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5건
자동차

BMW코리아, '뉴 5시리즈' 전세계 최초 출시…6880만원부터

BMW코리아가 5일 프리미엄 세단 '뉴 5시리즈'를 전세계 최초로 국내에 공식 출시했다.5시리즈는 1972년 첫 등장 이후 전 세계에서 800만대 넘게 팔렸다. 이번 8세대 모델은 7세대 이후 6년 만의 신모델이다.뉴 5시리즈는 이전 세대보다 차체 크기가 커졌다. 길이는 95㎜가 늘어 5060㎜가 됐고, 너비와 높이는 각각 30㎜, 35㎜ 늘었다. 휠베이스(축간거리)도 20㎜ 더 늘어난 2995㎜다.심장은 내연기관(가솔린, 디젤)과 전기 등 3가지 라인업으로 구성됐다. 모든 내연기관 모델에는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 기술이 적용된 '이피션트 다이내믹스 모듈러 엔진'을 얹었다.마일드 하이브리드 기술을 통해 추월이나 출발 가속 시 순간적으로 11마력의 출력을 추가로 낸다. 정속 주행 중에는 회생제동으로 엔진을 보조해 연료 효율도 높인다. 4기통 가솔린 터보 엔진이 장착된 BMW 뉴 520i는 최고출력 190마력, 최대토크 31.6㎏·m의 성능을 발휘한다. 뉴 530i는 최고출력 258마력, 최대토크 40.8㎏·m를 낸다.4기통 디젤 엔진이 탑재된 뉴 523d의 최고출력은 197마력, 최대토크는 40.8㎏·m다. 모든 내연기관 엔진에는 8단 스텝트로닉 스포츠 변속기가 조합된다.순수전기 모델 뉴 i5에는 향상된 5세대 BMW eDrive 기술이 적용됐다. 1개의 전기모터가 탑재되는 후륜구동 모델 BMW i5 eDrive40는 최고출력 340마력, 최대토크 40.8㎏·m의 성능을 갖췄다.최상위 모델인 뉴 i5 M60 xDrive는 전기모터 2개를 탑재, 601마력의 합산 최고출력과 81.1㎏·m의 최대토크를 발휘한다.뉴 5시리즈에는 국내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편의 사양과 운전자 보조 기능이 기본 탑재됐다. 차간 거리 제어, 차선 유지 보조 등을 비롯한 보조 시스템은 물론, 대형 파노라믹 글라스 루프, 앞좌석 시트 통풍, 스마트폰 무선 충전 기능 등도 갖췄다.대시보드 위에는 12.3인치 디지털 계기판과 14.9인치 커브드 컨트롤 디스플레이를 이어 붙였다.국내 출시 가격은 트림에 따라 뉴 520i가 6880만~7330만원, 뉴 523d가 7580만~8330만원, 뉴 530i xDrive가 8420만~8870만원이며 순수전기 모델인 뉴 i5 eDrive40이 9390만~1억170만원, 뉴 i5 M60 xDrive가 1억3890만원이다. 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3.10.05 13:40
경제

월드 프리미어 정성 통했나?…BMW, 2년 8개월 만에 수입차 1위 탈환

BMW가 2년여 만에 벤츠를 누르고 수입차 판매량 1위를 차지했다. 월 기준 역대 최대 판매량도 경신했다. 9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에 따르면 8월 수입 승용차 신규등록 대수는 2만1894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8% 증가했다. BMW는 이중 가장 많은 7252대를 판매했다. BMW가 수입차 1위를 차지한 것은 2017년 12월 이후 2년 8개월 만이다. BMW의 8월 판매량은 작년 동기보다 69% 늘어난 것으로 BMW가 국내에서 차를 판매한 25년 중 최대치다. 5시리즈가 효자 노릇을 톡톡히 했다. BMW 520은 1097대로 최다 판매 모델이 됐고 520d와 530은 각각 727대, 547대로 베스트셀링카 '톱10'에 이름을 올렸다. 이들을 포함해 5시리즈는 총 2834대가 팔렸다. 스포츠다목적차(SUV) 라인업인 X시리즈도 2765대가 판매되면서 실적을 함께 이끌었다. X3와 X4, X5, X5, X7 등의 주요 모델이 모두 200~300대가량 팔리면서 고른 활약을 했다. BMW의 기세에 최근 몇 년간 줄곧 1위를 유지했던 벤츠는 2위로 내려왔다. 지난달 판매는 6030대로 성적이 나쁘지 않다. 벤츠의 올해 1~7월 평균은 5940대다. BMW의 정상궤도 진입을 두고 업계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해 정체됐던 물량 수급 문제가 해소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BMW코리아 관계자도 "누적된 대기 고객을 대상으로 출고가 진행되면서 판매량이 급증했다"며 "아직도 대기 수요가 있어 물량만 충분히 확보한다면 8월 수준의 판매량을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일부에서는 한국 시장을 겨냥한 '지속적인 신차 투입'도 판매량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고 있다. BMW는 2년 전 불거진 차량 화재 사태로 브랜드 이미지가 급추락한 바 있다. 이에 지난해부터 신형 X1·X2·X6, 8시리즈 등을 출시한 데 이어, 올해 초 1시리즈, 2시리즈 등 신차를 선보이는 등 실추된 이미지를 회복하기 위해 신차 공세를 펼쳐왔다. 특히 지난 5월에는 주력 모델인 5시리즈 신모델을 전 세계 최초로 한국에서 공개하는 등 한국 시장에 대한 의지를 다진 바 있다. 또 최근 한국 진출 25주년을 기념한 한정판 모델을 매달 선보이고 있다. BMW가 화재의 악몽에서 벗어나면서 남은 하반기 벤츠와의 1위 경쟁이 더욱 뜨거워질 전망이다. 두 회사는 오는 11월 약속이라도 한 듯 주력 모델인 5시리즈와 E클래스 신모델을 나란히 출시한다. 업계 관계자는 "BMW는 물론 벤츠의 강세도 앞으로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두 업체가 선두 경쟁을 하는 가운데 판도는 핵심 모델인 신형 5시리즈와 E 클래스의 판매 성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0.09.10 07:00
경제

사면초가 중형차 시장 다시뛴다

국내 중형차 시장이 올 들어 사면초가에 빠져 있다. 내수 경기 회복세를 타고 대형차에서 레저용 차량(RV)·소형차·경차에 이르기까지 대부분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유독 배기량 2000㏄급의 중형차만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자동차공업협회가 집계한 1~4월의 승용차 부문 판매 실적을 보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대형차(8.0%)·RV(14.2%)·소형차(8.6%)·경차(43.4%) 등은 수요가 늘었다. 그런데 유독 중형차만 후진(-5%) 중이다. ■전방위 공세에 맥 못추는 중형차 중형차 시장에 대한 공세는 다양하고 또 막강하다.  우선 수입차 업계. 신 모델을 출시하면서 가격을 인하하거나 2000~3000만원대의 중·저가 모델을 쏟아내고 있다. 40~50대 중산층은 물론 20~30대 전문직 종사자 등 중형차 주 수요층을 겨냥한 사전 포석인 셈이다.  고급차의 대명사로 꼽히는 BMW는 최근 5시리즈를 내놓으면서 모델별로 540만~1900만원 가격을 낮췄다. 3.0리터 엔진을 장착한 528i의 경우 배기량이 같은 기존 525i(8650만원)보다 1900만원 싼 6750만원(부가세 포함), 뉴 530i는 기존 530i(9690만원)보다 540만원 싼 9150만원이다. 이들 모두 배기량은 기존 모델과 같지만 신형 엔진을 장착, 차량 성능은 좋아졌다는 것이 BMW코리아의 설명이다.  BMW코리아는 앞서 지난달 4일 출시한 뉴X5 3.0d 판매 가격을 디젤 모델임에도 불구하고 가솔린 모델보다 4.7% 가량 낮은 8890만원으로 정했다. 일반적으로 디젤 모델이 가솔린 모델보다 5~10% 비싼 점을 감안할 때 실제 가격 인하폭은 10~15%에 달한다는 분석이다.  다임러크라이슬러코리아는 2.7리터의 가격을 4980만원에서 500만원 인하된 4480만원, 3.5리터를 5980만원에서 5780만원으로 내려 판매하고 있다. 인피니티도 지난해 10월 세계 처음 국내에서 선보인 G35세단을 5020만원에서 4750만원으로 낮췄다. 2000~3000만원대의 중저가 수입차는 주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또는 해치백 스타일의 5도어형 승용차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는 기름값도 중형차 시장에는 부담이다. 이로 인해 중형차 대신 준중형 이하의 소형차 시장이 호황을 누리고 있다. 경차의 경우 1~4월 판매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무려 43% 이상의 폭발적 신장세를 보이는 것이 이같은 추세를 반영한다. ■여기서 물러설 수 없다 그렇다고 국내 완성차 업계가 완전히 손을 놓고 있는 것은 아니다. 중형차 시장의 부활을 위해 분위기 쇄신에 나섰다. 당장 신모델을 내놓지 못하는 현실에서 페이스 리프트(부분 개조) 모델을 출시하거나 다양한 이벤트 등을 통해 어느 정도 열세를 만회하자는 것이다. 우선 현대자동차는 '중형차의 맏형' 격인 NF쏘나타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한 '쏘나타 블랙 프리미엄'을 선보였다. 최고급 모델인 FS24S에 적용되는 사양을 2.0 모델에 기본으로 적용했다.  기아차는 기존 내·외관 스타일을 바꾸고 동력 성능 등을 높인 로체 어드벤스로 승부수를 띄웠다. 엔진의 경우 2.0리터 모델의 출력을 144마력에서 151마력으로 향상시켰다. 중형차 최초로 리어램프·아웃사이드 미러·보조 제동등에 발광다이오드(LED)램프를 적용했다. 판촉전도 치열하다. GM대우는 토스카 출시 한 돌을 맞아 삼성 디지털프라자와 함께 각각의 제품 가격을 깎아 주는 한편 고객을 대상으로 토스카 2대를 경품으로 제공하기로 했다. 르노삼성은 교직원이나 보훈 대상자에게 SM5를 20만원 할인해 주고 있다.  택시 기사를 겨냥한 이벤트도 다양하다. 택시 기사들의 입소문이 판매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에 따른 조치다. 현대차는 오는 30일까지 개인 택시 출고 고객을 대상으로 50쌍을 추첨, 금강산 1박 2일 관광상품권을 지급한다. 또 올해 내 구입자에게는 금강산 관광 요금 10% 할인 혜택을 준다. 기아차는 전국의 택시 기사들에게 로체 어드벤스 택시의 시승 기회를 제공한다. GM대우는 지난해 300명으로 운영했던 토스카 택시 홍보대사를 올 말까지 2000명으로 늘리기로 했다. 박상언 기자 2007.06.07 11:17
경제

저차가 뉴싼타페야 인피니티RX야?

뒤가 잘빠진 은색 승용차가 쓱 지나간다. NF쏘나타인가 하고 보면 혼다 어코드다. 또 인피니티RX를 보고 있으면 뉴싼타페가 절로 연상된다. 닮은꼴 차량들이 늘고 있다.국내에 시판되는 외제차 모델이 다양해지면서 국내 완성차와 디자인이 비슷한 차량이 많아 소비자들 사이에 혼선이 일고 있다. 얼핏 보면 서로 카피한 것 아닌가 하는 인상마저 들 정도다. 현재 시판되는 차량 가운데 비슷한 디자인의 차량 종류는 서너 가지에 이른다. 디자인뿐만이 아니다. 과거 일부 고급 차량에만 장착되던 첨단 장비도 점차 일반화되고 있다. 각 브랜드의 개성이 사라지면서 정체성에 혼란을 준다는 지적이 있지만 저렴한 가격에 소비자의 기호를 맞출 수 있다는 긍정론도 만만찮다. ‘닮은꼴 자동차’의 대표적인 모델로는 현대자동차의 뉴싼타페와 닛산의 인피니티RX. 그리고 현대차의 NF쏘나타와 일본 혼다의 2005년식 어코드가 꼽힌다. 뉴싼타페와 인피니티RX는 외관이 쌍둥이처럼 닮았다. 두 모델은 스포츠유틸리티(SUV·Sports Utility Vehicle)란 공통점을 갖고 있다. 앞뒤의 생김새 모두 착각을 일으킬 정도다. 정면의 경우 헤드램프의 형태나 위로 치켜올라간 라인 등이 빼다박았다. 그릴의 형태도 길이만 약간 다를 뿐 로고가 새겨진 위치나 전체적인 곡선은 큰 차이가 없다. NF쏘나타와 어코드의 카피 논쟁은 한 동안 국내 자동차 마니아들 사이에서 이슈가 돼기도 했다. 특히 뒷모습은 NF쏘나타가 어코드의 디자인을 그대로 차용했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닮았다. 지금은 혼다가 신모델을 출시하면서 이같은 논쟁은 조금 잠잠해진 상태다. 이밖에 기아자동차의 뉴오피러스와 현대차의 뉴아반떼도 ‘카피논쟁’의 중심에 서 있다. 뉴오피러스의 페이스는 재규어와 메르세데스-벤츠의 구형 E클래스를 섞어 놓았다는 분석이 적지 않다. 뉴아반떼의 경우 테일램프가 최근 출시된 렉서스 RX350과 BMW의 신형 5시리즈의 테일램프 디자인을 혼합했다는 인상이 강하다. 이에 대해 자동차 디자인 전문가들은 강한 거부반응을 일으킨다. 과거 4~5년 주기로 바뀌던 디자인의 수명이 이젠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 바꿀 수 있을 만큼 짧아져 이젠 ‘누가 먼저’라고 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디자인에도 트렌드가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따라서 경쟁사의 모델이라도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으면 디자인은 물론. 첨단기술이나 시스템 등을 벤치마킹해 그대로 적용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 막대한 신차 개발 비용을 아끼려는 이유도 포함돼 있다. 박상언 기자 2006.10.25 11:06
경제

얼굴 바꾼 수입차들 거센 순위다툼

최근 선보인 신모델의 차량 판매가 급증하면서 수입차 시장의 판도를 뒤흔들고 있다. 수입차도 `신차효과`를 톡톡히 누리고 있는 셈이다. 수입차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까지 판매된 수입차 가운데 베스트 셀링 카의 모델이 모두 바뀌었다. 이들의 공통점은 국내 시장에 첫선을 보인 지 6개월을 넘지 않은 차량들이란 것이다. 수위를 달리는 모델은 아우디의 A6 2.4. 올 들어 두 달 동안 모두 373대가 팔려 2위(BMW 뉴 523i.294대)를 80대 가까이 따돌리며 여유 있게 선두를 내달렸다. 아우디코리아 관계자는 "2004년 말 법인 설립 후 딜러망 확충 등 지속적 투자 덕분에 아우디의 대표 모델인 A6 모델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도가 높아진 것 같다"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2위에 오른 BMW 뉴 523i는 지난해 7월 첫선을 보인 이후 한 달 평균 100대 남짓 팔리다 올 1월 160대, 2월 134대 등 신장세를 보이며 2위로 뛰어올랐다. BMW코리아는 "지난해 5시리즈의 모델 교체가 이뤄지면서 3시리즈가 특수를 누렸지만 원래 BMW의 주력 모델은 5시리즈"라고 말했다. 지난해 BMW의 국내 베스트 셀링 모델은 320i로 모두 1249대가 팔렸다. 3위에는 렉서스의 스포츠 콤팩트 세단인 IS250이 올라섰다. 모두 283대로 BMW에 이어 근소한 차이로 3위에 머물렀지만 4000만 원대로 렉서스의 출시 모델 가운데 가장 저렴하다는 점 때문에 판매량이 꾸준히 늘고 있는 추세다. 반면 연간 판매량에서 지난해 1위에 올랐던 렉서스의 ES330은 6위로 밀렸다. 이는 조만간 ES350이 출시될 것으로 알려지면서 대기 수요자가 많이 발생한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초반 스포츠유틸리티(SUV.Sports Utility Vehicle) 시장에 돌풍을 일으켰던 혼다의 CR-V는 런칭한 지 1년 여가 지나면서 순위가 점점 내려가고 있다. 고급 차량 가운데에는 벤츠의 S클래스가 두각을 보였다. 최근 몇 년간 벤츠의 최고 인기 모델은 E클래스였는데 지난해 10월 뉴 S클래스가 선보이면서 상황은 바뀌었다. 가격이 1억 원을 훨씬 넘는 고가임에도 꾸준한 판매고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차량 가격이 1억 6000만 원에 이르는 S350은 7위, 2억 원이 넘는 S500은 10위에 랭크됐다. 수입차 업계 관계자는 "올 들어서도 꾸준히 신모델들이 선보이고 있어 당분간 신차효과에 따른 순위 다툼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말했다. 2006.03.15 12:49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