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서울 주차장 양극화, 시영·구영·민영 합하면 강남 2만여 개, 노원은 6천여 개
서울 주차장 양극화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 시선을 끌고 있다.18일 서울시가 공개한 ‘서울시 공영주차장 현황’(2014년 10월 1일 기준)에 따르면 자치구별로 공영주차장 수가 크게 차이 나는 것으로 밝혀졌다.현재 서울시에 있는 공영주차장 수는 총 143개로 시영주차장 개수를 비교해보면 서울 중구가 20개로 가장 많았으며 영등포구 16개, 종로구 10개, 강남구에는 9개가 있다. 반면 인구 밀집도가 비교적 높은 노원구는 6개, 송파구 4개, 도봉구 4개 등이며 강북구에는 한 곳도 없다. 지난해 기준 ‘서울시 주차장 통계’에 따르면 시영-구영-민영 주차장까지 모두 합칠 경우 강남구는 2만 892개의 주차장을 보유하고 있으나 자치구 중 2번째로 인구가 많은 노원구는 총 6049개로 가장 적었다.서울 주차장 양극화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서울 주차장 양극화, 어딜가도 차댈 데가 없다" "서울 주차장 양극화, 차를 팔든가 해야지 원" "서울 주차장 양극화, 주차장도 땅이 있어야 하든 말든" 등의 반응을 보였다.온라인 일간스포츠(사진=중앙포토DB)
2014.11.19 15:47