인공들은 원시 부족의 신화 시대에서 문명 국가의 역사 시대로 넘어가는 과정의 중심에 놓여 있다. ‘사람’으로 불리는 부족들의 연맹체 부대 수장 타곤(장동건)은 와한족들을 침략하여 전쟁 노예로 만들면서 아스달의 영웅으로 추앙받고, 사람과 뇌안탈 사이에서 혼혈로 태어나 와한족의 손에서 성장한 이방인 은섬(송중기)은 폭력적인 문명 세력과 맞서면서 와한족의 영웅으로 성장한다. 타곤과 은섬의 대결은 문명의 야만성과 권력의 폭력성을 역설하지만, '아스달 연대기'의 세계관을 뒷받침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이들이 기존의 정형화된 영웅 이미지를 답습하는 인상을 남기는 것도 그래서이다. 지금까지의 방송을 보면, '아스달 연대기'의 새로운 시도는 면죄부가 되기 어려울 것 같다. 작가들은 새로운 세계를 구축할 수 있는 극적 상상력을 입증한 바 있고, 감독 또한 그것을 영상으로 표현할 능력을 검증받은 바 있다.
「
신비로운 대신 당혹스러운 신세계
」
하지만 이번만큼은 달랐다. 상고시대로 상상의 지평을 넓혀 한국 드라마의 영역을 새롭게 확장하려 한 의도는 알겠으나, '아스달 연대기'의 세계로 시청자가 진입하기는 쉽지 않다. 한 번도 접하지 못한 세계의 생경함에서 비롯한 신비로움보다 ‘대흑벽’ 같은 진입장벽이 가로막는 당혹스러움이 앞서기 때문이다. 새로운 시도라고 해서 만듦새의 허술함을 그냥 넘기기 힘든 것도 그래서이다. 방영 전부터 기대와 우려가 공존했던 '아스달 연대기'의 향방이 여전히 궁금한 까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